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교회협 언론 2018-138(2018. 11. 1.) 수 신 : 각 언론사 발 신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제 목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소장 민주화운동 사료’ 위・수탁에 관한 업무협약식 보도 요청의 건
| |
1. 귀 언론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교회협)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기념사업회)는 11월 1일(목) 오전 11시에 교회협 총무실(종로5가 기독교회관 708호)에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3. 이번 업무협약은 교회협이 소장 중이던 민주화운동 사료들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 기념사업회의 보존서고에 위탁보관하고 디지털화하여 사업회의 사료관리시스템에 등록한 후 공익적・학술적 목적을 위해 일반에 공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업무협약의 대상이 되는 사료는 오재식 선생 관련사료, 홍근수 목사 관련사료와 교회협 인권위원회가 1978년부터 매주 발행해온 “인권소식”과 이것이 발전한 잡지, 「월간 인권」, 「계간 인권」입니다.
4. 이번 업무협약에는 교회협 이홍정 총무와 김영주 총무국장, 기념사업회 정진우 상임부이사장과 홍계신 사료관장이 참석하였습니다. 정진우 상임부이사장은 오재식, 홍근수 두 분은 본인도 매우 잘 아는 분들이며,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의 역사에 귀중한 역할을 하신 분들이기에 이 사료들을 통해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을 발견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교회협의 기념사업회를 믿고 자료를 맡겨준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습니다. 홍계신 사료관장 역시 책임감을 갖고 정리를 잘 해서 공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교회협의 이홍정 총무는 교회협이 스스로 이 자료들을 정리하고 일반에 널리 알릴 수가 없어서 고민이 컸는데 흔쾌히 기념사업회가 이 짐을 맡아 준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습니다.
5. 오늘 업무협약을 맺은 사료들은 이달 20일 기념사업회로 이관될 예정입니다.
6. 귀 사의 보도를 요청합니다.
문의 : 손승호 간사(02-762-6114)
붙임 : 참고자료 및 사진 - 참고1 : “민주화 교회일치 큰별 오재식 박사 소천” - 참고2 : “평화와 통일의 사도 홍근수 목사 잠들다”
| |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Tel. 02-742-8981 Fax. 02-744-1689 Email. kncc@kncc.or.kr http://www.kncc.or.kr
|
참고 1 : 민주화 교회일치 큰별 오재식 박사 소천
(http://well.hani.co.kr/130319)
한국 교회일치운동의 대부’이자 ‘민주화·통일운동의 숨은 유공자’인 오재식 박사가 암투병 끝에 3일 저녁 8시20분께 서울대병원에서 소천했다. 향년 81.
1932년 12월 제주도(당시 전남) 추자도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종교학과를 거쳐 미국 예일대 신학대학원에서 ‘사회운동 조직의 대가’로 꼽히는 알린스키로부터 실습훈련을 받은 것을 계기로 평생토록 사회조직 활동가로서 현장을 지켜왔다.
67년 귀국한 뒤 한국학생기독교운동협의회(KSCC) 간사와 한국와이엠시에이(YMCA) 간사,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총무 등을 맡으며 기독학생운동에 앞장섰다.
특히 70년대 아시아기독교교회협의회 도시농촌선교회 간사와 국제부 간사를 맡아 일본에서 거주하면서 유신독재에 항거하는 국내 민주화 투쟁을 지원했다. 지명관 선생이 ‘TK생’이라는 필명으로 월간지 <세카이>(세계)에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연재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후원하는 등 국외 민주화 운동의 숨은 조직가로 기여했다. 이 때문에 박정희 대통령의 죽음 이후에야 귀국할 수 있었던 그는 80년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선교훈련원장과 통일연구원장을 맡아 기독교 사회참여와 에큐메니컬운동을 주도했다.
88년부터 세계교회협의회(WCC) 개발국장과 제3국장에 올라 제3세계 개발원조 사업을 생명문화운동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고, 94년 다시 귀국해 참여연대 창립대표 등을 거쳐 월드비전 회장, 월드비전 국제본부 북한국장으로서 북한 구호 사업을 통해 평화통일운동의 ‘물꼬’를 텄다.
함석헌 선생과 주기철·김재준·강원용 목사 등에게 신앙적·사상적 영향을 받은 그는 옛 중앙정보부 비밀사찰 문건에 ‘조직의 귀재’라고 적혀 있었을 정도로 늘 운동 현장에 있었으나 한번도 자신의 이름이나 공을 드러내지 않았다.
