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알림)한국교회 對北 인도적 지원 감사예배
한국교회 對北 인도적 지원 감사예배  □ 일시: 2010년 8월 5일(목) 오후 3시 □ 장소: 인천항 영진공사 앞(* 참고 약도) □ 주관: NCCK 화해통일위원회, 예장 사회봉사부, 감리교 서부연회, 기장 평화공동체운동본부, 한반도 에큐메니칼 포럼 □ 협력: 남북나눔운동 □ 예배순서 - 사회: 전용호 목사(NCCK 화해통일위원회 부위원장, 감리교 서부연회 총무) - 인사말 및 경과: 권오성 목사(NCCK 총무) - 기도 1. 남북의 화해와 평화, 공생을 위하여/ 임철수 목사(감리교 서부연회 감리사) - 기도 2. 대북 인도적 지원의 활성화를 위하여/ - 성경봉독: 이선애 총무(EYC-K) - 말씀: 배태진 목사(기장 총회 총무) - 축도: 이명남 목사(NCCK 화해통일위원, 당진교회) 인천항 영진공사(창고사업부) 약도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 7가 92-1, 영진공사(창고사업부) ▶전화 : 032-888-5031(담당 백승철, 김진태)     제1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인하대병원   ↓       ↓   항운아파트                         신흥동 → 사거리 → 첫신호등   인천항 3정문       연안부두   롯데마트 (주) 영진공사     ※ 제1경인고속도로 이용 - 제1경인고속도로 종점에서 계속 직진, 인천항 3정문을 보고 좌회전, 직진 후 사거리(구 100주년기념탑)에서 직진, 롯데마트 앞 첫 신호등에서 우회전, 100m 직진하면 좌측에 영진공사 ※ 제2경인고속도로 이용 - 제2경인고속도로 종점에서 직진하여 사거리(구 100주년기념탑)에서 좌회전, 직진 후 롯데마트 앞 첫 신호등에서 우회전, 100m 직진하면 좌측에 영진공사
화해·통일A Letter to Korean churches on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A Letter to Korean churches on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A Letter to Korean churches on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As one whom his mother comforts, so I will comfort you; And you will be comforted in Jerusalem." (Isaiha:66:13)   Coming to the Advent, I pray God"s Blessing be on the Korean churches. In the season that we prepare the Lord"s day at the end of this year, we are unfortunately facing with the shocking incident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clash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world is astonished at this incident which is the first time for civilians to be indiscriminately attacked. We pray that God comforts the victimized, their families, the wounded as well as people of Yeonpyeong Island who lost their life basis and are driven to despair in fear with unexpected artillery attack. I sincerely ask all the churches in Korea to pray in one accord for peace on this land in this time of disorder.   1. The basi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on force but on our faith.   At any reason that comes from political matter in the internal North Korea or from aim to build a new international order, a behaviour or an attempt with force is not justified. The artillery attack even on civilians can not be escapable from denunciation. We urge North Korea to come forward to achieve unification of Korea through peaceful way.   We also indicate that South Korea carrying out military drill in the area which is having several times of clashes and stimulating the other could not be free from its responsibility. We should realize that similar incidents would be happening for days to come if the North and the South depend on only military forces. The North and the South are thinking and fearing of the probability that each other to be united by the other with military forces. Basis for peace is not on forces but on our faith. Korean churches have to pray for that mutual trus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reality of mistrust and disconnection, the solid basis for mutual trust could be build through dialogue and communication in more often and more various ways. There is no way forward to peace, but peace is the way. We sincerely ask all of you to pray for achiev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ialogue on the mutual trust and exchange of communication on various levels of society, while strongly rejecting an intension to get peace of Korea through military forces.   2. This situation needs to control emotion and to prove wisdom.   Facing with this world-shock incident, emotional move in this land is highly exasperated. There are full of words of prompt retaliation, many-fold punishment, expansion of high-tech weapon. Even the appropriate word of "prevention of war escalation" by the President Lee Myung Bak is almost facing with outraging criticism. Even there is a high-raised emotional utter that we should retaliate in spite of an all war. Without any condition we should prevent from making this land into battle field. We had already experienced severely the suffering through the Korean War. Having solidarity in deep concern and keen suffering with the victimized, their families, and people in the Yeonpyeong Island, we believe that Korean churches should not loose their attitude of control which is a gift from the Holy Spirit even more in the moment of disorder and suffering. we can take one step forward peace when we, Korean churches, seriously consider in one accord about what we should do truly for peace, which is more peaceful way between the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for last 10 years and the rapidly changing hard-line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last 3 years, how much we implement the June 15 Statement and the October 4 Agreement signed by North and South summit authorities, how we carry out peace treaty for building peace system, and what is the role of political, economic, civil society, and religious leaders. Because we confess God is only one who leads our life at every moment, we should listen to God in order to realize God"s will.   3. World wide churches pray together for peace.   This artillery incident also gives a shock to world wide churches. World wide christians initiating by the WCC and the CCA send messages of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and continuing prayer.