보 도 자 료 |
|
교회협 언론 2022 - 18호 (2022. 2. 21) 수 신: 각 언론사 발 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교육위원회 제 목: <평화와 공존의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정책제안서> 보도 요청의 건 |
|
평화와 공존의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정책제안서
1. 귀 언론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교육위원회는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맞이하여 나라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정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입장을 발표합니다.
3. 이에 이를 알리는 일에 귀사의 관심과 보도를 부탁합니다.
- 아 래 -
평화와 공존의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정책제안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교육위원회
우리는 교육공공성 실현을 위한 새 교육체제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학교 민주주의의 실현 - 학교운영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를 위한 제도적 보장(교수회, 학생회, 학부모회, 학교운영위원회, 교무회의 등의 법제화)은 물론 실질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방안 마련 - 사학의 공공성 확보와 민주적 운영방안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 - 형식적 민주주의를 넘어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배움에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개인의 흥미와 재능이 반영되는 교육과정 참여설계 방식 확보 - 경쟁기반 결과중심 교육을 극복하고 참여와 협업을 기반으로 하는 평화적 공동체로서 학교문화 형성 - 시민을 길러내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강화 및 노동, 인권, 생태에 대한 학습 의무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 교육 체제 도입
2. 모두를 위한 교육체제 마련 - 유치원에서 대학까지 무상교육 실시를 위한 로드맵 마련 - 방과후 돌봄 등 돌봄에 대한 교육적 가치 제고와 내용성 강화 및 수혜범위 전면 확대 - 돌봄과 교육의 통합적 체계를 통해 공교육의 신뢰 회복 방안 마련 - 다양한 이유로 배움에서 소외되거나 멀어지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책무성 확보
3. 대학개혁과 대학입시제도 개혁 - 국공립대학 네트워크 구성 및 공동학위제 등의 도입 - 지방 사립대학 개혁을 통한 지역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 - 대학입시제도 개혁으로 학력(學歷)주의 타파와 배움의 힘(學力) 중심 중·고등교육체제 구성
4.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실현 - 학교와 마을의 공간 공유 및 내용적 교류를 통해 마을을 향해 열린 학교 구현 - 학교와 마을 간 울타리를 넘나드는 배움의 연대와 마을의 교육력 향상 방안 마련 - 삶과 배움을 연계하는 융합적 교육체제를 통한 미래교육 구현
2022년 2월 21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교육위원회
* 문의 : NCCK 교육위원회 강석훈 목사 (010-2766-6246) * 첨부 : <평화와 공존의 교육 공공성 실현을 위한 정책제안서> 1부 끝. |
|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Tel. 02-742-8981 Fax. 02-744-6189 Email. kncc@kncc.or.kr http://www.kncc.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