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2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2
* Korean (Above) - English (Below)4월 2주 증언 2 '금강산' - 이상영(Lee Sang Young), 창희식품 저는 금강산에서 사업을 하셨던 창희식품 이창희 대표의 딸 이상영입니다. 저희 가족은 대표이신 저희 아버지, 어머니와 저, 동생 네 식구가 다른 가정과 다를 바 없는 단란한 가정이었습니다. 항상 바쁘신 부모님의 사업으로 가족들이 일을 함께 하는 일이 많아 서로 무척 가까웠습니다. 2000년 초반 저희 부모님은 금강산에서 사업을 시작하셨습니다. 관광을 다녀오신 분이라면 관광지마다 따라다니는 빨간색의 황금마차라고 쓰인 푸드트럭을 기억하실 겁니다. 한 번 보면 기억을 하는 강한 인상을 주던 푸드트럭이 저희 아버지가 운영하시던 황금마차였습니다. 강한 기억을 남기자던 저희 아버지의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트럭은 북쪽 사람들도 기억을 할 정도였습니다. 그 당시엔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편의시설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하나밖에 없는 편의점에서 모든 필요한 것들을 사야 했을 정도로 말입니다. 여름에는 타는 듯이 덥고 겨울에는 눈을 치워야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추운 컨테이너 숙소에서 저희 부모님은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셨습니다. 개인사업자로서는 최초로 들어오셨다는 사명감으로 다른 젊은 직원에 뒤지지 않을 만큼 열심히 하셔서 당시 신문이나 tv를 통해서도 부모님의 넘치는 열정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금강산관광이 알려지며 저희 부모님은 나라를 위해서도 일한다는 생각에 시간과 돈 모든 열정을 금강산에서의 사업에 투자하셨습니다. 잠시 일을 보러 남쪽으로 내려오셔야 할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을 금강산에서 보내셨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신 덕분에 저희 가족은 처음으로 해외로 가족여행을 다닐 수 있었고 저와 제 동생이 하고 싶었던 공부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때가 우리 가족에겐 가장 행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모든 것이 완벽해 보이던 때,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 7월 11일 박왕자 씨가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금강산에서의 모든 관광활동이 중단되었고 저의 부모님께서는 자신들의 모든 인생을 남겨두고 금강산에서 내려와야 했습니다. 하루, 일주일, 일년...시간이 지날수록 저희 부모님 속은 타들어 갔고, 점점 지쳐가셨습니다. 아무런 기약 없이 무작정 기다려야만 하는 저희 부모님은 아침뉴스부터 마감뉴스까지 혹여 금강산관광 재개라는 특보라도 나올까 늘 TV 주변을 맴도셨고 그런 기다림은 초조함으로 번져 항상 날이 서 계신 부모님은 싸움도 잦게 되었습니다. 무작정 기다림의 시간은 저희 부모님의 마음을 깎아가며 병으로 자리 잡았고 답답함을 이기고자 일기를 쓰시던 어머니는 가슴의 화를 몸이 버티지 못하고 2010년 유난히 추웠던 3월 먼저 눈을 감으셨습니다. 항상 모든 것을 함께 해오신 어머니를 잃은 저희 아버지는 기력을 많이 잃으셨습니다. 저와 동생은 미력하나마 어머니를 대신해 생계를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생활전선에 뛰어들었습니다. 조금씩 힘을 내시던 아버지는 없는 돈을 모아 작은 가게를 시작하셨습니다. 그러나 자금 없이 시작한 사업은 힘든 일이 생길 때마다 휘청거렸고 더 이상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사업으로 저와 동생은 아버지의 보탬이 되고자 서로 각자 돈을 벌며 생계를 꾸려 나갔습니다. 밤낮없이 일을 하며 주말에도 쉬지 않고 그렇게 저와 동생은 아버지를 도우며 버텼습니다. 그렇게 정리되지 않은 금강산 사업은 저희 가족에게 밑 빠진 독이 되어 항상 저희 가족을 힘들게 했습니다. 그러기를 3년, 제가 몸이 아프기 시작하면서 저를 대신해 누구보다 열심히 가족을 생각하며 집안을 다시 세우고자 쉬는 날도 반납해가며 일을 하던 동생은 스물 아홉이라는 어린 나이에 과로라는 어울리지 않는 병명으로 어머니를 따라 먼저 갔습니다. 어머니와 동생을 잃은 아버지는 더 이상 버틸 힘도 남아있지 않으셨고, 아버지마저 쓰러지실까 저는 일을 하면서도 아버지에 대한 긴장을 놓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희망만은 버리지 않고 금강산이 다시 열리면 하고 싶다는 사업 아이디어도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보내셨습니다. 그러나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은 그 희망마저도 아버지에게서 걷어갔습니다. 기다림이 독이 되어 아버지마저 뇌졸중으로 쓰러지시고 회복되기 힘든 몸으로 현재 입원해 계십니다. 저는 이제 기다림이 희망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희망을 담은 기다림이 저희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방금 여러분들은 들으셨습니다. 저는 제대로 된 매듭을 원하기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들 앞에서 저희 가족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다림을 매듭짓기 위해 여러분의 도움을 청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올바른 판단과 하나님의 자비를 구합니다. Witness 2) 'Mt. Geumgang' - Ms. Lee Sang Young, Daughter of a Worker at Mt. Geumgang Tourist Region My family used to run a business called Changhee Foods in Mount Geumgang, and I am the daughter of Mr. Lee Changhee. Just like any other family, our family - my father, mother, sister and I – was a happy one. We were especially intimate with each other as we frequently helped out with the busy family business. It was around the early 2000s when my parents started a business at Mt. Geumgang. People who have toured the Geumgang will probably remember a food truck along different tourist destinations which had “The Golden Carriage” painted in red on its side. My father drove this truck which left such a strong impression on many people who came across it. He intended for the truck to be memorable to people, and