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팔-e뉴스 21호) 봉기: 딸리아트, ‘팔레스타인’ ‘여성’ 해방을 위해 1

입력 : 2020-12-28 18:23:04 수정 : 2020-12-28 18:42:31

인쇄


봉기
: 딸리아트, ‘팔레스타인’ ‘여성해방을 위해 1

 

작성자: 팔레스타인평화연대 자인

 

*한국의 "팔레스타인평화연대"가 지난 2월, 예루살렘의 현지 여성활동가를 만나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두 편으로 나뉘어 게재됩니다. (21호, 22호)

 


2019년 수많은 성폭력 사건에 대한 판결, 텔레그램 n번방 사건 등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던 때 지구 반대편 팔레스타인에서도 페미니즘을 향한 또 다른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2019년 8월 팔레스타인 여성 이스라 고레이옙Israa Ghrayeb에 대한 ‘명예살인’ 사건이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비판이 일었다. 그리고 2019년 9월 수천명의 여성들이 “여성해방 없는 팔레스타인 해방은 없다”를 외치며 거리로 나서 봉기( تاعلاط , 아랍어로 딸리아트, '궐기'를 뜻한다)를 시작했다. [1] 



다양한 피켓을 들고 거리를 누비는 여성들, 구호를 외치는 여성들의 사진을 보며, 이러한 운동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자연스레 궁금해졌다. 어떻게 한 달 만에 팔레스타인 전역, 국제사회 곳곳에서 집회를 열 수 있었는지, 그리고 지금은 어떠한 활동을 이어 나가는지.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이어가던 차 딸리아트 멤버 할라와 나미르에게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2020년 2월 예루살렘의 한 카페에서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활동가들과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보았다.

 

<딸리아트>의 뜻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왜 딸리아트라는 이름을 붙였나요?

할라: 딸리아트는 봉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죠. 사실 저희 운동의 원래 이름은 <딸리아트>가 아니라 “여성해방 없는 팔레스타인 해방은 없다”였어요. 그런데 언젠가부터 사람들이 저희를 “딸리아트(봉기)”라 부르기 시작하고 운동 명칭도 <딸리아트>가 되었죠.

나미르: 전 <딸리아트>라는 이름이 지어지고 나서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제가 <딸리아트>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제가 공적 장소로 향하는, 변화를 위해 나아가는, 그리고 여성으로서 느끼는 벽을 넘어서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딸리아트>라는 말은 많은 의미를 함축해요.

 

<딸리아트> 활동은 언제부터 시작했었나요?

할라: 1년 전 한 팔레스타인 여성이 페미사이드(여성살해)를 당한 사실이 알려지자 팔레스타인 각지의 여성 활동가들은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어요. 하지만 운동의 방향이나 내용이 좀처럼 정리되지 않았죠. 게다가 팔레스타인 상황이 복잡한 만큼 논의도 진전되지 않았어요. 그러다 ‘이스라’의 죽음을 알게 되었고 이제는 무언가 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각자가 알고 있는 주위 활동가들에게 연락해서 각지에서 집회나 행사를 열고 적극 참여해달라 요청했어요. 참여하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마침내 12개의 지역에서 동시에 행사를 개최할 수 있었죠. 2019년 9월 집회가 열린 뒤 <딸리아트>의 활동 방향에 함께하는 단체들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하이파, 예루살렘, 라말라, 야파, 베이루트에 그룹을 만들어서 활동합니다.

 

예루살렘에 위치한 <법적 지원과 상담을 위한 여성센터>는 2018년 한 해 동안 페미사이드로 23건을 접수했다 밝혔다. 그리고 UN 여성 팔레스타인 지부는 팔레스타인 내 가정폭력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적극 지원한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의 가부장제가 단순 팔레스타인 남성들 만의 문제일까? 할라와 나미르는 팔레스타인여성은 점령과 가부장제, 그리고 경제 구조 속에서 다양한 억압을 경험한다 답한다.

 

<딸리아트>의 지향은 무엇인가요?

나미르: <딸리아트>의 슬로건처럼 여성해방과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해 활동해요. 지금까지 수감자 운동, 역사수정주의 대응, 각지 활동 등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여러 운동이 전개되었어요. 하지만 지금까지 팔레스타인 사회에서 가부장제와 점령의 연관성을 고민하고 함께 문제를 제기하는 운동은 없었어요. <딸리아트>가 시작되면서 이 연관성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지요.

할라: 모든 사람에게 정의로운 세상을 바란다면 여성에 대한 정의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떤 활동가는 우선 팔레스타인 해방이 이루어져야 여성 해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보다 많은 사람의 정의가 통하고 여성을 포함한 사회적 소수자들을 위한 보다 좋은 사회를 상상하고자 합니다.

나미르: 이 지향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 점령과 가부장제 간의 연관성에 대해 토론을 합니다. 이 토론은 두 가지 구조가 닮아있다는 점, 그리고 유착되었다는 점을 말로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점령은 가부장제를 보다 공고하게 만들고 가부장제는 점령을 지지하곤 합니다. 팔레스타인 사회에서 여성은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로 취급당할 때가 있어요. 이스라엘군은 집회에 참석하는 여성들을 팔레스타인 남성들에게 ‘보호’하라고 하죠. 즉, 이스라엘군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곳을 공격합니다. 점령 속에서 팔레스타인 여성들이 존재할 수 있는 공적 공간은 얼마 존재하지 않아요. 저는 도리어 묻고 싶어요. 팔레스타인 사회의 절반만이 해방을 맞이했다면 이건 진정한 해방일까요?

 

<딸리아트> 멤버들과 인터뷰를 이어가면서 지구 반대편의 이야기는 어느새 나와 우리의 이야기로 바뀌어 있었다. 이익, 효율 등의 가치를 위해 차별을 모르는체하는 사회,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안전을 뒤로하고 누군가에 대한 착취를 희생으로 손쉽게 바꾸어 버리는 사회. 이 속에서 새로운 질문들을 만들어가고 답을 가다듬어 가는 <딸리아트> 의 활동이 존경스럽다. 사실 필자는 <딸리아트> 활동가들을 만나 지원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할라는 지원 대신 연대를 해달라 말했다. 그리고 종종 <딸리아트>의 활동 소식을 보내온다.

코로나19가 전세계를 덮치고 경계를 넘기가 어려워진 요즘, 서로를 둘러싼 벽은 하루하루 더 높아져 간다. 하지만 서안지구를 둘러싼 장벽을 넘어 팔레스타인 전역과 국제사회 곳곳에서 활동하는 <딸리아트> 처럼, ‘나’를 둘러싼 다양한 벽들을 넘기 위해 서로 간의 이야기를 나누고 올라서는 기회를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 가면 어떨까.


[1] 보다 자세한 내용은 2019년 11월 뎡야핑 활동가가 작성한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104465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