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화해·통일한국교회 88선언 30주년 기념 국제협의회 종합
한국교회 88선언 30주년 기념 국제협의회 종합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교회협, 총무 이홍정) 화해·통일위원회 (위원장: 나핵집)는 1988년 2월 29일 발표한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 (이하 ‘88선언’) 30주년을 맞이하여 3월 5-7일까지 서울 동대문 라마다 호텔에서 ‘평화를 심고 희망을 선포하다’라는 주제로 국제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국제협의회에는 세계교회협의회 (WCC), 세계개혁교회연맹 (WCRC), 아시아기독교협의회 (CCA), 미국교회협의회 (NCC), 국제 기독교구호기관인 ACT와 불교계의 니와노 평화재단 등의 해외 교회 지도자 40여명과 국내 교계지도자 100명 총 140 여명이 참가하였다.    마지막 날 채택된 선언서 (첨부)를 통하여 협의회 참가자들은 11년 만에 성사되는 남북정상회담을 환영하며 북미대화를 포함한 남북평화체제를 향한 모든 일정들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아래와 같은 실천계획을 채택하고 세계의 모든 교회와 정부, 시민사회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힘써 달라고 당부하였다.   첨부문서 1. 단체사진 2. 핸드북 - 88handbook_FINAL 3. 성명서 - 한국교회 88선언 30주년 기념 국제협의회 성명서(원문 및 번역) 4. 액션플랜 - 액션플랜 (원문 및 번역)
화해·통일UN대북제재 해제촉구 서신
UN대북제재 해제촉구 서신
안토니오 구테헤스 UN 사무총장님께,   평화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인사드립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UN이 오랜 기간 한반도의 평화유지를 위해 모든 노력과 헌신을 다 하고 있다는 사실에 깊이 감사하고 있습니다.   본회는 1945년 남북이 분단된 이 후 줄 곧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의 화해, 통일을 위해 기도하며 행동하여 왔습니다. 2017년 말 북미 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해 한반도가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내몰렸을 때, 본회는 세계교회와 함께 간절한 심정으로 전쟁반대와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는 촛불기도회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다행히도 4월 27일 남북정상의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선언’과 북미정상의 6.12 싱가포르선언으로 한반도에 평화의 새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남북정상은 판문점선언을 통해 전쟁을 종식시키고 남북의 화합을 위해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비롯한 모든 노력을 다 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6년부터 13차례에 걸쳐 지속적으로 강화된 UN대북제제결의안들로 인하여 남북의 교류와 협력은 아직까지도 큰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 남북철도연결을 위한 남북공동조사가 UN군사령부의 군사분계선 통행불허로 무산된 것과 북한주민들을 위한 긴급 의약품, 식량지원 등의 최소한의 인도주의적 사업조차 대북제재로 인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리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올해 1월 UNICEF는 6만 명의 북한 어린이들이 아사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제재로 인해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보고 했습니다. 아울러 올 7월 북한을 방문한 UN의 인도주의 사업 책임자 록우드 박사도 1000만 이상의 북한 주민이 인도주의적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제재 조치가 큰 걸림돌이 된다고 말하였습니다. 비록 UN이 올 8월 6일, 인도주의적 지원과 관련한 사업에 부분적으로 제재를 해제한다고 결의하였으나, 인도주의적 협력 단체들은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실효성 없는 결정들에 매우 실망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4.27 판문점선언에도 불구하고 UN과 국제사회의 2018년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은 1,710만 달러로 축소되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이 액수는 2016-2017년 각 년도 지원의 반에도 미치지 않은 액수이며, 2018년 UN의 우선지원 계획의 10% 정도에 지나지 않는 수치’라고 밝힙니다. 우리는 아사 위기에 처한 북한 어린이들을 포함한 1,000만의 북한 주민들을 돕는 인도주의적 조치들이 북한의 비핵화문제와 연계되어 정치화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재 조치는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정치적, 외교적 노력에도 큰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4.27 정상회담 등을 통하여 남북교류와 협력을 합의하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는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4.27 남북정상회담, 6.12 북미정성회담 등의 중대한 결과물들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북제재의 해제는 비핵화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정치적, 외교적 노력을 더욱 격려하고 좋은 결실을 맺게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본회는 북한의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30년 넘게 교류와 협력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세계교회와 함께 북한의 봉수교회와 칠골교회, 평양신학원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특별히 봉수교회 빵공장을 세워 밀가루를 공급하였고, 긴급 식량과 의약품 지원 등을 통해 북한교회의 인도주의적 선교사역을 도왔습니다. 