even some of the North Koreans took note of it. Back then, it wasn’t very long since tourism first started in the area so the Mountain lacked many convenient stores. To be honest, there was only one convenience store at that time. My parents lived in a container home where it was scorching hot in the summer and freezing cold in the winter, but they always gave their best effort. They took pride in being the first sole proprietorship to enter Mount Geumgang and worked as hard as other young workers. Their stories would appear in newspapers and television. As tourism in the area became popular, our parents invested all their money and passion in their business under the strong conviction that they were working also for the country. They came south only when they had to and spent all their time up on the Mountain. Hard efforts paid off and with the money earned, for the first time in life, we went on family vacations and my sister and I were given the freedom to study what we wanted. Just when everything seemed so perfect, things began to fall apart. The shooting incident of Park Wangja on July 11, 2008, halted any tourist activity in Mount Geumgang and my parents had to quickly leave the place with their whole life left behind. As the days, weeks and years passed my parents grew more and more, weary. y parents who left to wait would always hover around the TV watching the morning and late evening news in hopes to find a newsflash about the Geumgang area. Such endless delays turned to anxiety and my parents began to fight quite often. Distress befell my parents and my mother who would write a diary to relieve her stress finally gave up and passed away on an especially cold day in March 2010. Having lost his life partner, my dad lost all his vigor and energy. My sister and I decided to do anything we can to support the family. Encouraged by such motivations, my dad started a small business with what little money he had left. But because it started out with such a meager sum of money, the business faltered during hard times, and it did not get better. In order to help the faltering business, my sister and I did what we can to earn money. We would work day and night and on the weekends too if possible. The memory of the food truck that our family left back at Geumgang would not let go of us and would haunt our family in whatever we did. After three years of such hardship, my health started to deteriorate and I became ill. My sister worked extra hard to make up for what I couldn’t do. Such overwork led to my poor sister’s death when she was only 29. My father lost all energy and confidence following my mother and my sister’s death and I could not relax for fear that my father too would give way. He, however, did not give up hope and endured the days thinking of what new business he might do if Geumgang would ever open its doors again. Time however robbed even the little remains of hope my father had. Not able to withstand any further, my father suffered a stroke and is now at a hospital with no hope for recovery. I no longer believe in waiting. You have just heard what hopeful waiting has done to my family. I stand here today to find a solution because I could no longer wait anymore. I ask sincerely for your help in putting an end to all this waiting. And I also ask for the right judgments and God’s mercy.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4-14 10:58:11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4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4
