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매 시간 전쟁과 테러로 인해 죽어간 이들 앞에 드리는 평화의 기도 시간을 갖습니다. 신 리 (신 리와 모두 아름다운 사람들 대표) 10월 16일(목) 박성준 박사 (성공회대 교수, 움직이는 학교 대표, 비폭력평화물결 상임공동대표) 10월 30일(목) 유은하(동안교회, 평화운동가) 전쟁과 폭력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평화운동가를 초청해 폭력의 처참한 현실과 평화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증언한다. 11월 13일(목) 도라산 통일전망대(판문점) (동북아 평화협의회 참가자들과 함께) 11월 24일(화)
김오성 목사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소 연구원, 감리교 영화모임 케노시스 회원) 우리가 말하는 평화는 우리의 삶과 아주 밀접해 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자연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발생한다. 평화는 관념적인 단어가 아니라 그 말 자체에 실천, 운동의 의미가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 평화는 무엇이며 평화의 영성은 무엇인가? 11월 27일(목) 이김현숙 선생 (평화를 여는 여성회) 이 땅의 여성, 어머니의 눈과 마음으로 바라본 평화와 생명 12월 4일(목) 이현주 목사 존재가 평화롭지 않고서는 평화를 말할 수 없다. 존재의 자유, 해방, 평화가 있을 때 타자와 평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12월 16일(목) 1월 29일(토) 신 리 (신리와 모두 아름다운 사람들 대표) 2월12일(목) 장회익 교수(녹색대학교 교수) 온 생명과 보생명, 그 생명들의 평화로운 관계 2월 19일(목) 허병섭 목사(녹색대학교 교수) 교육은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로 건너가는 징검다리입니다. 평화와 상생의 시대를 열어 가야하는 지구의 내일과 먼 미래를 위해 교육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 것인지를 들어 본다. 3월 4일(목) 3월 18일(토)
전 세계교회에서 8개 도시에서 실행되고 있는 폭력극복 프로그램을 통해 교회의 폭력극복운동을 알아보고 지역교회, 청년회에서 할 수 있는 평화 프로그램을 구상해 본다. 4월 1일(목) 4월 9일-10일(1박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