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대한성공회는 세계화 흐름 속에서 무너지고 있는 삶의 보루인 ‘가정’에 대한 선교적 대응전략을 모색하고자 10월 19일(금) ~ 25일(목)까지 파주 ‘지지향’ 호텔에서 ‘세계화와 변화하는 가족의 삶’이라는 주제로 ‘가족과 폭력’ 국제회의를 공동주관한다.
가정의 구조적, 기능적, 정서적 측면들을 되짚어 보고, 사회와 가정에 깊이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폭력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며, 건강한 사회와 가정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대할 수 있는 아시아 ‘네트워크’를 조직하고자 합니다.
∎ 행사 일정
10월 19일(금)
첫날은 기독교 신앙전통을 바탕으로 한 공동고백과 선교적 소명에 응답하기 위한 개회예배와 낯설고 서먹한 첫 만남을 해소해 줄 환영만찬의 시간이 있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
점심식사 |
도착 |
15:00 ~ 15:30 |
오리엔테이션 |
정해선 국장(NCCK) |
15:30 ~ 17:00 |
개회예배 |
|
18:00 ~ |
환영만찬 |
|
10월 20일(토)
둘째 날은 주제강연과 각 국의 세계화와 가족관련 이슈들을 알아봄으로써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향후 일정동안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할 ‘과제’들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
아침식사 |
|
09:00 ~ 09:30 |
아침기도 |
김홍일 신부 |
09:30 ~ 11:00 |
주제강연 : “세계화와 변화하는 가족의 삶” |
양권석 부총장(성공회대) |
11:00 ~ 12:30 |
Session 1-1 |
각국의 세계화와 가족의 문제발표 |
12:30 ~ 14:30 |
점심식사 |
|
14:30 ~ 16:45 |
Session 1-2 |
각국의 세계화와 가족의 문제발표 |
17:00 ~ 19:00 |
남양주 이주노동자센터 ‘샬롬의 집’으로 출발 |
‘샬롬의 집’ 소개와 이후 프로그램에 대한 간략한 소개 |
19:00 |
남양주 도착 |
|
19:30 ~ 21:00 |
아시아인들의 저녁식사 |
각국의 이주노동자들이 마련한 각국‘음식’으로 저녁 |
21:00 ~ |
숙소 배정과 나눔 |
조별 프로그램 |
10월 21일(일)
셋째 날은 ‘샬롬의 집’ 이주노동자들과 함께 예배와 친교의 시간을 가짐으로써 아시아인들의 삶과 영성, 정의와 화해의 사회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진솔한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아침식사 |
|
09:00 ~ 10:30 |
발제 |
■ 발제 “‘샬롬의 집’ 현황으로 본 이주자들 의 실제” - 이정호 신부 |
10:30 ~ 10:45 |
휴식 |
|
10:45 ~ 11:45 |
주변지역 탐방 |
‘샬롬의 집’ 주변 공단 현장방문 |
11:45 ~ 12:50 |
점심식사 |
|
13:00 ~ 14:30 |
감사성찬례 |
미얀마 Saw Sunday Archdeacon 집전, Grisworth 대주교설교 |
15:00 ~ 17:00 |
숙소로 이동 |
|
17:30 ~ 19:00 |
저녁식사 |
|
19:00 ~ 21:00 |
소그룹토의 |
‘샬롬의 집’ 방문에 대한 느낌 나누기 |
10월 22일(월)
넷째 날은 국제매매혼, 이중문화가족간의 갈등 등 ‘이주노동자’ 가정의 문제를 알아본다. 또한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 연주로 선교활동을 하고 있는 ‘열두줄가야금선교회’ 공연을 통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아침식사 |
|
09:00 ~ 09:30 |
아침기도 |
|
09:30 ~ 12:30 |
Session 2-1 |
■ 발제 “이주노동자와 그 가정의 문제” - 한국염 대표(이주여성인권센터) ■ 증언 3인 |
12:30 ~ 14:30 |
점심식사 |
|
14:30 ~ 15:00 |
문화공연 |
‘열두줄 가야금 선교회’ (평동감리교회) |
15:00 ~ 18:00 |
Session 2-2 |
■ 발제 “국제 매매혼” - Fe Damaguen (필리핀) ■ 증언 3인 |
18:00 ~ 19:30 |
저녁식사 |
|
19:30 ~ 21:00 |
Workshop |
교회현장에서 적용할 프로그램 작성 |
10월 23일(화)
다섯 째 날은 급변하는 경제적, 사회적 현상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가정폭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한국교회의 선교적 대응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아침식사 |
|
09:00 ~ 09:30 |
아침기도 |
|
09:30 ~ 11:00 |
워크숍 |
점토사람 만들기 |
11:00 ~ 12:30 |
Session 3-1 |
■ 발제 “가정폭력에 대한 한국교회의 선교 적 대응” - 오동균 신부 |
12:30 ~ 14:30 |
점심식사 |
|
14:30 ~ 18:00 |
Session 3-2 |
■ 발제 “세계화와 어린이 폭력에 대한 선교적 대응” - Rebecca Wong(홍콩) |
18:00 ~ 19:30 |
저녁식사 |
|
19:30 ~ 21:00 |
소그룹토의 |
각 국가의 선교적 대응 |
10월 24일(수)
여섯 째 날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정기수요시위, ‘이주여성긴급전화1366’ 현장방문이 있는 날이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아침식사 |
|
09:00 ~ 09:30 |
아침기도 |
|
09:30 ~ 11:00 |
특강 “가정과 영성” |
Grisworth 대주교 |
11:00 ~ |
일본대사관으로 이동 |
정대협 정기수요시위의 의미 소개 - 정해선 국장(NCCK) |
12:00 ~ 13:00 |
정기수요시위 |
대표자 발언 |
13:00 ~ 14:00 |
점심식사 |
|
14:00 ~ 15;00 |
1366센터로 이동 |
|
15:00 ~ 16:00 |
1366센터방문 |
이주여성긴급전화1366센터 소개 - 강성혜 소장 |
16:00 ~ 17:00 |
Reflection |
수요집회, 1366센터 방문 느낌 나누기 |
17:00 ~ 17:30 |
시내로 이동 |
|
17:30 ~ 19:00 |
저녁식사 |
|
19:00 ~ 21:30 |
남대문 관광 |
|
21:30 ~ |
숙소로 이동 |
|
10월 25일(목)
마지막 날은 한 주간 동안 강의, 현장탐방, 지역이슈 나누기 등을 통해 공유한 문제인식과 과제를 바탕으로 전체토의에서 종합하고, 향후 아시아 지역차원에서 공동대응을 위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한다.
시 간 |
프로그램 |
내 용 |
07:30 |
아침식사 |
|
09:00 ~ 09:30 |
아침기도 |
|
09:30 ~ 12:30 |
전체토의 / 네트워크 구축 |
■ 사회 : Kei Ikezumi(일본) |
12:30 ~ 14:30 |
점심식사 |
|
14:30 ~ 16:00 |
전체토의 / 네트워크 구축 |
■ 사회 : James Chan(싱가포르) |
17:00 ~ 18:00 |
폐회예배 |
성찰과 결단의 예배 |
18:30 ~ |
폐회만찬 |
참가자 |
10월 26일(금)
아침식사, 각국으로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