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같지 않다”고 말한다.
“이 같은 한국 교회 인권 정책의 부제는 시대 변화에 따른 전문성을 갖추기 못한 것에서 비롯됐다.”
한국교회 인권운동 30년사를 집필한 조이제 목사(새누리교회)는 이 같이 말하고 국가인권위의 설립과 함께 전문성 부족과 교회의 참여 부족이 과거의 영광을 바라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교회의 인권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교회 인권 정책협의회가 10월22일 오후 2시 한국교회백주년기념회관에서 한국교회인권센터 주최로 개최됐다.
발제는 새누리교회 조이제 목사와 한국교회인권센터 최재봉 목사가 역사평가와 한국교회 인권센터의 활동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김영주(남북평화재단 상임이사)·남재영(대전 NCC회장)·김용성(광주 NCC운영위원) 목사가 발제에 대한 논찬을 담당했다.
한국교회 인권선교 30년의 역사와 평가를 주제로 주 발제를 한 조이제 목사는 "여러 인권단체들에 의한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기에 교회 인권이 모든 분야의 인권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없다“며 ”교회 기관이란 정체성을 갖는 활동의 전문화가 이뤄질 때 방향 설정도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권센터가 몇몇 사람들의 활동이란 한계를 극복해 일반 대중 특히 교인들이 참여하는 활동이 돼야 한다"고 덧붙이며 "국가보안법 및 사형폐지 등 인권 관련법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논찬을 맡은 김영주 목사도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곳인지 사업 단체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활동 범위를 분명히 정하고 전문성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권에 대한 신학적 접근과 연구는 이미 오랜 동안 해 왔던 만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교육하고 활동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며 교회 인권 활동의 실천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