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제1회 아시아생명농업포럼 안내

입력 : 2006-08-14 03:59:47 수정 :

인쇄

Ⅰ. 경 과

 

2005년 4월, 세계교회협의회(WCC), 세계개혁교회연맹(WARC), 세계YMCA, 세계YWCA 등이 주축이 되어있는 “대안적 세계화를 위한 에큐메니칼연대"(Ecumenical Coalition for Alternative Globalisation)와 한국준비위원회가 강원도 원주의 토지문화관에서 개최한 제1회대안농업 세계포럼에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의 이홍정 국장이 참석하여 앞으로 아시아 차원의 포럼을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였다.

 

이후 2005년 11월 한국준비위원회가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으로 조직 전환하여 상시활동을 하게 되었고 이홍정 국장의 제안과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의 제안 수용으로 행사를 준비하게 되었다.

 

 

Ⅱ. 목적 및 취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세계화는 경제가 지니고 있는 도덕적, 정신적 가치를 제거한 채 무한경쟁을 유도하고 거대한 초국적 자본의 이익 추구에 복무하는 정의롭지 못한 세계화이다. 자본과 시장을 신으로 섬기고, 지구의 한정된 자원을 무한정 약탈하여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시키며, 인류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더 심하게 조장하고 있는 현재의 세계화는 인류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반생명적인 세계화이다. 이 세계화로 인해 제3세계 특히 아시아의 전통농업이 점차 사라지고 그에 기반했던 건강한 농촌기초공동체들이 파괴되어 농민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석유에너지에 기반한 현재의 공업중심의 도시문명은 파멸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생태계 파괴와 그로 인한 기후대재앙의 발생 등은 현재 누리고 있는 인류의 삶을 근본부터 흔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세계교회 및 아시아교회는 인류의 미래를 우려하면서 대안적 세계화에 대한 모색을 해왔으며 그 대안을 생명농업 및 그에 기반한 생명공동체의 건설에서 발견하였다.

 

아시아의 경우 농업은 아직 중요한 생활의 터전이다. 앞으로도 농업은 아시아인의 삶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제 교회는 정의롭지 못한 현재의 경제세계화에 저항해야하며 동시에 대안적 세계화를 모색해 나가야 한다. 생명농업운동과 건강한 기초공동체의 건설은 인류의 미래를 준비하는 대안적 노력이며 중요한 선교과제이다. 생명농업운동을 통한 지역경제 및 공동체의 강화는 바로 그 활동의 중심적 실천 과제이다.

 

이번의 제1회 아시아기독교생명농업포럼은 그 사실을 확인하고, 고백하고, 네트웍을 구축하는 중요한 모임이 될 것이다.

 

이번 행사는 2005년도 원주에서 개최한 세계포럼의 아시아 차원의 모임이다. 한국기독교의 생명농업운동의 역량은 지난 30여년간 축적되어 왔으며 이제는 세계 및 아시아 차원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의 창립으로 국가적 차원의 조직을 제일 먼저 하였고, 세계포럼 및 아시아 포럼을 한국에서 시작함으로써 생명농업운동을 통한 생명선교의 세계화를 앞장서서 이끄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앞으로 3년에 한번씩 아시아포럼이 진행될 예정이며 제2회 세계포럼은 2008년도에 탄자니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의 대표는 한경호 목사(21세기농촌선교회)이며 총무는 김광욱 목사(충주 대평교회)이다. 이번 행사의 진행팀장은 천정명 목사(경북 봉화 옥방교회)가 맡는다.

 

 

Ⅲ. 아시아기독교생명농업포럼 행사 개요

  1. 행사명 : 제1회 아시아기독교생명농업포럼

    (1st Asian Ecumenical Forum on Life-Giving Agriculture)

  2. 행사기간 : 2006년 8월 25일(금)-30일(수) 5박6일
  3. 행사장소

    -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8월 25-26일 오전)

    - 생명농업현장 5곳(8월 26일 오후-8월 27일 오후)

    - 충남 홍성군 홍동면 문당리 환경농업교육관(8월 27일 저녁-8월 30일 오전)