하지만 지속되는 대북제재로 인해 남북교회 간 선교를 위한 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전쟁의 종식만큼 중요한 것이 화해와 상생입니다. 교회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의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은 한반도의 화해와 상생을 증진시키고 평화정착을 앞당길 것입니다. 이는 2013년 제10차 세계교회협의회 총회가 채택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성명서를 위시로 일관된 세계교회들의 요구입니다. 총장님께서 유엔의 모든 회원들과 함께,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이러한 노력을 적극 지원하고 협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사무총장님과 함께 하시기를 기도하며, 이번 73차 유엔 총회가 남북화해와 번영의 시대정신을 담아 획기적으로 대북제재를 해제해 주실 것을 간절히 요청 드립니다.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2018년 9월 11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 무 이 홍 정 화 해 통 일 위 원 회 위원장 나 핵 집
‘평양정상회담’ 합의문 환영논평
‘평양정상회담’ 합의문 환영 논평   "평양정상회담" 합의문을 환영하며   본회는 4.27 판문점선언으로부터 평양정상회담이 있기까지 한반도 평화정착과 공동번영을 위한 남북정부의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또한 이번 평양정상회담을 통해 판문점선언의 이행을 위한 실천적인 진전을 이끌어낸 남북정상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   본회는 한반도에서 모든 전쟁의 위험을 제거하고 항구적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판문점선언 군사분야 이행합의’를 비롯한 경제협력,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인도주의적 협력방안 등을 환영한다. 특별히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발사대 영구 폐기를 비롯하여 남북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합의한 것은 의미있는 진전이며, 이를 계기로 앞으로 북미관계 개선에 큰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본회는 남과 북의 이러한 자주적인 노력에 UN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적극협력해 주기를 바란다. 또한 앞으로 종교를 비롯한 민간의 영역에서 폭넓은 교류와 협력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한반도 평화와 상생 길이 활짝 열리기 바란다.   2018년 9월 19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 해 통 일 위 원 회 위 원 장 나 핵 집
[논평] ‘4.27 판문점 선언’ 국회비준을 촉구한다
‘4.27 판문점 선언’ 국회비준을 촉구한다   4.27 판문점선언의 국회비준을 놓고 여야의 대립이 극명하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해서 남북정상이 판문점선언에 합의하였고, 이를 토대로 역사상 최초로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었다. 이후 북한은 합의사항을 충실하게 이행하며 비핵화수순을 밟고 있으며, 남한 정부도 운전자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재정부담을 이유로 판문점선언을 비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남북의 화합과 공동번영보다는 갈등과 대립의 구시대로 회귀하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   다음 주면 다시 3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린다. 이를 계기로 이제는 판문점선언이 남과 북 사회 전 영역에서 실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회의 비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과거의 역사적인 합의서가 하루아침에 휴지조각이 되어왔던 경험을 다시 반복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지금 전쟁의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의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에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당들은 4.27 판문점선언을 비준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의 미래를 위한 역사적 과업에 당리당략을 떠나 모든 힘을 모으기를 촉구한다.     2018년 9월 10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 해 통 일 위 원 회 위 원 장 나 핵 집
‘3차 남북정상회담’ 환영 성명서