고인은 4년 전 발명한 피부암과 췌장암을 이겨내고 지난해 봄부터 <한겨레>의 원로 회고록 ‘길을 찾아서’ 연재를 위한 구술작업을 진행하던 중 대장암으로 전이돼 투병을 해왔다. 구술 내용은 지난해 11월 <나에게 꽃으로 다가오는 현장>(대한기독교서회)으로 먼저 출간돼 팔순 기념으로 헌정됐다. 출간 기념회 당시 “내 이름으로 책을 쓰면 나 자신이 교만해질까 두려웠다”는 소감으로 장내를 숙연하게 했던 그는 “미친 듯이 살아왔다. 후회 없는 삶이었다. 고마웠다”는 말을 유언처럼 남겼다.
<한겨레>는 오는 7일부터 ‘길을 찾아서’에서 고인의 삶을 이영란 작가의 구술정리를 통해 연재한다.
장례위원회(위원장 김근상 주교·호상 김영주 목사)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장으로 5일장을 치르고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 모실 예정이다.
유족으로는 부인 노옥신씨, 아들 승현(엘지화학 정보전자소재 사업본부 부장)씨, 딸 경원·지원씨, 사위 임흥순(미국 뉴욕대 교수)·황후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전남지회 사무처장)씨, 며느리 김효경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학병원, 발인은 7일 오전 9시다. (02)2072-2093.
김경애 기자, 조현 종교전문기자
참고 2 : 평화와 통일의 사도 홍근수 목사 잠들다
(http://christian.nocutnews.co.kr/news/1112328)
통일운동가 홍근수 목사 영결예배가 11일 고인이 16년동안 시무했던 서울 명동 향린교회에서 거행됐다.
한 평생 민족 통일운동에 힘써 평화와 통일의 사도로 불린 홍근수 목사가 마지막 길을 떠났다.
홍근수 목사의 부활증언예배(영결식)가 오늘(11일) 고인이 지난 1987년부터 16년 동안 시무했던 명동 향린교회에서 거행됐다.
영결식에서는 홍 목사의 생전 육성이 공개돼 영결식장을 더욱 숙연하게 만들었다.
홍근수 목사는 생전 육성에서 "예수님의 교훈에 따라서 진보적이고 변혁적인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확신하게 됐다"며, "오늘의 교회는 사회 경제적인 문제들과 관련해 근본적인 본질을 분명히 선언하고 선포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홍근수 목사와 함께 통일운동을 펼쳤던 후배들은 홍 목사를 문익환 목사에 이어 국내 통일운동의 맥을 이은 통일운동가이자 현장성을 중요시했던 목회자였다고 추모했다.
김상근 목사(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명예대표)는 "당신은 곡선이 아니었습니다. 그냥 직선이었습니다. 그게 정곡이었습니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누구보다 분명한 목소리를 냈던 고인을 추모했다.
문규현 신부(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상임대표)는 "홍 목사님은 막다르고 험난한 길에서 스스로 희생제물이 돼 통일과 평화, 진보의 마음, 진보의 이름으로 새 지평을, 새 역사를 열어주시고 길을 만들어 주셨습니다."며, 고인의 죽음을 애도했다.
홍근수 목사는 10년 동안의 미국 목회 활동을 정리하고 지난 1987년 향린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한 뒤부터 한국교회 갱신과 통일운동에 매진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한 홍근수 목사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 탄생에 기여했으며, 1991년에는 한 방송 토론회에서의 북한 고무찬양 발언이 문제가 돼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1년 6개월의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RELNEWS:right}
이밖에 통일운동의 대중화를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이하 평통사)을 1994년에 창립했고, 이후 평통사를 중심으로 SOFA개정운동, 한반도평화협정실현운동 등을 펼치며 자주평화운동 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한편, 통일사회장으로 치러진 홍근수 목사의 장례는 서울 대한문 앞에서 추모집회를 거친 뒤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서의 하관식을 끝으로 모두 마무리됐다.
사상의 경계를 넘은 자유인, 홍근수 목사의 민족 통일에 대한 염원이 홍근수 목사의 마지막 길을 지킨 이들의 가슴 속 깊이 새겨졌다.
CBS노컷뉴스 송주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