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is one. God continuously works through the Holy Spirit for churches in the World. All churches is one in Christ,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history and structure. Korean churches have been supported by prayer and cooperation of world wide churches at the every critical moment such as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governments. Due to their love, Korean churches has been surprisingly matured. Beyond personal blessing and church"s growth-oriented mentality, all churches in the world confess that we are one. There are many churches in the third world which work in the midst of trial and pressure. Now Korean churches have to cooperate with those churches and to hold a strong prayer solidarity. We are going to witness how the prayer and solidarity of the world wide churches produce fruitful resul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proclaim the Peace of Christ in every corner of death.     To Korean christians!   This is the year of 60th anniversary of Korean War and 100th year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Remembering the historical teaching that division is common downfall, we pray that we do not reiterate the same failure. This is the time for us to pray the coming of the Lord. Standing with this endless hope, Korean churches follow the Lord with assurance of His resurrection and with the cross of our nation"s division. The Lord described the happiness of christians as it in Matthews 5:8:"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shall be called sons of God."   May Peace of Immanuel, our Lord, be spreading on Korean churches which are waiting for Messiah even in darkness.   At the first week of the Advent.     November 29th, 2010 Rev. Kim Young-Ju General Secretary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 call to prayer over the Yeonpyeong Island Incide
Rev. Dr. Olav Fykse Tveit General Secretary World Council of Churches Nov. 27. 2010 Dear Rev. Olav Fykse Tveit  Warm greetings from the NCCK. I, as the newly elected General Secretary of the NCCK,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the solidarity that the WCC has continuously shown to us concerning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ccasion of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we are very much worried about political moves toward bigger clashes and war-oriented environment. However your concerns and prayer become a great support to our effort struggling against political games of fostering military antagonism between two Koreas. It is a little bit late for issuing the NCCK statement because of getting clear information and of collecting and mediating different ideas. I understand some of partners already got this statement before you through the Ecumenical Forum for Korea. There were a lot of requests to send the NCCK’s position on this incident from our ecumenical partners, so that the Ecumenical Forum for Korea immediately circulated this statement before I send it to you. I believe you understand the situation. Once again I appreciate you for promptly issuing the solidarity letter on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which was sent to all WCC member churches. Please keep us in your prayers until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is eventually achieved. In ecumenical solidarity. Attached : The NCCK official statement. Kim Young Ju (Rev) The Newly elected General Secretary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한 해외교회의 메시지들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한 해외교회의 메시지 1. 한반도 긴장에 관한 WCC 총무 성명서  2010년 11월 24일, 제네바  깊은 우려의 마음으로 한반도 긴장 고조에 관한 소식을 접했다. 어제 서해 연평도에 대한 포격과 그 결과에 대한 보고는 한국전쟁이 종전하지 못한 채로 끝난 1953년에로 되돌아가게 하는 사건들 중 특별히 심각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지난 몇 십 년에 걸쳐, 세계교회협의회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노력에 참여해왔다. 세계교회협의회의가 변합없이 추구하는 입장은 폭력과 군사적 힘의 사용은 평화와 화해를 바라는 한국민들의 열망을 빼앗는 문제들을 결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근 발생한 폭력사건들 역시 해결되지 않는 남북 분단의 문제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얼마나 심각한 위협이 되는지를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의 모든 국민은 정의와 평화가 넘치는 공동의 미래를 맞이해야 한다. 남북 두 나라 뿐만 아니라 동북 아시아 이웃 나라들을 대신하여, 세계교회협의회는 남과 북의 두 정권에게 긴장을 고조시키는 모든 행동들을 철회할 것을 요청한다. 우리는 위협과 간간히 일어나는 폭력 하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과 또한 평화와 이웃 정부들 사이의 친선관계를 희망하는 모든 사람들을 보호해 주실 것을 하나님께 기도한다. 우리는 남과 북의 정권 모두에게 평화 공존과 상호존중에로 이르게 할 평화협상의 순수한 뜻을 천명할 것을 요청하며,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신뢰구축을 위한 새로운 과정으로 들어갈 것을 요구한다. Rev. Dr Olav Fykse Tveit WCC General Secretary  2. 독일개신교협의회(EKD) 성명서 한반도에 필요한 화해의 발걸음 (Steps of reconciliation needed in Korea) December 01, 2010 NCCK는 성명서에서 “이념적 갈등을 부추기는 폭력의 확산”을 경고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러시아 및 남북한과 미국의 정부들에게 6자 회담을 재개하여 이 위기를 외교적으로 풀어나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성명서는 남한 정부에게 “국민들의 안녕을 관심의 중심에 놓고” 국민을 위태롭게 하는 모든 군사적 행동과 보복을 피할 것과 군사적 긴장을 풀어나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 독일 개신교협의회를 대신하여 Martin Schindehuette 감독은 자제를 요청하는 NCCK 선언을 환영했다. EKD 국제관련사업국을 대표하는 그는 한반도 분단을 영속시키는 현재의 정전체제를 종식시키는 평화협정을 호소하는 한국교회들의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2009년 9월 EKD 대표단이 남한과 북한을 공식 방문했던 것을 회상하며, Schindehuette 감독은 베를린 장벽 붕괴 20년이 지난 지금, 독일 교회 지도자들이 한반도내 분단의 장벽을 따라 지속되고 잇는 소름끼치는 상황에 관심을 집중함으로써 “ 화해를 위한 용감한 걸음”을 걸을 것을 긴급하게 요청한다고 말했다.  3. ENInews (Daily News Service) 2010 12월 2일자   “한국교회는 무력충돌이후 세계가 기도해 줄 것을 요청하고있다.” By Hisashi Yukimoto  12월 2일, 토쿄발 (ENInews)--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북한군이 남한의 섬을 공격함에 따라 대림절 기간 중 세계교회가 한반도평화를 위해 기도해 줄 것을 요청했다. NCCK 총무로 새로 선임된 김영주 목사는 평화를 양성시키기 위하여 “세계교회들의 기도와 연대”를 요청했다.  