‘3차 남북정상회담’ 환영 성명서   "3차 남북정상회담", 담대한 자주적 진전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본회는 지난 1차, 2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획기적인 진전을 이끌어낸 것에 사의를 표하며, 이어서 3차 정상회담이 9월18일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되는 것을 환영한다. 이번 평양정상회담을 통해 적대적 공생관계인 분단과 냉전을 넘어 평화와 번영과 통일로 가는 길에 장애물이 제거되고, 자주적이며 연합적인 평화공존의 대로가 열리는 계기가 마련되기 바란다.   본회는 이번 3차 정상회담이 북미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군사적 긴장완화와 종전선언과 남북경협 등 판문점선언의 이행에 박차를 가하는 전환점이 되기 바란다. 특별히 이번 정상회담과 맞물려 진행되는 UN총회가 한반도 평화와 상생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들을 결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매개하므로, 한반도가 더 이상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의 각축장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본회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의 토대가 되는 민간교류가 더 이상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좌지우지 되지 않도록 항시적 제도화의 길을 열기 바란다.   본회는 한반도에 평화의 봄이 경작되는 시기에 한국교회가 분단과 냉전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 방식대로 남과 북, 그 사이에 서서 서로 사랑하므로, 민족공동체를 치유와 화해, 평화통일의 길로 인도하는 책임적 신앙공동체로 역할하기 바란다.   2018년 9월 17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 무 이 홍 정 화 해 통 일 위 원 회 위 원 장 나 핵 집
화해·통일2018년 부활절 남북(북남) 공동 기도문
2018년 부활절 남북(북남) 공동 기도문
2018년 부활절 남북/북남 공동기도문 주님은 우리를 구원하심으로 우리의 하느님이시나이다. 하느님이신 당신께 영광을 돌리나이다. 살아 숨 쉬는 모든 피조물들은 영원히 당신을 찬미하나이다. 창조주시여,  당신은 우리를 흙으로 만드시고 생명의 숨결을 불어넣으셨으나, 오늘 당신은 우리의 영혼과 육신의 상처들을 보고 계시나이다. 우리가 불의한 자들의 폭력과 탐욕스런 자들의 강도질에 쓰러졌기 때문이나이다. 우리 민족의 터전을 반 토막 내고 그 흐르는 핏물 위에서 그들은 번영을 이루었나이다. 오 주님, 왜 우리는 의로운 아벨의 길을 따르지 못했나이까? 우리는 왜 흠 없는 제물을, 거룩한 행실과 순결한 삶으로 평화와 통일을 이루기 위한 봉헌의 희생제물을 바치지 못했나이까? 카인처럼 우리는 온 세상의 창조주께 우리의 비열한 행위들, 하찮은 봉헌물, 무익한 삶을 바쳤으니, 우리는 단죄 받을 것이나이다. 평화의 주님에게 우리는 쓸모없는 종이었나이다. 하늘에 계신 삼위일체시여, 당신의 유일한 주권 앞에 엎드려 절하나이다. 당신의 선하심으로 우리에게 회개의 눈물을 주시어 우리 어깨로부터 죄의 짐을 내려주소서. 사람의 친구이신 하느님, 우리는 당신 앞에서 밤새워 간구하나이다. 구세주이신 하느님이시여, 우리가 당신의 뜻을 행하도록 가르쳐주소서. 생명과 평화를 이루기 위해 목숨을 내놓으신 당신같이 사는 법을 가르쳐주소서. 하느님, 당신의 종들인 우리가 당신의 부활을 보게 하여 주소서. 평화를 위하여 일한 하느님의 자녀들을 그들의 무덤 안에서 일으켜 세우소서.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나이다. 죽음으로 죽음을 없애시고, 부활을 믿는 사람들에게 생명을 베푸셨나이다. 예수께서 부활하신 것처럼 우리 민족도 부활하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우리 민족의 부활은 조국통일이옵니다. 모처럼만에 이 땅에 찾아 온 평화의 기운을 살려, 우리 민족 스스로의 힘으로 하나가 되게 하소서.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모든 이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한 생명으로 부활하도록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 아멘 2018년 4월 1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조선그리스도교련맹(KCF)
북미정상회담 취소에 따른 논평
북미정상회담 취소에 따른 논평   본회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취소 발표에 대해 깊이 우려하며 유감을 표명한다.   남북정상의 판문점 선언이후 북한은 그에 상응하는 조치들을 성의껏 이행하며 신뢰를 보여주었다. UN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한의 조치에 대하여 대북제재를 해제하는 등 신뢰 있는 행동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북한의 억류 미국인 송환에 대하여 한미 당국은 핵전략무기를 동원한 군사훈련으로 응답했고,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한 직후 미국은 북미정상회담 취소를 통보하였다.   본회는 평화는 함께 나누는 선물이지 거래의 대상이 아니라고 믿는다. 또한 평화는 평화적 수단을 통해 성취되어야 한다.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중에 일체의 군사행동을 중단하기 바란다.   본회는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법은 비폭력적 대화라고 확신한다. 본회는 북미 양국이 정상회담을 성사시켜 서로 신뢰를 쌓고, 화해와 평화로 가는 올바른 길을 찾기를 강력히 요청한다. 이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해 상호 간의 평화적 공존이 보장되는 평화조약을 체결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본회는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어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비핵지대화, 그리고 전 세계 비핵화가 온전히 이루어지도록 기도할 것이다. 더불어 모든 한국교회 성도들과 세계교회에 이를 위해 함께 기도할 것을 요청드린다.     2018년 5월 25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 해 통 일 위 원 회 위 원 장  나  핵  집  
2007 평화통일 남북공동기도주일 기도문
