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교회협 언론 2017 - 87호 (2017. 6. 28) 수 신 : 각 언론사 발 신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언론위원회 제 목 : “6월의 시선 2017 -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 선정
| |
NCCK 언론위, 6월의 시선 2017 -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김영주 목사) 언론위원회(위원장 이동춘 목사)는 「NCCK 언론위원회가 주목하는 시선 2017」의 6월 시선으로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를 선정했습니다.
이는 문정인 대통령통일외교안보특보의 ‘소신발언’과 사드(THAAD) 배치 문제를 계기로 한국 언론이 드러낸 ‘친미사대’의 민낯을 확인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본위원회는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미연합훈련 규모 축소를 미국과 상의할 수 있다”는 문정인 특보의 발언에 대해 한국 언론은 한미 동맹에 균열이 날 것처럼 호들갑을 떨었고, 화들짝 놀란 청와대는 서둘러 문 특보를 ‘엄중 경고’해 진화에 나섰던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한국 언론이 마치 약속이나 한 듯,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내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해 ‘격노했다’는 보도로 헤드라인과 지면을 장식한 것입니다. ‘트럼프 격노’ 보도는 출처가 불확실해 기사로서 요건도 부실하거니와, 한국은 상전인 미국의 심기를 건드려서는 안된다는 뿌리깊은 친미사대주의에 물든 부끄러운 언론의 자화상이라고 판단합니다.
NCCK 언론위원회는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한 추태에 가까운 호들갑과 ‘트럼프 격노’라는 과공비례의 언론 현실에 주목합니다. 이와 같은 보도에서 언론이 ‘현대판 사대주의’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남북한이 주도하는 통일은 커녕 대화도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새삼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에 NCCK 언론위원회는 미국 언론보다 더 친미-사대적인 한국 언론의 민낯을 톺아보는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를 6월의 시선으로 선정합니다.
자세한 선정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귀 매체의 보도를 요청합니다.
- 다음 -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
NCCK 언론위원회 6월의 시선,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 선정
문정인 대통령통일외교안보특보의 ‘소신 발언’과 사드(THAAD) 배치 문제를 계기로 한국 언론이 ‘친미사대(事大)의 민낯’을 드러냈다.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미연합훈련 규모 축소를 미국과 상의할 수 있다”는 문정인 특보의 발언에 대해 한국 언론은 한미 동맹에 균열이 날 것처럼 호들갑을 떨었다. 화들짝 놀란 청와대는 서둘러 문 특보를 ‘엄중 경고’해 진화에 나섰다. 더 놀라운 사실은 한국 언론이 마치 약속이나 한 듯,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내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해 ‘격노했다’는 보도로 헤드라인과 지면을 장식한 것이다. ‘트럼프 격노’ 보도는 출처가 불확실해 기사로서 요건도 부실하거니와, 한국은 상전인 미국의 심기를 건드려서는 안된다는 뿌리깊은 친미사대주의에 물든 부끄러운 언론의 자화상이다. NCCK 언론위원회는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한 추태에 가까운 호들갑과 ‘트럼프 격노’라는 과공비례의 언론 현실에 주목했다. 이와 같은 보도에서 언론이 ‘현대판 사대주의’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남북한이 주도하는 통일은커녕 대화도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새삼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에 NCCK 언론위원회는 미국 언론보다 더 친미-사대적인 한국 언론의 민낯을 톺아보는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나?’를 6월의 시선으로 선정했다.
문정인 특보는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미연합훈련 규모 축소를 미국과 상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사드가 (한-미)동맹의 전부는 아니다”며 “사드 문제 해결 안 되면 한미동맹이 깨진다면 이게 무슨 동맹이냐?”고 반문했다. 동아시아재단과 우드로윌슨센터가 5년째 해마다 개최해온 한미동맹 관련 학술회의에서다. 문 특보의 발언은 남북 대화 재개와 북핵 문제 해법을 찾기 위한 상식 수준의 대안을 담은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후보시절 공개석상에서 비슷한 취지의 해법을 밝힌 바 있다. 문 특보는 ‘규모 축소(scaling down)’ 발언은 대통령의 후보 시절 발언 수준에 맞춰 얘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를 실패로 규정하며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동결 대 동결’은 미국 조야에서 통용되는 북핵 해법 중의 하나인 것이다. 샘 넌 상원의원과 마이크 멀린 전 합참의장은 지난해 11월 미국 외교협회(CFR)의 공동 보고서에서 ‘북한이 핵미사일을 동결하면 미국과 한국은 합동군사훈련을 동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해법으로 제시한 바 있다. 가까이는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과 브루킹스연구소의 마이클 오핸런 선임연구원도 비슷한 주장을 했다. 또 랜드연구소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도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하며 ‘규모 축소’는 가능하다고 밝혔다. VOA에 따르면, 베넷 선임연구원은 “문 특보가 실제로 한 말은 군사훈련에 동원되는 미국의 폭격기와 같은 전략자산의 배치를 줄이자는 것”이라며 “이런 비행 전개를 줄이는 것은 미국의 국방예산을 줄일 것이고, 미국과 한국의 동맹에 문제가 생기지도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런데도 문 특보의 발언은 정작 미국 현지가 아닌 한국에서 일파만파를 불러왔다.