  4. 주 최 :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
  5. 참가규모 : 해외 30명, 국내 30명 총 60명(고정 참가자)
  6. 일정표

     

    [제1일(8. 25, 금)]

    16:00            도착 및 등록

    17:00            소개 및 오리엔테이션

    18:00            개회예배(YMCA연맹준비)

    19:00            저녁식사

    20:00            축하공연(YMCA연맹준비)

     

    [제2일(8. 26, 토)]

    07:30            아침식사

    08:30            성서연구(1) “생명농업의 성서적 기초”

        정호진 목사(인도 농업선교사)

    09:30            발제(1) “신자유주의 경제세계화와 생명농업”

        장윤재 교수 (이화여대)

    10:30            휴 식

    11:00            발제(2) “한국기독교생명농업의 현황과 과제”

        한경호 목사(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 대표)

    12:00            점심식사

    13:00            그룹별로 현장으로 출발(5곳), 견학, 취침

        아산 송악교회(이종명 목사)

        아산 새암교회(임인수 목사)

        완주 율곡교회(여태권 목사)

        김제 들녘교회(이세우 목사)

        성공회 남양주 샬롬의 집

     

    [제3일(8. 27, 일)]

        현장 상황에 따라 진행

        주일예배, 친교, 현장견학

    18:00            충남 홍성 문당리 환경농업교육관으로 집결

    19:00            저녁식사

    20:00            현장견학 소감 발표 및 토론

     

    [제4일(8, 28, 월)]

    07:30            아침식사

    08:30            성서연구(2) “로마제국의 경제와 신약성서의 대안 경제”

        배현주 교수 (부산 장신대)

    09:30            발제(3) “아시아 생명농업의 현황과 과제”

        노자끼 선생(일본 ARI 교장)

    10:30            휴식

    11:00            각 국의 현장 사례발표(1)

        (1) 필리핀: Elmer Garcia Te Eng Fo

        (2) 인도네시아: Augustus Purba

        (3) 동티모르:Mr. Leandro Tilman

        (4) 미얀마: Mr. Saw Hla Pe

        (5) 대만: Mr. Yohani Isqaqavut

        (6) 캄보디아: Mr Soum Chournchan Sy

    13:00            점심식사

    14:00            홍성 현장 견학(풀무학교, 풀무생협 등)

    16:00            홍성읍내로 이동(홍성교회)

    16:30            현장발제 “풀무학교와 지역공동체 운동”

        홍순명 선생(풀무학교 전공부 교장)

    17:30            그룹토의(1) “생명농업운동과 지역공동체의 형성”

    19:00            저녁식사

    20:00            홍성지역 주민 및 참가자들의 문화공연(홍성 YMCA 준비)

    21:30            문당리로 이동

     

    [제5일(8. 29, 화)]

    07:30            아침식사

    08:30            성서연구(3) “생명의 영성 그리고 치유와 화해”

        Rev. Jeyanth Jeyaveerasingan

    09:00            각 국 현장의 사례발표(2)

        (7) 인도: Mohanish Keskar

        (8) 스리랑카:Rev. Jeyanth Jeyaveerasingan

        (9) 파키스탄: Mr. Daniel Chaudlhary  

        (10) 오스트레일리아: John Ruhle

        (11) 대만: Mr. Yohani Isqaqavuk

    11:00            휴식

    11:30            각 국 현장의 사례발표(3)

        (12) 중국: Mr Wang Baocheng

        (13) 일본: Rev. Naoto Ikesako

        (14) 한국: 김인수 박사 (민들레공동체)

    13:00            점심식사  

    14:00            그룹토의(2) “생명농업운동과 대안공동체:

        치유와 화해를 향한 에큐메니칼 과정“

    15:00            그룹토의(1)(2) 결과 발표

    16:00            휴식

    16:30            전체토의 “아시아 생명농업운동의 발전방안”:

    18:00            저녁식사

    19:00            최종메시지 채택

    20:30            함께 드리는 예배 및 애찬(YWCA연합회준비)

     

    [제6일(8. 30, 수)]

    07:30            아침식사 및 자기 나라로 출발

 

 

* 문 의 : 한경호 목사(033-764-8098), 김광욱 목사(019-418-6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