2007 평화통일 남북공동기도주일 공동기도문 정의와 평화의 하나님, 62년전 일제 치하에서 고통받던 우리 민족에게 해방과 평화의 길이 열렸습니다. 그리스도의 제자로 부름받은 남북교회/북남교회가 해방의 이 날에 통일과 평화를 위해 한 목소리로 기도하게 하시니 감사를 드립니다. 사랑과 통일의 하나님, 우리 민족끼리 힘을 모아 분단을 넘어서서 통일의 새 역사가 이루어지고, 전쟁의 아픔을 넘어서서 우리 민족끼리 서로 돕고, 함께 번영하게 하시옵소서. 한반도/조선반도에 하나님께서 기대하시는 화해와 협력의 새 기운이 일어나고 동북아시아와 전 세계의 평화로 이어지게 하여 주시옵소서. 능력과 지혜를 주시는 하나님, 예수께서 말구유 낮은 자리에 오시고, 죄인들과 교제하시며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는 모습으로 평화가 자기 낮춤과 섬김을 통해 만들어져 가는 것임을 알려주셨습니다. 자기 몸을 속죄의 제물로 내어주시고 십자가에 달려 피 흘려 죽으심으로 통일과 일치가 자기희생을 통해 완성됨을 가르쳐주셨습니다. 남북/북남의 교회가 함께 기도드리는 이 일을 통해 주님의 가르침과 본을 따르고자 합니다. 위협에 의해서가 아니라 온유와 겸손으로, 강압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의와 사랑으로, 압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내와 헌신으로 민족 통일과 평화를 선포하고, 실천하는 교회가 되고자 합니다. 우리에게 능력과 지혜를 더하여 주시옵소서. 민족 통일과 평화를 이루는 일꾼으로 우리를 부르시고 오늘도 우리가 끊임없이 일하기를 원하시며 민족 통일과 조국 평화의 새 역사를 이루어 주시리라고 믿사옵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이 기도문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이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2007평화통일 남북공동기도주일 연합예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함께 매년 8월 15일 직전 주일을 로 지키고 있습니다. 양측은 매년 공동기도주일을 맞아 평화통일 공동기도문을 작성하여 예배에 사용하고, 또한 전국교회와 해외교회와 교회기관에 발송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 기도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동기도주일을 맞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통일위원회는 를 드립니다. 올해 연합예배는 2007 한국교회 대부흥 100주년 기념대회에서 주최하는 '한반도 평화통일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한 해외교회 인사들과 함께 명성교회에서 드립니다.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교회의 노력에 관심 가져주시고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07년 8월 12일(주일) 오후 7시 30분 2. 장 소 :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명성교회(www.msch.or.kr, 전화번호:440-9000) 3. 예배순서 사 회 : 이동일 목사 (KNCC 화해•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분당광성교회) 기 도 : 나핵집 목사 (KNCC 화해•통일위원회 부위원장, 열림교회) 특 송 : 구세군 노래선교단 설 교 : Dhirendra Kumer Sahu 감독 (인도 NCC 총무) 공동기도문 낭독 : 권오성 목사 (KNCC 총무) 축 도 : 전광표 사령관 (KNCC 회장, 구세군대한본영 사령관) * 문 의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통일위원회 02-764-0203, 황필규 목사, 박지태 목사
한반도 평화통일 국제심포지엄 Final Statement - 국문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우리의 입장 2007년 8월 9일에서 11일까지 서울에서 1907년 평양대부흥 100주년을 기념하며 한반도 평화통일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CCK)에 속한 모든 교단 및 교회를 초청하여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토론했다. 한국의 교회와 에큐메니칼 기관들 그리고 아시아를 비롯 전세계 27개국 교회를 대표하는 300여명의 참석자들은 금번 심포지엄에서 함께 예배 드리고, 성서연구 모임을 가지며, 한반도의 평화적인 통일을 위한 교회의 책임과 미래지향적인 역할을 다루는 발제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20년 전에 한국교회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년 2월)을 통해 평화와 통일을 향한 획기적인 발걸음을 내디뎠다.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에서 한국교회는 평화를 위하여 일하는 사도로서 부름을 받았음을 믿으며 (골 3:15), “같은 피를 나눈 한 겨레가 남북으로 갈라져 서로 대립하고 있는 오늘의 이 현실을 극복하여 통일과 평화를 이루는 일이 한국교회에 내리는 하나님의 명령이며, 우리가 감당해야 할 선교적 사명 (마 5,23-24)임을 믿는” 선언을 한 바 있다. 당시에는 통일에 대한 단순한 논의나 언급만으로도 위법행위를 한 것으로 간주되었다고 세계교회협의회(WCC)총무인 Samuel Kobia 목사는 주제강연에서 언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화해와 치유, 평화를 위한 모든 제반 여건을 만드는 데에 주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주제강연에서 암울한 일제 상황에서도 한국교회가 민족의 새롭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소망의 복음 전파에 헌신했음을 회고하기도 했다. 이재정 장관은 또, 대부흥운동이 회개와 용서, 그리고 영적인 각성에까지 이어지며 확대되었다고 상기했다. 이 대부흥운동은 교회가 민족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짊어지는 신앙고백적 행동으로 이어졌다. 위 선언은 이 전통의 맥을 같이 하며 현재에까지 이르는 통일정책의 정신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명성교회의 담임목사이며, 한국교회대부흥100주년기념사업회 대회장인 김삼환 목사는 개회설교에서 에스겔 37:15-17을 보면서 모든 참석자들에게 지난 20년간의 세월에 이루어진 분단극복을 위한 교회의 노력들 가운데 하나님의 함께하셨다고 상기했다. 그 동안 개최되었던 수 많은 심포지엄과 발표되었던 선언문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아무런 힘도 효력이 없는 도구에 불과하나, 오직 평화를 주시는 하나님을 통하여 우리는 통일을 진정 성취할 수 있노라고 강조했다. 폐회예배는 세계평화를 위하여, 특별히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 세계교회가 항상 기도하자고 호소했다. 