크리스마스 전 기간인 대림절은 세상에 예수의 오심을 기념하는 교회력의 기간이다. 김영주 목사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12월 1일자 성명서에서 남한과 북한에게 제2차 세계대전 후 분단된 두 나라의 통일을 성취하기 위해서 오로지 평화적 수단만을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11월 23일 4명의 생명을 앗아간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을 비난하면서 , 또한 그 지역에서의 남한군대의 군사훈련이 긴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경고했다. “남한과 북한이 단지 군사력에만 의존한다면, 조만간에 비슷한 사건들이 또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김영주 목사는 지적했다. “ 한1950년, 남한과 미국주도의 UN군이 중국군과 쏘비엣 연방이 지원한 북한을 대항하여 싸웠다.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서명한 휴전으로 대치국면은 일단락되었으나, 공식적 전쟁 종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11월 26일 성명서에서 NCCK는 “국민들의 안녕을 무시하면서 한국을 외교적 게임의 볼모로 취급함으로써 생명을 값없이 여기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해 줄 것을 모든 나라들에게 호소”했다.  교회협의회는 세계교회 파트너들에게 정부로 하여금 정치적 분위기를 과열시키는 것을 자제하고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이성과 외교적 노력이 자치군대의 전략적 또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교회협은 “1953년 정전협정 이해로 가장 심각한 사건으로 주민이 살고 있는 마을을 향해 강력한 무기가 사용되었음을 북한군대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세계교회협의회(WCC) 총무인 Rev. Olav Fykse Tveit은 그의 성명서에서 “무력이나 군사력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ENI News)     4. 카나다연합교회 편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조선그리스도교련맹/ 한국기독교장로회/ 한국여신학자협의회 /한국기독교학생연맹/ 한반도에큐메니칼포럼 사랑하는 동역자 여러분, 한반도에서 일어난 폭력사태와 지속되는 위험상황에 관한 소식을 우려 깊은 마음으로 접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을 생각하며 기도드리고 있습니다. 폭력사건으로 남한과 북한의 사람들이 당한 고통과 인명 피해로 인한 여러분의 슬픔을 함께 나눕니다. 이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모든 나라의 정부들이 긴장을 고조시키지 말고 협상과 대화를 통해 해결할 것을 촉구하는 여러분의 간구에 우리도 참여합니다. 우리는 카나다연합교회의 회원들로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연서명할 것을 요청한 탄원서에 서명할 것을 요청할 것입니다.   우리는 각국 정부들이 이 위기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즉각적인 행동을 취할 것을 희망합니다. 카나다연합교회는 한반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평화와 안녕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여러분과 늘 함께 일 할 것입니다. 평화와 정의의 하나님께서 오실 대림의 약속이 이 심각한 고통과 염려의 기간동안 여러분의 희망을 지켜주실 것을 기원합니다. “평화를 구하고 평화를 추구하는”(시편34:14) 여러분의 노력을 더욱 강화시켜주실 것을 기원합니다. Omega Bula Executive Minister Justice, Golbal and Ecumenical Relation Unit The United Church of Canada  5. 아시아기독교협의회가 회원 교회들에게 보낸 편지 :회원교회 및 아시아 교회협의회들과 에큐메니칼 파트너들에게,   아시아기독교협의회는 현재 한반도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치시키기 위한 서명운동에 연대합니다. CCA 이 대림절 기간에 현재 한반도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치시키기 위한 서명운동을 지지하며 긴급히 기도해 줄 것을 요청한다. 11월 23일 연평도에서 일어난 포격사건으로 2명의 민간인과 2명의 해군이 죽었다. 18명 이상의 사람들이 다쳤고 북한경계선으로부터 불과 7마일, 그리고 인구밀도가 높은 남한의 인천공항으로부터는 50마일 떨어져 위치한 이 작은 섬에 수많은 집들이 파괴당했다. 어부들에게 생존의 터전인 섬을 탈춣하는 무리들과 군사기지인 연평도는 어느 누구도 잊어버릴 수 없는 한국인들에겐 고통을 가져온 한국전쟁을 회상시키고 있다. 이는 남한의 천암함 침몰 사건이 벌어진 지 몇 달 지나지 않아 남북 사이의 갈라진 분단선을 따라 허약한 평화의 실체를 드러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살아남은 희생자들과 그렇게 덧없이 생명을 잃은 사람들의 가족들을 애도하고, 1953년 정전협정이래로 가장 심각한 사건으로 시민들을 향해 강력한 무기를 사용한 북한군대를 비난했다. 아시아기독교협의회는 남북한이 처한 이 위험스럽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들이 택한 입장을 적극적으로 증언하며 지지한다.  추엔완 성명서: 추엔완 성명서는 도잔소 에큐메니칼 프로세스 25주년을 기념하며 2009년 10월 22-24일 홍콩, 콸룬, 추엔완에서 한국과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137명의 교회 지도자들이 모여 합의한 성명서이다. 추엔완성명서는 한반도 통일을 향한 앞으로의 단계를 구체화한 2000년 6월 15일과 2007년 10월 4일 발표한 정상간의 합의문의 온전한 실행을 남한과 북한의 정부에 반복 강조했다. 추엔완 성명서는 한국사람들은 여전히 분단되어 있으나, 한 국민이며, 하나의 문화와 한 민족임을 확인했다. 정의란 그들이 평화로, 서로 간에 공동의 헌신으로 통일되어야 하는 것이다. 추엔완 국제협의회에 참석한 참가자들은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크리스쳔들로 하여금 모든 종류의 악, 불의, 고통에 대항하여 싸울 것을 위임했음을 확인했다. 아시아기독교협의회 사회문제위원회 성명서, 쿠알라 룸푸르 아시아기독교협의회 총회 직전 사회문제위원회의 보고에 근거하여 다음사항이 결의되었다: 1) 한국전쟁 관련 당사국들은 정전체제를 종식하고 평화체제로 전환할 것과 2) CCA 회원교회들과 협의회들은 북한의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것을 요청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한국교회들의 제안: 최근 연평도 폭격이후 한반도의 불안정하고 위험스러운 상황은 남한과 북한 사이의 긴장 수위를 높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통하여 한국교회들이 제기한 제안안을 보면- 1) 희생자들의 분노를 복수의 전제로 남용하지 말고, 강경책이나 제제조치 대신에 인도주의적 차원의 대북지원을 재개하고, 6자 회담이나 남북 적십자회담같은 대화와 상호교류를 재개할 것 2) 2007년 10월 4일의 남북 공동성명서에서 합의한 “서해 특별 평화와 협력지대”를 세우고, 논쟁거리가 되는 북방한계선(NLL) 때문에 지속적으로 충돌하기 보다는 그 지역에서의 군사 훈련을 중지할 것, 3) 1953년의 정전협정을 철회하고 그것을 평화협정으로 대치함으로써, 남한과 북한 사이의 위급한 충돌의 위험 수위를 낮추고, 동북아시아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걸친 평화와 안보를 지킬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평화협정을 이루어내기 위한 지지협력을 위한 서명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반도 평화, 안보, 통일은 에큐메니칼 헌신을 요청하는 중차대한 일로써, CCA는 그 목표를 향한 남한과 북한 교회를 지원하며 동행해왔다. 도잔소 에큐메니칼 프로세스는 1984년 그 시초부터 CCA 안건이 되어왔으며, 도잔소프로세스 25주년을 기념하는 2009년 국제협의회, 2010년 4월 쿠알라룸푸르 CCA 총회에서 합의된 결의사항, 한국교회들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게 보내는 목회서신은 평화통일을 위한 CCA의 역할과 과제를 중요시하고 있다. 평화협정을 향한 서명운동 지지는 아시아기독교협의회를 통해 협의회와 그 회원교회들로부터 인준받고 후원받는 구체적 에큐메니칼활동이다.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위한 필요한 문건들을 동봉합니다. CCA는 회원 교회들과 협의회들에게 평화협정 서명 운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며, 대림절 기간 중 남한과 북한의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적합한 대응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Henriette Hutabarat Lebang General Secretary cc.: Members of the CCA General Committee CCA Staff and Consultants Attachments: 1) NCCK Letter on Yeonpyeong Island Incident 2) PROK Letter to ecumenical partners 3) Call for Signatures   6. 