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팔-e뉴스 16호) 팔레스타인에서 30일 살기- 소식2

입력 : 2020-02-28 15:08:04 수정 : 2020-02-28 15:08:35

인쇄

팔레스타인에서 30일 살기- 소식2

 

작성: 우리 모두 산다

 

소위 성지를 방문하며 마주치는 젊은 이스라엘 군인들은 총을 든 채, 무장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수시로 나의 종교가 무엇인지 물었고, ‘그리스도교인’이라는 나의 대답은, 그들에게 나를 경계하지 않아도 될 사람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스도교인이라는 정체성이 미국 중심의 제국체제 안에서 ‘안전한 사람’으로 분류되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안도와 굴욕. 누군가 차별 당할 수 있는 이유가 나에게 없어서 다행으로 여겨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언제든지, 어떤 이유에서든지 그 차별의 잣대가 나에게도 올 수 있기에 부당한 것으로 여겨야하는 것인지, 복잡한 심경이 찰나에 교차했다.

 

이분법적 사고. 이토록 편하고 단순하며, 폭력적인 것이 있을까. 아랍/비아랍, 유대/비유대, 그리스도교/비그리스도교, 이슬람/비이슬람. 이분법으로 단순화된 사고는, 그 구분 안에 있는 소수자들의 ‘있음’을 없애버린다. 아랍 그리스도교인, 유대 이슬람, 아랍 유대인의 존재는 쉽게 간과된다. 또한, 특정 권력이 이분법의 기준을 소유할 때, 자신이 선이 되고 다른 한 쪽은 일방적으로 악이 된다.

 

이러한 이분법은 법, 사상, 종교, 그리고 특히 문화를 통해 강화되고 있다. 팔레스타인에서 만난 영화감독은, 유대 자본이 영화, 방송과 같은 미디어를 통해 유대인의 이미지와 아랍의 이미지를, 아랍사람들을 멍청하고, 위험하게 묘사하는 반면, 유대인들을 돈 많고 유쾌하며 똑똑한 사람으로 묘사한다고 한다.

 

지역 곳곳에 지난한 팔레스타인 해방운동 과정에서 죽어간 이들을 추모하는 공간들이 있었다. ‘어느 시기에 죽은 이들을 추모하는 곳이냐’ 묻는 나의 질문에, 가이드는 ‘특정한 시기는 없다. 매일 사람이 죽는다.’라고 답했다. 실제로 지금 Dheisheh 난민 캠프에는 장애를 가진 200명의 아이들이 있다. 이스라엘 군인이 밤중에 와서 죽이고, 끌고가고, 괴롭히고, 무기테스트를 한다고 한다. 골목을 돌아다니는데, 집집마다 사람들의 얼굴이 사진과 그림으로 도배가 되어 있다. 이스라엘에 의해 죽은 사람들이었다. 끝도 없고 계속 죽고 있다는 것이 끔찍한 사실이다. 캠프에서 만난 활동가는 마지막으로 우릴 Shoruq organization의 스튜디오로 초대 했다. 그곳에서는 여러 사진을 찍는 법, 음악 작업, 영상작업 그리고 춤 연습이 이뤄지고 있었다. 대단하다. 정말 이 사람들은. 무엇이 이들을 자신의 삶을 긍정하고 그것을 지켜낼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일까.

 

카이로스 팔레스타인의 젊은 활동가를 만나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분이 말하길 ‘실제로 원수가 내 눈 앞에서 나의 땅, 친구, 가족을 괴롭히는 상황에서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은 너무 어렵다. 어떻게 원수를 사랑할 수 있다는 말인가? 하지만 예수는 원수를 미워하지 않게 한다. 예수로 인해 이스라엘 사람 또한 사람임을 잊지 않게 된다. 다만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서로 싸우게 된 이 상황과 구조를 바꿔야한다.’ 이 고백은 분쟁 그 너머에 시선을 둔 사람의 것이었다. 저항하고 싸우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는 태도는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그렇기에 그들의 저항의 움직임이 평화로울 수 있는 것일까. 앞서 언급한 Mitri Raheb 목사는 카이로스 팔레스타인 활동가이며, Dar Al-Kalima 예술 대학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인데, 그는 ‘어떻게 하면 저항을 지속적이며 실질적인 변화의 가능성으로 나타낼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예술 대학의 필요성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운동을 하고, 그림을 그리고, 작품을 만들고, 영화를 찍으며 우리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창조하고 지속한다.’고 이야기한다.

 

베들레헴에서의 한 달. 예수가 태어났다는 그 동네는 참 평화로운 곳이었다. 금요일에는 무슬림들이, 일요일에는 그리스도교인들이 쉬며, 하루에도 수번씩 교회 종소리와 무슬림의 찬양이 번갈아가며 울려 퍼지는 곳이었다. 그동안 무관심하고 게을렀던 스스로를 돌아보며 자책감, 아무것도 할 수 없으리란 막연한 무력감을 마주했다. 그럼에도 팔레스타인의 저항은 계속 되고 있었다. 이스라엘이 세운 장벽은 그 자체로 너무도 차갑고 딱딱한 것이었지만, 도화지 마냥 알록달록하고 창의적인 작품이 벽을 가득 채우고 있다. 그들의 저항은 춤과 노래가 있는 곳에 있다. 그들의 잔치는 모두에게 열려있다. 나에게도. 그리고 당신에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