화해와 평화정착에서 그 동안 많은 괄목할 만한 발전과 성과들이 있었다. 남북간의 경제교류,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이산가족 상봉, 철도와 도로의 연결 등은 긴장완화와 상호이해의 점진적이며 지속적인 발전을 반증해 주는 것이다. 8월 말로 남북정상회담이 예정되었다는 소식은 참석자들로 하여금 반가움과 기쁨으로 심포지엄에 임하게 하였다. 그러나 갈등과 대립의 먹구름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국제관계에서의 긴장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인질사태가 보여주듯이, 평화 정착을 위한 일은 위험을 수반하며, 때로는 큰 희생의 대가를 치르는 일이기도 하다. 핵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엄존한다. 동북아 지역의 평화정착이라는 목표는 너무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 의심과 선입견 그리고 증오가 여전히 사람들의 마음을 엄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화정착에는 인내가 요구되며, 신뢰 구축이 필요하고, 새로운 사고와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평화정착에는 온 신앙공동체의 지혜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신과 겸손한 마음으로 금번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다음과 같이 결단하며 호소한다: I. 2차 남북정상회담을 바라보며 남북한 정부와 주변 당사국들의 정부들에게 다음과 같이 촉구한다: 1. 2차 남북정상회담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반도의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고 이와 함께 현재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 체결로 전환하는 일을 성취해야 할 것이다. 2. 2차 남북정상회담은 한반도 전체를 위한 적절한 경제발전계획을 통해 남북간의 균형경제 개발로 향하는 길을 열어야 할 것이다. 3. 2차 남북정상회담은 평화와 화해의 증진을 위한 정치∙군사 등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4. 2차 남북정상회담은 식량지원과 이산가족상봉 등의 인도주의적인 지원을 통해 평화로운 공존에 기여해야 한다. 5. 남북의 공직자들은 금번 남북정상회담이 통일로 향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밟아가는 역사적인 것임을 인지 해야 한다. II. 한국교회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청한다: 1. '샬롬'의 성서적인 개념에 기초하여 명확한 한반도 통일관을 수립해야 한다. 2. 평화통일에 대한 신학적 바탕을 공고히 하여 평화통일이 교회의 선교적 사명인 동시에 분단과 이산의 아픔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화해하고 치유하는 공동체적 사명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3. 교단과 교파의 차이를 넘어서, 성별과 세대간의 차이를 넘어서 평화와 통일을 위해 함께 일을 할 수 있는 관계를 심화 및 확대시켜야 한다. 4. 북한 땅에 고통 받는 약자들 특히, 여성과 어린이 등을 위하여 자원을 나누며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해 이들의 고통을 덜어 주는 일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5. 평화정착과 통일을 위해 다른 종교공동체와 사회의 민간단체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III. 세계교회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1. 지속적으로 교회와 한반도를 위해 기도해야 할 것이다. 2.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의 과제는 세계적 차원의 지역 전체에 관련된 문제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3. 6자 회담과 관련하여 이들 국가들의 교회 (남과 북,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가 함께 하는 대칭적 협의회를 추진하는 세계교회 방침을 환영하며, 지원한다. 동시에, 우리는 세계교회협의회 (WCC)가 세계 교회와의 협력과 관계를 더 확대시키며 지원할 것을 장려한다. (예를 들어 북한 발전을 위한 컨소시엄, WCC, 아시아기독교교회협의회 (CCA) 그리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NCCK). 4. 각국의 정부와 기관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 강화와 평화교육을 통해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서울, 2007년 8월 11일(토)
Our Commitment to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Our Commitment to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ary celebrations commemorating the Korean Great Revival, which originated in Pyongyang in 1907, an international consultation hosted by the Peace and Unification Committee of the One Hundredth Anniversary Conference of Korean Great Revival 2007, assembled in Seoul, Korea from 9 to 11 August, 2007. The consultation comprised all the churches belonging to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nd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and discussed 'The Role of the Church for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ree hundred participants-representing churches and ecumenical organizations from Korea and twenty-seven countries in