호주연합교회 2010년 12월 1일  김영주 총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조성기 사무총장/ 대한예수교장로회  신경하 감독/ 기독교대한감리회, 배태진 총무/ 한국기독교장로회,  최근 한반도에서 고조되고 있는 긴장에 대해 호주연합교회 회원들이 몹시 염려하고 있습니다. 올해 5월 천안함 사태에 이어 11월 23일 생명까지 앗아간 연평도 폭격사건은 공격수위가 고조되고 있으며, 이는 수천만 생명들의 안녕과 번영을 위협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국 파트너교회 중 하나인 한국기독교장로회(PROK)는 군사 도발과 보복은 “남북한 모두에게 스스로 자신을 파괴로 이르게 하는 길”이라고 명료하게 지적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러한 갈등은 평화적 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모든 노력들에 지지합니다.  우리는 북한과의 연계를 구축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활동을 적극 지지하며, 북한의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함께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공동기도회를 갖는 등의 노력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2007년 10월 남북의 두 정상의 만남과 한반도 정전체제의 종식과 남북 사이의 영구적 평화체제를 구축을 촉구하는 선언에 관련한 NCCK의 참여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호주연합교회는 이번 위기의 국면을 외교적이며 평화적인 수단으로 해결할 것을 각국 정부들에게 촉구한 NCCK의 성명서에 응답할 것입니다.  한반도 에큐메니칼포럼(the Ecumenical Forum for Korea) 및 2009년 9월 WCC 주최로 홍콩 추엔완에서 모인 국제협의회에 호주연합교회가 참여한 것은 힌국 파트너교회들에 대한 우리들의 지속적인 연대의 실례입니다.  이 긴장된 국면에 많은 사람들이 두렵고 불확실한 삶을 살고 있음을 압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한국의 형제자매들과의 파트너쉽을 계속 확고히 할 것이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도 계속 기도할 것입니다.  대림절 기간에 평화의 왕이신 그리스도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Rev. Alistair Macrae  President  Uniting Church in Australia                            
연평도 사격 훈련 강행 방침에 대한 성명서
지금은 평화의 길을 찾을 때입니다!     예수께서 예루살렘 가까이 이르러 그 도시를 내려다보시고 눈물을 흘리시며 한탄하셨다.‘오늘 네가 평화의 길을 알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러나 너는 그 길을 보지 못하는구나.’(누가 19:41~42)          평화의 구세주를 기다리는 대림절기에 안타까움과 간절함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기도합니다. 불과 한 달 전,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다수의 민간인과 군인이 희생되었고, 수많은 연평도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빼앗긴 채 고통당하는 현실을 목도했습니다. 우리는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여러 차례 심각한 우려를 천명한 바 있습니다. 그 어떤 이유로도 이 땅에서 전쟁의 악마적 기운이 확산되며 군사적 충돌이 재발되는 것을 거듭 강력하게 반대합니다.        남·북한 군사적 충돌의 상처가 채 가시지도 않은 서해상에서 또다시 남한 군이 대규모 육·해·공군 합동 전력을 대기시킨 채 사격 훈련을 실시한다고 공표하고 이에 대하여 북한이 즉각 군사적 대응을 공언함으로써 온 국민은 지금 불안과 공포의 시간을 감내하고 있습니다. 남한 군의 사격 훈련이 설혹 합법적이고 통상적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희생시키는 전쟁의 계기로 작용하지 않을까 많은 국민들이 매우 염려하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남·북한의 군사적 기(氣) 싸움은 한반도 평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에 충격을 줄 것이 분명하며 나아가 한반도에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가져올 것입니다. 따라서 전면전으로 이어질지도 모르는 연평도 사격 훈련 강행 방침은 국민의 안녕과 평화를 책임져야 할 정부와 군이라면 결코 선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천하만사에는 다 때가 있습니다(전도서 3:1). 지금은 남·북한 모두 한반도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어떤 오해나 긴장을 일으키는 행위도 자제해야 할 때입니다. 지금이야말로 남·북은 불필요한 자존심을 내세우지 말고 양측의 책임자가 민족의 명운을 놓고 진지하게 대화하며 한반도 평화를 담보해야 할 때입니다. 또한 한반도 관련국들은 갈등과 충돌이 아니라 대화를 통한 상생의 분위기를 만드는 데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한반도 평화는 전 세계 평화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한반도 관련국들은 자국의 정치·군사·경제적 이익을 배제하고 한반도 평화의 관점에서 현재의 위기 극복에 협력해주기를 바랍니다.        온 정성을 다해 평화의 길을 진지하게 모색하는 곳에 구세주는 탄생합니다. 우리가 사랑하고 다음 세대에 물려줄 고귀한 이 땅 한반도에서 전쟁의 참화를 막고 평화에 이르는 길을 찾을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2010년 12월 19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     무    김    영    주 Statement on the planned live-fire drill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  Violence begets violence; let us seek for the way of peace together!       When He approached Jerusalem, He saw the city and wept over it, saying, "If you had known in this day, even you, the things which make for peace! But now they have been hidden from your eyes. (Luke 19:41-42)        We are desperately praying fo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 are waiting for Jesus Christ, the prince of peace in this season of Advent. Just a month ago, artillery fire at Yeonpyeong Island killed several soldiers and civilians and devastated the homes and livelihood sources of the community. Grieving the loss of the people and community, NCCK expressed deep concerns over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escalating military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We also reiterate that we are against any military clashes and warfare in the Korean peninsula, for any reason.       Again all Korean people, even before the wound of the Yeonpyeong Island incident is healed, are going through a painful period of anxiety and fear 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 will hold a live-fire drill on the west coast on Dec. 20-22 and North Korea, in turn, has vowed to retaliate. Whether the drill is justified or not, it is a provocative action which can lead to war. It is obvious that the military provocations between two Koreas threaten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create anxiety among people and severely hit the economy, bringing unrecoverable disaster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we reiterate that the rigid posi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going ahead with the drill is not a responsible attitude as their duty i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eople and the peace of the nation.        