* Korean (Above) - English (Below)4월 2주평화를 위한 기도14 “북한이탈주민과 한 가족으로 살게 하옵소서”- 한국기독교장로회(PROK) 여신도회전국연합회 분단으로 겪는 고통과 아픔을 아시는 하나님, 한민족이었던 남과 북이 70년의 세월동안 너무도 다른 체제와 문화, 경제적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목숨을 걸고 국경선을 넘어 우리 곁으로 온 북한이탈주민들은 새 삶을 찾고 진정한 가족이 되고자 하지만 우리는 오해와 편견으로 차별하고 존중하지 못했습니다. 우리의 잘못을 용서하여 주옵소서. 다양한 이유와 아픔들을 가슴에 품고 넘어와 우리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애쓰는 북한이탈주민의 아픔을 이해하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넉넉한 마음을 주옵소서.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가도록 배려하며 따뜻한 마음과 변함없는 관심으로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게 하옵소서. 단지 선교를 위한 의도로 그들에게 다가가지 않게 하시고 우리의 문화를 강요하기 보다는 서로의 문화를 배움으로 우리 사회를 풍성하게 하옵소서. 북한이탈주민과 더불어 살아가는 연습을 통해 통일 세상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기다림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하옵소서. 이 땅에 통일이 오기를 간절히 소망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Peace Prayer14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omen Association,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OK) God who knows the pain of division, Korea was once one country, but the North and the South are now very different social systems, cultures, and economic situations. North Korean defectors, who risked their lives and crossed the border, want to find a new life, but we have discriminated them because of our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 Lord, forgive our sins. God who is generous to all people, Give us a generous heart to understand the pai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trying to adapt our South Korean society and to recognize them as members of our South Korean society. Make us to care for them with warm heart and help us to create a happy community with them. God who unites divided hearts, May we not approach them with the intention of evangelism or forcing them to accept our culture! Enrich our society by learning each other’s cultures. Help us to prepare for a unified Korea by practicing living with North Koreans defectors. As we long for the unity to come to this land, we pray in the name of Jesus Christ. Ame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4-14 10:40:39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3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3
* Korean (Above) - English (Below)4월 2주 평화를 위한 기도 13 "한 미국 청년의 기도"- 수잔나 스텁스(Susannah Stubbs), 미국장로교회(PCUSA) 청년 봉사자원자 정치적 경계를 넘어 모두를 사랑하는 하나님, 평화는 이해를 필요한다고 가르쳐 주십니다. 우리는 미국에서 자랐고, 우리 자신의 땅에서 전쟁을 경험 한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무지의 안락함 속에서 살았습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한반도 이웃 사람들의 삶의 복잡성과 가치를 말이나 행동으로 부정함으로써 당신에게 죄를 지었습니다. 하나님, 한반도의 형제 자매들과 함께 투쟁하고 기뻐함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 돌리게 하옵소서. 우리는 평화가 복잡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미국이 순수한 동기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북이 복잡한 역사와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쉽지는 않지만 가능합니다. 하나님, 우리 국가 (미국) 지도자들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시고 그들이 정직하고 개방적으로 서로를 대할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평화는 헌신 없이는 이루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로운 통일의 진전을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는 미국이 공식적으로 한국전쟁을 종식시킬 평화조약을 지지하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는 미국이 군사력을 가지고 통제와 협박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우리는 미국과 남북 사이에 생산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 지기를 기도합니다. 주님, 우리가 이 평화의 사역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인도하여 주옵소서. 우리 지역과 세계의 공동체들이 협력하여 인식을 확산하고 변화를 이루어 내는 일에 열정을 다 할 수 있게 하옵소서. 우리는 불의가 치유되고 헤어진 가족이 다시 만나며 무기가 내려 놓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당신의 자비를 한반도에 베푸시옵소서. 하나님의 아들 평화의 왕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Peace Prayer 13 “A Prayer of an American Youth”- Ms. Susannah Stubbs, PCUSA Young Adult Volunteer in Korea God who loves with no regard for political borders, You teach us that peace requires understanding. We grew up in the United States, and we have never experienced war on our own soil. There are things that we will never understand. But we have lived in the comfort of ignorance for too long. Many of us have sinned against you by denying the complexity and value of the lives of our neighbors on the Korean peninsula by word or deed. God, grant us empathy so that we can walk alongside our Korean siblings in their struggles and their triumphs in a way that honors them and you. We recognize that peace is complicated. We