Asia and the rest of the world-participated in worship and Bible study, listened to lectures and engaged in discussions concerning the responsibility of churches in furthering the ongoing process toward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Nearly twenty years ago the churches of Korea took a bold step when they issued the 'Declaration of the Churches of Korea on National Reunification and Peace'(February 1988). In that Declaration the Korean Churches confessed their calling to labor as apostles of peace (Colossians 3:15): "God has commanded the Korean Churches to undertake the mission of overcoming today's harsh reality of our one people divided north and south in confrontation, and we are thus obligated to work for the realization of unification and peace (Matthew 5:23-24)." At that time the mere discussion of unification was considered an offence punishable by law, noted the Rev. Dr. Samuel Kobia, General Secretar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his keynote address. And yet churches dared to mobilize people for reconciliation and healing, creating the conditions conducive to peace. The Hon. Dr. Lee Jae-Joung, Minister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is keynote address, reflected on how the Korean churches spread God's gospel of hope for a new and brighter future in the face of the grim reality of Japanese occupation. He noted how the Great Revival was instrumental in ushering in a spirit of repentance, forgiveness and spiritual awakening. This Revival inspired the churches to shoulder the burden of the nation as an act of faith. He noted how the ?988 Declaration of the Churches?carried on this tradition and helped to establish the basic principles on which current unification policies are based. In the sermon delivered during the opening worship, the Rev. Dr. Kim Sam-Whan, Pastor of Myongseong Church and chairperson of the consultation, drew on Ezekiel 37:15-17. He reminded the participants that God has been with the Churches for the last 20 years, supporting their efforts to overcome division. All the consultations that have been held and declarations that have been proclaimed are merely instruments without power in and of themselves. It is only through the power of a peace-giving God that we experience the full and genuine accomplishment of unification. The closing worship emphasized the call to all churches in the world to pray together constantly, for peace in the world, particularly for peace and unification in Korea. Much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quest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in Korea. Inter-Korean trade, the Gaeseong Industrial Park, Mt. Geumgang tourism, separated family reunions, railway and road reconnection-all these attest to a gradual but steady proces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a reduction of tensions. The announcement that the second inter-Korean summit is to take place at the end of August greeted participants as they assembled for the consultation. But the dark clouds of confrontation have not yet disappeared from the sky. International tensions continue unabated. As the hostage crisis in Afghanistan has shown us, peacemaking is a dangerous occupation that sometimes exacts great sacrifice. The nuclear issue has not yet been resolved. The goal of a regional peace mechanism remains beyond reach. Suspicion, prejudice and hatred have not yet disappeared from the hearts of the people. Peacemaking requires patience, the building of confidence, new ideas and new approaches. Peacemaking