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성명]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우리의 주장

입력 : 2014-02-03 10:54:25 수정 :

인쇄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우리의 주장 -
   
우리는 2014년 1월 27일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2014 한반도 평화통일 심포지엄”에 참가하였다. 본 심포지엄은 2013년 10월 30일 ~ 11월 8일까지 부산에서 개최된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 10차 부산총회가 공식적으로 채택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선언”을 환영하며 현 상황에서 한국교회와 사회가 함께 해야 할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 개최되었다.

WCC 10차 부산총회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선언”을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앞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순례의 여정에 함께 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로써 세계교회는 한반도 평화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한국교회와 굳건한 연대를 통해 선언문의 내용들을 실천해 나갈 것이다.

본 심포지엄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선언”을 검토한 우리는 한반도 평화를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주장하며, 이를 조속히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중간에 막힌 담을 허시고(엡 2:14)."

첫째, 정전협정을 폐기하고 전쟁 당사국들 사이에 평화조약을 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간의 평화를 위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특히 지난 1월 16일 북한 국방위원회로부터 온 상호비방금지, 군사적 적대행위 전면중지, 한반도 비핵화 등의 내용을 담은 중대 제안에 대해 정부는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이는 세계교회의 요청과도 일치하는 것이며,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취해야 할 조치이다. 또한 북한을 유엔에 한 회원국으로 확인하고 반국가 단체로 규정하고 있는 국가보안법을 즉각 철폐해야 한다.

둘째, 한반도에서의 군사훈련은 중단되어야 한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해야 한다. 정부가 계속되는 북한의 ‘평화’를 위한 요청을 무시하고, 오히려 2월말 한미합동 군사훈련인 키리졸브 훈련과 독수리 훈련을 실시하여 북한을 군사적으로 자극하는 것은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도박행위이다. 92년 노태우 정부도 남북의 화해와 대화를 위해 군사훈련을 중단한 바 있다. 앞선 정부의 좋은 선례를 따라 현 정부도 예정된 군사훈련을 중단해야 하며 상호신뢰 구축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사훈련을 강행할 경우 우리는 직접 평화행동에 나설 것이다.

셋째, 미국은 1950년부터 지정해온 대북경제봉쇄를 즉각 해제하고, UN은 대북제재 결의안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 아울러 한국정부는 5.24 조치를 즉각 철회하고 남북경제협력을 통해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 적극 힘써야 한다. 경제제재는 오히려 북한주민의 삶만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귀중한 생명까지 희생당하는 일은 더 이상 벌어져서는 안된다.

넷째, 남북한 당국은 이 모든 일에 앞서 조건없는 대화에 나서야 한다. 이 대화를 통해 남북분단으로 인해 60년간 가족과 떨어져 살아온 모든 이들을 위해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이산가족 만남의 장을 열어야 한다. 또한 심각한 식량난으로 인해 생존권의 위협을 받고 있는 북한에 식량을 비롯한 인도적 지원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우리는 민족의 분단을 극복하고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기도하며 실천해 나갈 것이다.  
 
2014년 1월 27일
2014 한반도 평화통일 심포지엄 참석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