know that the United States does not act with pure motives. We know that the North and the South have complex histories and social landscapes. What we are asking for is not easy, but it is possible. God, soften the hearts of our nations’ leaders. Let them treat one another with honesty and openness. We recognize that peace takes work. We pray for tangible actions to advance the progress of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We pray for the United States to support a peace treaty that will officially bring an end to the Korean War. We pray for them to stop using their military as a tool of control and intimidation. We pray for productive communication to open between the US, the North, and the South. And Lord, show us how we can be part of this work of peace. Ignite passion in our hearts, and bless our efforts as we work collaboratively in our hometowns and our global communities to spread awareness and push for change. We want to see injustices remedied, families reunited, and weapons laid down. We want to see your great kin-dom of compassion come to Korea, Lord. We pray this in the name of your son, the Prince of Peace.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4-14 10:14:24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Story of Faith #2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Story of Faith #2
* Korean (Above) - English (Below)4월 1주 용서의 순간, 은혜의 순간[1] - 서광선(David Suh)박사 서광선 박사는 남한과 북한이 분단 국가가 되기 전, 중국과의 북쪽 접경 지역인 강계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에 목회자가 된 서박사의 아버지는 일제의 침략에 거침없이 저항했고 이로 인해 그의 가족은 일제 말, 만주로 이주하게 되었다. 서박사의 아버지는 “너는 제국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면서 서박사를 일본 중학교에 진학하게 했다. 일본 학생들로 가득했던 교실에서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서박사는 일제가 패망한 1945년 8월 15일까지 이 중학교를 다녔다. 당시 일본인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전하자 모두가 슬퍼하는 가운데 서박사는 애써 기쁨을 숨겼다. 그리고 집으로 달려가 아버지와 함께 독립의 기쁨을 만끽했다. 일본이 한국에서 물러난 후, 서박사와 그의 가족은 고향인 강계로 돌아갔다. 1948년 38선으로 남북이 갈라진 후 그의 아버지는 공산당 정권을 공공연하게 비판했다. 당시 공산당 정권에 협력한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이 조직되었고, 그의 아버지도 연맹에 가입하라는 압력을 받았으나 이를 거절하면서 조그련의 적대자가 되었다. 그리고 아버지의 노골적인 언행은 경찰의 감시 대상이 되었고 이를 피하고자 서박사의 가족은 더 남쪽인 평양으로 이동했다. 일본이 항복하고 미국과 소련이 남북에 진주한 뒤 5년 후, 1950년 6월에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서박사의 아버지는 실종되었다. 당시 19살이 되었던 서박사는 아버지의 소재와 안녕을 염려하는 동시에 군대에 징집되는 것을 걱정해야 했고, 그와 그의 동생은 집 마루 속에 숨어 지내야 했다. 잠시 마루에서 나온 사이 징집기관에 붙들려갔지만 낯선 이의 도움으로 전장에서 죽을 뻔한 목숨을 구하게 되었다. 1950년 8월, 마루 속이 답답해서 맑은 공기를 마시러 나온 사이 그는 군에 붙잡혔다. 트럭을 타고 신체검사장에 끌려가 군의관을 만나기 위한 줄에 섰는데, 놀랍게도 군의관이 “너 어디 아프지?”라고 말했다고 한다. 서박사는 당시 자신이 어떻게 대답했는지 설명하며, “그 때 무슨 생각이었는지, ‘네, 아픕니다.’라고 했어야 했는데 ‘아닙니다. 아픈 데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고맙게도 그 군의관이 ‘아니, 너 아프다.’ 하면서 신체검사 불합격증을 건네 주었습니다. 그 의사는 난생처음 본 사람이고 우리 교회 교인도 아니었습니다. 지금까지도 그 군의관이 왜 그렇게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쉬운 답을 찾자면, 하나님이 도우신 걸까요?”라고 말했다. 그리고나서 서박사는 신체검사 줄을 떠나 걸어 나왔고 같이 붙잡혀온 남동생이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 동생은 “형, 어디로 가는 거야? 저쪽으로 가야 돼. 우리, 전쟁에 끌려가게 되겠지.”라고 이야기했고, 서박사가 동생에게 신체검사 불합격증을 보여주자 동생은 “그래, 형은 군대 가면 안 되지. 내가 대신 갔다 올게.”라고 말했다. 그 후 그는 동생을 보지 못했다. 서박사는 이 일을 통해 “왜 내가 여기에 있을까? 왜 나를 살리려고 이 사람들이 그렇게 했을까?”라고 자문하게 되었다. 서박사는 이 질문을 평생의 질문으로 삼아 겸손히 생각하고 긴 세월 기도하고 있다. 미국이 북쪽으로 진격하면서 그의 가족은 드디어 아버지의 행방을 찾아다닐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대동강 강가에서 아버지의 시신을 찾았다는 전갈을 듣고 아버지를 찾게 되었다. 다른 네 명의 목사들과 한 밧줄로 묶여서 총살당한 아버지의 시신에는 총알 자국과 핏자국이 가득했고, 서박사는 아버지 시신을 안고 분노하며 강한 복수심을 품었다고 한다. 그 후 서박사는 남으로 떠나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해군에 입대했다. 입대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그는 미국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고, 미국 해군에서 만난 친구의 조언으로 유학길에 오를 수 있었다. 미국 학교에서 공부를 마칠 무렵, 서박사의 친구는 저녁을 함께 먹으며 다음 계획을 물었고, 서박사는 한국 해군으로 돌아갈 계획이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친구는 “아니, 너는 해군 타입이 아니야. 학자 타입이야.”라고 말했고, 친구의 도움으로 서박사는 몬타나에 있는 기독교 대학에 들어갔다. 