Now is the time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 must refrain from any provocative actions which will destroy the two Koreas altogether. Now is the time that both governments must begin a sincere dialogue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for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people. We also urge the stat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o consolidate all their efforts to transform the current situation of crisis into co-prosperity of the region through dialogue and cooperation.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 directly connected with peace of Asia as well as of the whole world. Therefore, we humbly request that the surrounding states sincerely work for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reflecting, if any, their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interests.        We believe that Jesus Christ will be with us when we truly seek for the way of peace. We sincerely pray for the way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we love and will hand over to the next generation.       Dec. 19, 2010 Kim Young-Ju General Secretary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Statement of expression of concern over tensions o
Statement of expression of  concern over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Geneva, 24 November 2010 It is with great concern that we received the news about the escalation of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Yesterday’s use of artillery and reports of casualties on Yeonpyeong Island in the Yellow Sea are especially serious examples of incidents that stretch back to 1953 when the Korean War ended, without a ceasefire.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has been engaged in peace and reconciliation effort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unequivocal position has been that the use of force and military power will not resolve the problems that deprive the Korean people’s aspiratio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The recent violent incidents also demonstrate once again how the unresolved divisions between the two Korean states pose a serious threat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The whol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deserve a common future with justice and peace. In the interests of people in both countries and their neighbours in Northeast Asia,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urges the authorities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to refrain from actions that exacerbate the tensions.  We pray for God to protect all who live under threat and sporadic violence and all who yearn for peace and good relations between neighbours.  We call for the governm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to demonstrate the genuine will to return to peace negotiations that will lead to peaceful co-existence and mutual respect, and to engage in a new process of confidence-building measures at the earliest possible date. Rev. Dr Olav Fykse Tveit WCC general secretary  
조그련, 평화통일을 위한 특별 예배 봉수교회에서 개최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은 6.15공동 선언 10주년을 맞아 6.15 공동 선언과 10.4 선언 이행이 한반도에 정착되길 기원한다며 지난 6월 11일 날짜로 본회에 서신을 보내왔다. 이와 함께 본회가 발표한 민족화해주간(6월 15일~25일)과 연합기도회 [한반도 화해와 평화를 향한 기도회]를 지지하고 연대한다는 뜻을 밝히고, 봉수교회에서 평양시내 전체 성도들이 참가하는 6.15 10돌을 맞아 ≪6.15공동선언 이행과 평화통일을 위한 특별예배≫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앞 주님의 이름으로 문안드립니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KCF)은 귀 협의회가 사회적 정의와 민주주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의로운 활동을 벌리고 있는데 대하여 연대 인사를 보냅니다. 우리 연맹은 귀 협의회에서 공동선언이 발표된 날인 6월 15일부터 6월 25일까지를 ≪민족화해주간≫으로 정하고 기도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을 지지하며, 이 기간에 6.15공동선언에 명기된 대로 북과 남이 공조하여 조국통일을 이룩하는 것을 기본 내용으로 하는 ≪평화와 통일을 위한 선언≫을 발표하려고 하는데 대하여 전적인 지지를 표명합니다. 귀 협의회가 계획하고 있는 모든 사업들이 온 민족과 전체 그리스도인들의 기대에 맞게 성과적으로 진행되기를 기원합니다. 우리 연맹은 역사적인 6.15공동선언 발표 10돌을 맞으며 봉수교회에서 평양시내 전체 성도들의 참가하에 ≪6.15공동선언 이행과 평화통일을 위한 특별예배≫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귀 협의회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지금 조국통일의 이정표인 6.15공동선언과 그 실천 강령인 10.4선언 이행은 엄주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우리 연맹은 사랑과 정의, 평화와 일치의 이념을 귀중히 여기는 귀 협의회와 남쪽의 여러 그리스도교 단체들이 민심에 역행하는 온갖 불의한 행위들을 저지시키고 심판하기 위한 의로운 활동을 적극 벌려나가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주님의 크신 축복이 귀 협의회 위에 충만하시기를 충만합니다.
(알림)한국전쟁 60년, 한반도 화해와 평화를 향한 기도회
한국전쟁 60년을 맞은 올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최근 남북 간의 첨예한 대결 국면을 목도하면서 회원 교회와 함께 ‘그리스도의 평화’를 간구하고자 합니다. 이에 6.25전쟁 60년에 민족의 화해를 위한 기도와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기도, 남북의 긴장국면 속에서 공존 공생을 위한 기도를 연합하여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기도회를 통해 지난 4월 22일 NCCK 실행위원회에서 통과된 ‘한반도 평화를 향한 한국교회선언’을 공식 발표하는 시간도 갖습니다. 특히, 최근 남북 간의 대결 국면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최고조에 이르고 있어,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연합된 기도가 절실합니다. 이번 민족화해주간에 드려지는 기도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제 목 : 한국전쟁 60년, 한반도 화해와 평화를 향한 기도회 일 시 : 2010년 6월 17일(목) 오후 3시 장 소 : 기독교회관 2층 강당 주 관 : NCCK 화해통일위원회 내 용 : 사회 - 나핵집 목사(NCCK 화해통일위부위원장, 기장 평화공동체본부 공동대표) 기도 1 / 한국전쟁 60년 : 민족의 화해를 위한 기도 - 정종훈 교수(연세대학교) 기도 2 /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선언 : 평화를 위한 기도 - 최영실 교수 (NCCK 화해통일위원, 성공회대학교) 기도 3 / 남북의 대결 현실 : 공존∙ 공생을 위한 기도 - 김현호 신부(NCCK 화해통일위원, 대한성공회 교무원) 말씀 / ‘정의로운 평화’ - 전병호 목사(NCCK 회장, 화해통일위원장, 기독교대한복음교회 총회장) 증언 / ‘평화의 시대를 열어가자’- 김상근 목사(6.15 남측위원회 상임대표) 특별연주 /  선언 /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선언(2010)’ - 송병구 목사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선언 전문