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언론은 문 특보가 미국에 해서는 안될 발언(No)을 함으로써 마치 미국의 심기를 건드리는 ‘불경죄’를 저지른 것처럼 '한미 동맹에 균열이 우려된다'고 앞장서 성토했다. 조중동은 문 특보의 주장이 한반도 긴장 완화에 얼마나 효용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보다, 그의 발언에 미국이 얼마나 불쾌해 할지와 북한의 주장과 얼마나 닮은 구석이 있는지를 따지는 친미사대 및 종북몰이 보도에 급급했다. 이를 테면 ▲조선일보의 <대통령 외교특보의 워싱턴 발언 파문>(6/19, 1면 https://goo.gl/6Yv6dS)과 <"美가 전략무기 배치하니까 北이 미사일 개발? 文특보, 韓·美입장 뒤집고 北논리 대변한 것">(6/19 https://goo.gl/n6N1Ch), ▲동아일보의 ▲<정상회담 앞 '한미훈련 축소' 꺼낸 문정인>(6/19 1면, https://goo.gl/XhzDnX)과 <적·전·균·열>(6/20 1면, https://goo.gl/iTBFzC) ▲중앙일보의 <사드 이어 문정인…싸늘해지는 워싱턴>(6/19 https://goo.gl/AKX5uY) 등이 대표적 사례다. 물론, 미국 조야에도 문 특보의 발언에 우려하는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VOA에 따르면, 보수세력을 옹호하는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문 특보의 발언은 “한-미 관계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고 전제하고, “한국 정부가 미국 정부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대북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독자적인 대북정책 추진은 미국 학자나 언론이 우려할 일일지는 몰라도 한국 언론이 걱정할 일은 아닐 것이다.
미국 언론보다 더 친미-사대적인 한국 언론의 성토에도 불구하고 문정인 특보가 ‘소신 발언’을 이어가자(정작 문 특보는 미국에 있는 동안 한국 언론매체를 보지 않아 보도 양태를 몰랐다고 한다), 급기야 한국 언론은 마치 약속이나 한 듯,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내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해 ‘격노했다’는 보도를 쏟아냈다. ▲TV조선의 <"차라리 사드 빼라" 크게 화내>(6/19 http://bit.ly/2rL1ipm) ▲동아일보의 <사드 → 6·15 → 문정인 연쇄논란… 트럼프 백악관 회의중 '버럭'>(6/20 https://goo.gl/JDMgMZ) 보도가 그런 사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각 지난 8일 틸러슨 국무장관, 매티스 국방장관과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났습니다. 두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사드 배치가 지연되는 한국의 국내 상황을 이해해 달라’고 요청한 사실을 보고하며 사드와 관련한 새 타협안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크게 화를 낸 것으로 전해집니다. 언짢은 표현과 함께 ‘차라리 사드를 빼라’고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TV조선)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과 회의 도중 한국의 사드 배치 논란에 크게 화를 냈고, 욕설까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를 두고 ‘반미(反美)면 어떠냐’고 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의 한미 관계를 떠올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한미 관계의 균열 조짐은 결국 북한에만 득이 될 뿐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동아일보) 한국 언론은 트럼프가 ‘버럭’ 화내는 장면을 본 듯이 묘사함으로써 마치 ‘트럼프의 격노’가 문정인 특보 발언과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 그러나 두 기사 모두 출처(취재원)가 없는 가운데 ‘알려졌다’거나 ‘전해졌다’는 전언(傳言)일 뿐이다. 설령 전언이 사실이라고 해도, 트럼프의 격노(8일)는 문정인 발언(16일)보다 8일 앞서 나온 것이다.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다는 얘기다. 실제로 미국 언론에서는 ‘트럼프 격노’ 기사를 찾아볼 수가 없다. 이쯤 되면 트럼프가 격노했는지조차 의문이다.
6월은 6.25전쟁(1950년)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이 서린 호국의 달이지만, 분단 이후 반세기만에 남북한 정상이 손을 맞잡은(2000년 6.15공동선언) 민족화해의 달이기도 하다. 김대중 대통령은 클린턴 대통령을 설득해 대북정책의 조수석에서 운전석으로 옮겨 앉아 역사적인 6.15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시켰다. 우리의 운명을 우리가 주도함으로써 민족공조와 국제공조가 상호 보완적일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그렇다고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데 "어느 동맹국도 민족보다 더 나을 수는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국제정치에서 동맹은 국가의 생존과 국익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한미 동맹 또한 생존과 국익, 즉 한반도의 안정과 번영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그러나 한미 동맹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한반도가 지구상의 유일한 ‘냉전의 섬’으로 남은 가운데 한미 동맹체제가 장기간 지속하다 보니 수단과 목적을 혼동하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한국 언론에 묻는다. 당신은 어느 나라 언론인가,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한국은 미국에 노(No)라고 말하면 안되는가? NCCK 언론위원회가 6월의 시선으로 선정한 주제이자 세상에 던지는 질문이다.
* 문의 : 홍보실 (02-742-8981)
| |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Tel. 02-742-8981 Fax. 02-744-6189 Email. kncc@kncc.or.kr http://www.kncc.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