서박사는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1962년 뉴욕의 유니온 신학대학원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그는 본회퍼의 옥중서한들을 읽고, 워싱턴에서 시민권 운동을 하던 마틴 루터 킹 목사에 대해 듣고, 신학생 친구들이 시민권 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보았다. 그때 그는 자신의 원수에 대한 태도와 복수에 대한 열망에 대해 성찰하기 시작하며 자신을 신학적으로 시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원수를 갚는 것과 용서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찰하며 “아버지를 죽인 원수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자세는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고민하게 되었다. 유니온 신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에 돌아온 그는 이화여대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인권,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당시 박정희 정권은 반공·친미주의의 이름으로 독재에 반대하는 노동자, 학생, 그리스도인 지식인들을 탄압했다. 서박사는 “‘아버지는 공산 정권에 저항하여 싸웠고, 인권과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북에서 순교하셨는데, 여기에는 소위 민주적 독재자가 있다.. 공산주의 독재자나 자본주의 독재자나 무슨 차이가 있나?’ 생각하며 모든 독재에 저항한 아버지를 따르기로 결심했다.”라고 말했다. 그때 서박사는 NCCK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학생들을 선동하여 박정희 정권에 저항하게 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체포되기에 이르렀으며, 1980년 이화여대에서 해직 당한 뒤 지역의 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정권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서박사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에 대한 참여를 멈추지 않았다. 이런 계기로 1991년 서박사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모임에 NCCK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아버지의 오랜 원수인 조그련을 만나게 되었다. 그곳에서 만난 북측 대표단의 수장은 서박사와 같은 나이로, 아버지의 원수인 조그련 설립자의 아들이었다. 서박사와 조그련 대표는 둘 다 캐나다 교회와 정부 지도자들, 그리고 WCC 대표들이 모이는 자리에서 강연을 맡았다. 서박사는 당시 만남을 이렇게 설명했다. “전날 밤에 정말 힘들었습니다. 아버지, 제가 남쪽 그리스도인들을 대표해서 여기에 와서 평화를 말해야 합니다. 어떡합니까? 원수의 아들을 어떻게 만납니까? 그런데 다음날 아침 모임이 시작하기 직전에, 그 남자가 와서 말했습니다. ‘서박사님, 제가 하는 강연을 통역해 주시겠습니까?’ 그래서 제가 ‘통역을 데리고 오지 않았습니까?’하고 물었더니, 그 사람은 통역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를 감시하러 온 사람이라며 저에게 도움을 구했습니다. 제가 통역을 도와주면 국가보안법에 위반되어서 체포될 수도 있었기 때문에, ‘잠시만, 우리 대표들과 의논 좀 하겠습니다.’라고 말한 후 한국에서 함께 온 친한 대표들과 의논했습니다. 그런데 내 이야기를 들은 친구들, 아주 가까운 친구들이 돌아앉으면서 ‘그건 서박사가 알아서 해야지.’하는 것이었습니다. 참! 아무 도움도 안 되더군요! 나는 결심을 했습니다. 복수냐 용서냐.. 그때 한 목소리를 떠올렸습니다. ‘원수 갚는 최선의 길은 원수를 사랑하는 것이다.’ 도와주기로 결심했고 강연 통역을 해주었습니다. 그의 강연이 끝나고 남쪽을 대표하여 내 강연을 발표했습니다. 북에 있는 적을 도왔으니 법에 걸리겠구나 싶었지만, 원수를 갚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해방되는 해방감을 느꼈습니다. 은혜의 순간, 원수를 사랑하게 하는 기회의 순간 같았습니다. 그 이후, 나는 자유롭게 북에 대해, 평화와 통일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2004년 평양을 방문했을 때, 300명 교인들 앞에서 설교를 하며 이 이야기를 나눴고 모두 함께 울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인들이고, 조선 민족이고, 평화와 통일을 위해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나는 평화와 통일에 대해 자유롭게 말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형제와 자매로 하나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 이 글은 서광선 박사(은퇴목사,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NCCK와 인터뷰한 내용을 요약한 글로 협력선교사 커트 에스링거(Kurt Esslinger) 목사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 인터뷰는 그리스도연합교회/제자교회 세계선교국 주최, NCCK 화해통일위원회 협력으로 인터넷세미나를 통해 방송되었다. 서광선 박사는 1931년 생으로 현재도 여전히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에 많은 공헌을 하고 계신다. ============================================================== A Moment of Forgiveness and a Moment of Grace[1] - Dr. David Suh (Dr. Suh, Kwang Sun) Dr. David Suh was born in the village of Kanggye near the northern border of Korea and China before North and South Korea became separate nations. His father became a pastor during the years Korea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Empire. His father’s outspoken resistance to Japanese occupation put them in danger, so they moved to Manchuria closer to the edges of the Japanese empire. Dr. Suh’s father sent him to a Japanese middle school because he said, “You must learn the language of the empire.” He was attending school the day that empire fell, on August 15th, 1945. He was the only Korean in a class full of Japanese youth. He remembers the Japanese teacher calling the attention of the class to announce that the emperor had just surrendered to end World War II. While his classmates all expressed their grief, he had to hide his