2010 남북교회 부활절 공동기도문
v\:*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v\:*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ozlinkcl:link { text-decoration: none; } .ozlinkcl:active { text-decoration: none; } .ozlinkcl:visited { text-decoration: none; } .ozlinkcl:hover { text-decoration: underline; }             2010 남북교회 부활절 공동기도문            v\:* {behavior:url(#default#VML);} w\:* {behavior:url(#default#VML);}   부활의 첫 열매로 주님을 다시 살리신 하나님, 주께서 어둠과 사망 권세를 깨뜨리고 부활하셔서 우리 모두에게 생명과 빛, 구원의 길을 열어 주심에 찬양 드립니다. 고통과 죄악의 세력으로 인해 우리 현실이 아무리 어렵고 힘들지라도 우리가 주님 부활의 능력에 의지하여 살아갈 때 이 역사 속에서 평화와 화해, 진리가 승리함을 믿고 감사를 드립니다.     역사의 주관자가 되시는 하나님! 한일병탄 100년, 남북/북남 분단 65년, 동족상잔의 전쟁 60년이 지났는데도 남북/북남이 서로 화해하고, 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하나 되어 살도록 창조하셨는데, 오히려 갈등과 전쟁, 불신과 대립 가운데 살고 있습니다. 전 세계 유일의 분단국이며 적대국으로 살아가고 있는, 저희의 부족함과 죄를 고백하오니 용서하여 주옵소서.       부활 생명의 하나님! 이 시간 주님 부활의 능력이 우리 역사 속에 드러나기를 간구하옵니다. 그럼으로써 이 땅에 드리워지는 전쟁의 위협과 죽음의 공포, 대립과 분열의 암운이 거두어지게 하옵소서. 이리와 어린 양, 표범과 송아지가 함께 있고, 어린 아이가 독사 굴에서 장난하듯이 온 민족이 서로 함께 협력하고, 남북/북남이 모두 번영하고, 풍성한 생명 가운데 살아가는 평화의 새 역사를 이 땅에 이루어 주옵소서.     화해의 새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 100년만의 민족 자주, 65년 만의 민족 통일, 60년 만의 민족 평화의 새 역사가 주님 부활의 새 아침에 한반도/조선반도에 씨 뿌려지고, 화해의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시옵소서. 남북/북남정상들의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실천하여 남북/북남 화평과 공동 번영의 새 역사가 우리 민족에 이루어지고, 통일의 길을 열어갈 수 있게 하옵소서.   남북/북남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한반도/조선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주님의 일하심을 누구보다 먼저 보게 하시고, 누구보다 먼저 그 길을 순종하며 따라가게 하옵소서.   주님께서 다시 사신 이 복된 날, 주님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부활과 화해의 기쁨과 영광이 우리 모든 민족의 심령과 한반도/조선반도, 또 이 역사에 온전히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라며 우리의 구주가 되시고, 희망이 되시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2010년 부활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중 앙 위 원 회       110-736 서울시 종로구 연지동136-46 한국기독교회관 706호 (02) 742-8981 전 송 (02)744-6189 e-mail : kncc@kncc.or.kr                          
한반도평화통일을 위한 한국교회 비전문서 최종 공식문서화
본회 화해통일위원회는 지난 5월 14일(금요) 오후 2시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 비전문서(이하 한국교회선언문) Reading 회의를 갖고, 최종 공식문서화 했다. 본회는 지난 1년 반 동안 한국교회선언문을 준비해왔고, 지난 4월 22일 개최된 제 2차 실행위원회에서 각 교단이 추천한 검토 위원들이 검토 후 이를 공식문서화 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한국교회선언문은 △ 평화통일에 관한 한국교회의 선교사명 △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의 비전 △△ 평화통일의 원칙과 단계적 실현 △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10대 과제 △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실천방향과 다짐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 선언 1. 평화통일에 관한 한국교회의 선교사명 올해는 한일 강제병합 100년과 한국전쟁 60년 그리고 6.15선언 10주년이 되는 해이다. 우리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를 완전히 청산하고,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를 지향하며, 남북통일을 이루는 일에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할 전환기에 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은 민족의 아픔을 치유하고 냉전의 완전한 종식과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일이다. 한국교회는 1988년 2월29일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이하 88선언)을 채택함으로써, 평화와 통일을 향한 선교 사명을 내외에 천명했다. 이 선언은 1972년 7.4 공동성명에서 채택한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의 원칙에 덧붙여 인도주의와 민중의 통일논의 참여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의 과제는 한국의 정치․ 사회의 민주화와 더불어 동시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 후 세계교회협의회(WCC)를 비롯한 세계 도처의 형제자매 교회들은 한국교회의 선언을 환영하고 지지하였으며 한국교회와 연대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88선언이 초석이 되어 1988년 7월7일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과 함께 민족통일의 과제가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논의되기 시작했고, 남과 북은 고위급 회담을 통해 1991년 12월 13일 남북의 화해와 불가침 그리고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남북기본합의서에 합의했다. 이는 마침내 2000년 6.15선언, 2007년 10.4선언의 큰 결실을 가져 왔다. 한편 88선언 이후 국제 차원에서도 탈냉전이 일어나면서, 우리는 역사적인 평화정착의 새 시대를 전망하게 되었다.  한국교회는 지난 20여년 동안 북측의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을 한반도 평화통일과 민족화해 운동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그들과 협력해 오고 있다. 또한 한국교회는 자연재해와 기아로 고통당하는 북녘 동포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지원에 앞장 서 왔고,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 함께 ‘평화통일 기도주일’을 정하고, 평화와 통일을 위한 공동기도문을 작성하여 사용하는 등 평화통일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해 왔다. 그리고 한국교회는 생명존중과 평화의 적극적 실현이라는 성경의 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정부 차원의 남북관계가 긴장과 갈등, 편견과 대립으로 치달을 때에도 금강산과 평양에서 공동기도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 남북 성도들 간 민간 차원의 교제를 이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 남북은 그동안 어렵고 힘들게 쌓아온 화해와 협력의 결실을 저버리고, 또 다시 불신과 대립의 길로 치닿고 있다. 나아가 상대방을 비방하고 물리력을 과시하면서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까지 위협하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는 통일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고 분단 현실을 당연시 하는 풍조가 만연해 있다. 이제 한국교회는 오늘의 한반도와 모든 세계에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함으로써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고(암5:24), 평화의 기운이 온 강산에 퍼지게 하고(렘33:9), 남과 북을 가로막는 철조망과 장벽이 끊어지는 평화통일의 날을 맞이하게 하는 것이 우리의 선교 사명임을 천명하고자 한다. 2.