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조속히 시행하라.
그동안 남북 화해와 평화, 통일을 위하여 기도하고 노력해 온 본 협의회는 이명박 정부가 실용주의 입장에서 남북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실질적으로 앞당기는 정부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남북한 사이에는 1990년 대 이후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 협력 사업을 통하여 화해와 평화의 분위기가 꾸준하게 조성되어 왔고, 최근에는 6자 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북미 당국자 사이에 북한의 핵폐기 문제가 해결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비핵․ 개방, 3000’을 대북 정책으로 밝힌 이후 남북 관계가 경색 국면을 맞이하고 있고, 절대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들의 생존을 위한 식량과 비료의 지원조차 중단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남북 당국자 사이의 대화 단절과 비방은 그동안 남한에 새 정부가 들어선 후에 새로운 관계가 정립될 때까지 늘 있어 왔던 현상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우리 정부는 이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한 동반자로서 대응하는 성숙한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민족 간의 협력’과 ‘남북 정상의 만남’, "남북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표방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성숙한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만 실현이 가능한 정책이다.
특히 최근 세계식량프로그램(WFP)과 국제구호기구 등에서는 올해 심각한 식량 부족으로 북한 주민들이 대량 아사하는 사태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06년과 2007년의 연이은 큰 수해로 식량 생산량이 격감했고, 핵실험 후 외부 지원의 감소와 최근 국제 식량가격 폭등 및 중국의 수출 관세 인상에 이은 수출 중단으로 수입량 절대 부족 등으로 북한에는 다시 식량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다음 두 가지 입장을 밝힌다.
첫째, 아사 상태의 동족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은 하나님을 공경하는 신앙적인 행동임을 기억하며(잠 14:31) 본 협의회는 모든 회원교단 및 세계 교회와 함께 이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자 한다.
둘째, 이명박 정부가 북한 주민들에게 식량과 비료 등의 인도적인 지원을 정부 차원에서 즉각 행할 것 간곡하게 요청한다.
생존과 관련된 인도적인 문제는 이념과 체제를 넘어서서, 또 북한 당국의 요청이 있는지 등의 여부와 관련 없이 정부 차원에서 적극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명박 정부가 이와 같은 인도적인 지원을 기초로 상호 신뢰를 구축하고, 한반도 화해와 평화를 실질적으로 발전시키는 정부가 되고, 남북의 우리 민족 모두에게 희망을 주는 정부가 되기를 기원한다.
2008년 5월 7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 무 권오성
화해․ 통일위원장 이종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