feelings of joy. He ran home to his father and celebrated openly with him. After Japan left Korea, Dr. Suh and his family moved back to their home in the village of Kanggye. Eventually, as the south and north zones became two separate countries in 1948, his father then became outspoken against the communist leadership of the new North Korean administration. Some Christians were joining the communist administration and created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KCF), urging pastors like his father to join. His father refused, becoming an enemy of the KCF. Thus, the police of North Korea took a negative interest in his father’s outspokenness. Eventually they moved further south toward Pyongyang. Five years after Japan surrendered Korea to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ar flared up again in June of 1950. Soon after the war began, Dr. Suh’s father went missing. While wondering who might have taken his father and what they might have done to him, Dr. Suh also had to worry about being picked up by the North Korean army himself and taken to fight in the war, since he was 19 years old in 1950. He and his younger brother would hide in a hole in the floor of his house. His ability to hide did not last forever; however, the kindness of a stranger saved him from likely death on the battlefield. The North Korean army finally picked him up when the August heat of 1950 got so uncomfortable he had to get out for some fresh air. They trucked him into town and lined him up to see the doctor who was supposed to determine his physical fitness for the war. To his astonishment, the doctor told him, “You are sick.” He describes his response, “I don’t know what I was thinking at the time, of course I should have said, ‘Yes I am sick.’ Instead I argued with him, ‘No I am not sick, I am healthy.’ Thankfully, he insisted, ‘No, you are sick.’ He gave me a piece of paper that said I was not healthy enough to join the army. I didn’t know him, he was not a member of our church. To this day I still have no idea why he decided to do that for me. The easy answer would be to say it was God, I guess?” As he was heading away from the line of young men, he heard his little brother call out to him. The army had also found his little brother. His brother said to him, “Older brother, where are you going? You should be going in that [other] direction. We are supposed to go that way to the war.” Dr. Suh then showed his brother his medical release paper. His brother then responded, “Okay, older brother. You shouldn’t go to war. I will go to the army instead of you.” He hasn’t seen his little brother since that moment. Dr. Suh explains that these memories make him wonder, “Why am I here, then? What is my purpose if these people did so much to make sure I could survive?” He humbly muses that as old as he is and as many years as he has spent praying, he is still asking himself this question. After the US won access to North Korea, his family was finally free to look for his father. Eventually they found him. Someone told him his father’s body was by the Taedong River in Pyongyang. He went looking, and sure enough he found a group of four other ministers who were executed and tied together. He found his father’s body covered in bullet holes and blood. Dr. Suh remembers the anger he felt as he held his father’s body, and he remembers the strong desire for revenge. Dr. Suh then moved to the South. He joined the South Korean Navy as a way to avenge his father. He received another special opportunity when he scored highly on an entrance test. His results gained him access to a program that sent high performing Koreans to study in the US, and a friend he made in the US navy encouraged him to take it up. Near the end of his study at a US school, his friend had him over for dinner and asked him, “What are you going to do next?” Dr. Suh was planning on returning to the Korean navy at that time, but the friend suggested, “No, you are not the navy type. You are a scholar type.” His navy