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의 비전 우리가 신앙의 눈으로 그려보는 하나님 나라는 구약성서가 선포하는 “샬롬”, 곧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가 이 땅에 실현되는 일이며, “갈라진 민족이 하나(겔37:22)”됨을 이루는 것이다.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는 “포로된 자들이 자유를, 눈먼 사람들이 다시 눈뜨게 함을, 눌린 사람들이 자유”(눅4:18)를 누리는 사건이며, 불의한 자를 돌이켜 “하나됨”(요10:16)을 이루는 세상이다. 예언자 에스겔이 “뼈의 골짜기”(겔37:2)에서 본 환상은 남과 북으로 갈라진 이스라엘과 유다가 하나 됨을 이루는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이다. 성탄절 새벽 베들레헴 광야에서 양치는 목자들에게 아기 예수의 탄생을 알리는 천사들이 부른 “하늘에는 영광, 땅에는 평화”(눅2:14)의 노래는 로마의 억압적인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시는 해방과 자유, 정의와 평화를 노래한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비전이야말로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 일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믿음이며 소망이다.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는 불의한 자들에게 회개를 선포하고(막1:15), 그들을 돌이켜서 정의와 평화를 구현케 하여 함께 하나님 나라의 잔치에 참여시키는 해방과 구원의 사건(눅19:1-10)이었다. 또한 예루살렘도 아니고 사마리아도 아닌 곳에서 “영과 진리로 함께 예배를 드리고”(요4:23),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갈3:28) 차별 없이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서 하나가 되는 세상이다. 그러므로 통일된 남북의 비전은 이념과 체제를 넘어서 예수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의 비전과 그 내용이 일치해야 한다. 모든 사회․ 정치 체제와 이념들은 하나님 나라의 심판 아래 있다. 이는 “정의와 평화가 입을 맞추고” (시85:10), “칼을 쳐서 쟁기날을 만들며” (미4:3), “이리와 어린 양이 함께 어울리는” (사11:6) 평화의 세상이며, 온 땅 위에서 전쟁무기가 사라지고 창조세계의 생기가 되살아나 녹색의 꿈이 자라나는 생명의 세상이다. 하나님 나라의 비전은 곧 요한에게 계시로 보여주신 눈물도 한숨도 죽음도 슬픔도 울부짖음도 고통도 없는 정의와 평화 그리고 충만한 생명의 "새 하늘과 새 땅"(계 21:4,5)을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우리의 평화통일 운동은 곧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향한 운동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를 소망하는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이 거룩한 일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며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비전"을 선포한다. 아울러, 우리는 남과 북의 정부 당국자들을 포함하여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의 모든 이들이 남북의 화해와 통일을 향한 하나님 나라 운동에 적극적으로 함께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하는 바이다. 3. 평화통일의 원칙과 단계적 실현 우리는 그동안 통일을 말할 때 어떤 논의든지 간에 그 과정보다는 결과 중심으로 생각하고, 북측을 통일의 동반자보다는 대상으로 파악해 온 경우가 많았다. 또 통일을 우리사회의 발전과 무관한 별개의 과제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에 한국교회는 88선언에서 제시한 5대 원칙에 기반하여 "과정으로서의 평화통일"을 제안한다. "과정으로서의 평화통일"이란 통일은 이미 시작됐다는 확신 아래 남북 간에 가능한 분야부터 통일을 실현하고, 동시에 남한을 통일지향적인 사회로 발전시켜 나가는 진행형, 참여형의 통일을 말한다. "과정으로서의 평화통일"은 남북 평화공동체, 이념을 초월한 민주주의, 열린 민족국가를 지향한다. 첫째, 한반도 평화통일의 궁극적 지향은 평화공동체 국가의 수립에 있다. 평화공동체 국가는 전쟁 재발 방지는 물론 정치적 억압,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차별을 해소함으로써 폭력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한반도의 모든 구성원들이 정의로운 평화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전쟁이나 폭력을 선택하거나 평화를 유보하려는 모든 반(反) 평화적 시도를 거부한다. 둘째,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이념을 초월한 민주주의 국가를 지향한다. 오늘의 세계질서와 인류의 삶을 좌지우지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의 폐해는 매우 심각하다. 아직도 냉전시대의 이념이 남북 간에 자리하고 있고, 남한사회는 통일문제를 둘러싸고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이념의 굴레에서 벗어나 성장과 분배, 자유와 평등을 통합해 내는 평화통일 국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평화로운 삶을 담보함으로써 탈 이념적 민주주의 국가를 추구한다. 셋째,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제국주의에 의한 공격적이고 이기적인 민족주의와 명백히 구별되는 열린 민족 국가를 지향한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남북 구성원들에게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고, 세계 공동체의 다른 민족들에게도 희망의 본이 되어야 하고, 나아가 날로 파괴되고 있는 자연생태와 공존할 수 있는 희망의 국가가 됨으로써 세계의 희망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인류의 생명과 피조세계의 보전과 행복을 추구한다. 한국교회는 이와 같은 세 가지 방향의 통일국가를 지향하면서, 남북 간 협력을 제도화하면서 평화공존, 남북연합, 연방국가를 거치는 단계적인 평화통일을 제안하고자 한다. 1) 평화공존 단계에서는 남북 간 화해 협력과 긴장 완화, 그리고 통일 원칙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남북 간의 교류 확대, 남북 구성원들의 기본권 보장, 대외 자주성의 신장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의 각종 차별 폐지, 인권 신장, 환경 보호 등 갖가지 개혁 과제가 평화공존 단계에 포함되어야 한다. 평화공존 단계에서 실현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체제를 병행하여 수립하는 일이다. 2) 남북연합 단계는 남북한 체제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더 진전된 통일을 조성해나가는 점진적 통일의 관문이다. 6.15 공동선언과 남한 정부의 통일방안을 상기할 때, 남과 북은 남북연합에 합의할 수 있고, 실제 그것을 내외에 선포하면서 통일국가의 수립을 공약한다. 남북연합 단계에서 남북 당국 간 협력을 바탕으로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협력을 증진할 수 있다. 특히 경제협력을 제도화하는 등 공존공영의 길에 확실히 발을 내딛음으로써 통일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3) 남북연합 단계에서 상호 협력의 범위가 확대되면 통일 중앙정부의 역할과 권한 증대를 요구받을 수 있다. 즉,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남북은 연합 단계에서 연방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6.15 공동선언 제 2항에서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 단계적 통일방안은 남북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오랜 분단이 가져온 갈등과 급격한 통일이 가져올 혼란을 최소화하는 한편, 민족 동질성과 화해 협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민족공영의 길을 열어갈 수 있는 합리적 통일 방안이라 사료된다. 4. 한반도 평화통일을 향한 10대 과제 한국교회는 지금 여기에서 과정으로서의 평화통일을 추진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남북한 당국과 관련 국가들에게 당면 10대 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남북은 6.15 공동선언과 10.4 남북정상선언을 준수하고 이행하는 것을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남북은 협력 사업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관장하는 공동 이행 기구를 설치하여 남북관계 발전을 제도화해야 한다. 그 연장선에서 지난 시기 이룩한 합의들을 이행하고,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며, 그것을 계기로 정상회담, 장관급회담, 국회회담 등 주요 회담을 정례화해야 한다. 둘째, 한반도는 핵전쟁 위험이 없는 평화지대가 되어야 한다.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의 핵무기 개발이나 핵무기를 이용한 군사연습은 어떠한 명분으로도 허용될 수 없다. 