requires the shared wisdom of the whole community of faith. In this spirit, and with a healthy sense of hum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consultation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nd commitments: I. To the governm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other concerned governments, with regard to the proposed second Korean Summit we urge that: 1. This Summi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fulfilling their pledge to make the Korean peninsula nuclear weapons free, and subsequently to sign a Peace Treaty to replace the existing Armistice. 2. This Summit open the way for North and South Korea to develop their economies in a balanced manner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economic development plan for the Korean peninsula. 3. This Summit contribute to the invigorating and widening of exchanges at all levels- political, military,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through the promo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that contribute to reconciliation and peace. 4. This Summit contribute to harmonious co-existence through increased commitment to humanitarian support, such as the provision of foodstuffs and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5. The government officials of North and South Korea seize the historic opportunity that this Summit presents to realize specific and concrete steps toward unification. II. To the churches in Korea, we encourage them: 1. To unite on a clearly articulated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Biblical vision of 'shalom' 2. To lift up the theological underpinnings of peace and unification to the end that Christians may see that the movement is and should be part of their mission, and to broaden perceptions of what it means to be Church in a situation of division and brokenness, as a reconciling and healing community. 3. To deepen an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among all Christians regardless of denominational differences, all groups of people regardless of gender or age, with a view to collectively working for peace and unification. 4. To continue in their positive contributions to the alleviation of suffering, especially of the weak and vulnerable such as children and women, by increasing their sharing of resources and humanitarian aid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5. To join people of other faiths and civil society groups in the common cause of peace and unification. III. To the churches in the world, we recommend that: 1. They regularly lift up the churches and the people of Korea in prayer. 2. They recognize that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a regional issue with global implications. 3. The churches of the nations participating in the Six Party Talks (North an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welcome the initiativ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to facilitate a parallel meeting of the churches. At the same time, we request and encourage the WCC to promote the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of the wider worldwide Christian communities, e.g. the Consortium for Social Development in North Korea (WCC, Christian Conference of Asia, and NCCK). 4. They engage their governments and communities in advocating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for example by strengthening networks of solidarity and peace education. Seoul, 11th August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