남북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한반도 비핵화는 동북아 그리고 세계의 비핵화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만큼 모든 핵 보유국들의 핵무기 폐기 노력과 동시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한반도 냉전구조를 해체하고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해야 한다. 남북한을 비롯한 한국전쟁 관련 당사국들은 종전을 선언하고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동시에 남북은 군비통제와 축소를 위한 회담을 열어 평화체제 수립을 주도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남북이 한반도 평화를 관리하고 이를 주변국들이 보장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또한 평화체제 형성과 즈음해서 대체복무제를 다변화하고 징병제를 모병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넷째, 남북은 비무장지대(DMZ)를 세계평화공원으로 조성함과 더불어 그 안에 남북 주민이 함께 일하고 생활하는 평화도시와 서해평화협력지대를 만들고, DMZ 기준 남북 40km 이내에서는 군사훈련을 중지함으로써 통일을 예비하고 평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다섯째, 남한과 국제사회는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북한 주민의 기본적 필요와 생존을 위한 지원을 계속하는 한편 북측 사회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지원도 병행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북측과 국제사회는 상호 대등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가야 한다. 특히 남한은 교회를 포함한 민간과 정부 차원에서 통일을 대비하는 기금을 조성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 여섯째, 남북은 경제협력이 평화를 정착시키고 통일을 준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협력 사업을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 그런 점에서 금강산관광, 개성관광을 조속히 재개하고 개성공단사업과 남포지역 개발 등 경제협력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남북은 관련 규제와 불합리한 점들을 시정해 나가야 한다. 일곱째, 북측과 국제사회의 경제관계도 확대해야 한다. 아시아개발은행, 유엔개발기구 등 국제경제기구는 북측의 경제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여타의 국가들은 북에 대한 각종 경제제재를 해제하여 북측이 세계경제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여덟째, 분단과 전쟁이 무엇보다 한반도 주민들의 삶을 황폐화시켰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남북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이산가족과 전쟁 이래 행방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의 생사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봉과 서신교환 나아가 자유왕래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아홉째, 남북 간 화해협력을 촉진해 온 민간 교류는 남북의 정치적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고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한다. 남북은 민간교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상대를 통일의 동반자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방향에서 통일을 저해하는 관련 법규와 관행을 개정 또는 폐기해야 한다. 열째, 주변 강대국들은 한반도에서 분단과 전쟁 그리고 냉전 구조를 지속시켜 온 역사적 책임을 인식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지지할 것을 공약해야 한다.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은 이념적, 군사적 대결로 우리 민족을 분단시키고 황폐화시킨 점을 인정해야 하며, 특히 일본은 식민통치의 역사적 범죄를 공식 사과하고 정신대 피해 등 일제 침략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단행해야 한다. 나아가 미국과 일본은 북측과 국교를 수립하여 한반도와 동북아의 공고한 평화 수립에 이바지해야 한다. 5. 평화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실천방향과 다짐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과 동족 간 전쟁의 아픔 그리고 분단의 세월 속에서 살아온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전쟁과 눈물, 증오와 억울함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꿈꿔 왔다. 이제 창조의 세계가 보전되고, 남과 북이 한데 어울려 서로 나누며 살아가는 하나님 나라의 비전과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교회는 다음과 같이 실천할 것을 다짐한다. 1) 한국교회는 민족 화해와 평화통일을 우리의 사명으로 믿고, 실천해 나간다. 우리는 통일이야말로 갈라지고 찢어진 이 땅의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하며, 새로운 가치와 문화를 담아내는 창조적 과정임을 믿는다. 평화로운 통일세상은 이 땅에서 누릴 하나님 나라의 모습이다. 이를 위해 그리스도인들은 교파와 교리의 차이를 넘어 연합하고, 타종교와 시민단체와 협력함으로써 범사회적인 통일운동에 참여한다. 2) 한국교회는 남북 간의 적대의식과 대결의식을 회개하고, 극복해 나간다. 우리는 이념과 체제를 초월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북측 주민을 위해서 기도하고, 온유하고 열린 마음으로 서로를 받아들인다. 먼저 경직된 상호주의의 태도를 버리는 데 솔선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 선교 협력을 계속하여 그들이 북측 사회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 한국교회는 남북공동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화해와 평화의 원칙을 지켜 나간다. 우리는 비전문서에 제시한 ‘평화통일을 위한 10대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신앙훈련의 정착과 평화교육의 제도화를 꾸준히 전개한다. 교회 안에 냉전 문화를 대치할 새로운 가치와 문화를 정립하고, 민족 전체의 번영과 평화를 실현해 나갈 통일세대를 육성하며, 평화로운 미래를 이루기 위해 교회적 참여를 촉진한다. 4) 한국교회는 낮아짐으로써 서로 높이는 공동체 생활양식을 세워나간다. 한국교회는 그동안의 양적 성장과 부흥을 바탕으로 하여, 나눔과 섬김, 배려와 돌봄의 이웃 사랑을 적극 실천한다. 앞으로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고백 속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자세로 겸허히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등 이웃에 대한 섬김을 실천한다. 5) 한국교회는 평화의 세계화를 위해서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일본에 의한 강점 100주년을 맞이하여 남북교회가 일본교회와 재일 한인교회 등과 연합하여 식민지시대의 유산을 극복하고 반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남북교회 공동의 노력으로 한반도 분단체제 극복을 위한 선교협의회를 구성하여 세계교회와 함께 공동사업을 추진한다. 6)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샬롬을 이루는 세계교회의 일원임을 확인한다. 1984년 일본 도잔소 회의가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의 출발점이 되었던 것처럼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세계교회협의회(WCC), 세계 형제자매 교회들과 연대하여, 아시아와 세계 평화를 위해 기여한다. 특히, 2013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10차 세계교회협의회 총회를 한반도 평화통일의 전환점이 되는 기회로 만들어 나간다. "내가 모든 사람에게 나의 영을 부어 주겠다. 너희의 아들 딸들은 장래 일을 말하고, 노인들은 꿈을 꾸며, 젊은이들은 환상을 볼 것이다 (욜 2:28)."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애굽 땅에서 노예생활을 하던 히브리 민족을 해방시키신 하나님 의 섭리를 믿으며, 척박한 광야에서 40년을 헤매다가 약속의 땅 가나안을 바라본 수 많은 이들을 기억한다. 망국의 한과 민족의 분열 그리고 동족상잔이라는 비극의 역사를 살아 온 이 땅의 노인들은 지금 하나 된 새 나라를 꿈꾸고, 이 땅의 젊은이들은 새로운 시대,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향해 나아가는 그 날을 환상 가운데 미리 본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그 날을 믿음과 희망으로 감사하며, 우리 모두에게 하나님의 거룩한 영이 충만하기를 기도한다. 2010년 6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