friend helped him return to the US and register for a Christian college in Montana. Dr. Suh went on to study theology and then earned admission to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City in 1962. There he read Bonhoeffer’s letters from prison, he went to hear Martin Luther King Jr. speak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Washington D.C., and he watched his friends and fellow students join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He says that this time tested him theologically as he began to reflect on his own attitude toward his enemy and his desire for revenge. He began reflecting theologically on revenge, forgiveness, and “What should be my Christian attitude toward my enemies who killed my father?” After receiving a PhD from Union Theological Seminary he returned to Korea and joined in the movement for human rights and democratization against the forces of South Korean dictatorship while teaching at Ewha University. At that time Park Jung-Hee, father of the recent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was in power, and in the name of anti-communism and pro-USA rhetoric severely oppressed South Korean workers, students, and Christian intellectuals who opposed him. “I thought, ‘My father fought against the communist dictator and gave his life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freedom in North Korea, and here is this so-called democratic dictato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communist dictator and a capitalist dictator?’ So I should follow my father’s example against all dictatorship.” That is when he became involved with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Dr. Suh was eventually arrested by South Korean police for “agitating his students to demonstrate against Park Jung-Hee.” They forced him to resign his position at Ewha in 1980, which then freed him up to be ordained as a pastor of a local congregation. Despite the pressure from his government, he never ended his involvement in the Korean peace and unification issue. This gave Dr. Suh the opportunity to join the NCCK for a consultation in Montreal, Canada in 1991 that included the KCF, his father’s old North Korean Christian enemies. There, the head of the North Korean delegation, who shared the same age as Dr. Suh, was the son of one of the founders of the KCF, his father’s main enemy. Both Dr. Suh and this representative of the KCF were set to speak before Canadian church and government leaders as well as representative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He describes the encounter: “Then I really struggled the night before. Father, your son is here to talk about peace, and I’m representing South Korean Christians. What do I do? How can I meet this guy? But the following morning right before the meeting started, he came to me and said, ‘Dr. Suh, can you translate, interpret my speech?’ I said, ‘You have your own interpreter who came with you.’ He responded, ‘No, no, he is no [kind of] interpreter. His English is [not] good. He came here to watch me.’ But if I were to help him translate his speech that is a viol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Law and I could get arrested. ‘Wait a minute, I have to talk with my friends from South Korea.’ I went to them to say that guy is asking me to translate his speech. And my friends, my really close friends turned away from me and said, ‘Hey that’s your business.’ What a help?! “Then I made a decision…. Do I choose revenge or forgiveness? And then I heard a voice, ‘Loving your enemy is the real revenge.’ Okay, I will do that. So I helped him with translation. Then after him I did my own keynote address representing South Korea. After I did that, it was a small act, but violating South Korean law, helping my North Korean enemy, I felt a sense of freedom from the bondage of thoughts of doing bad things to my enemy. It was like a moment of grace, a chance for me to perform a loving action for my enemy. From then on I felt so free to talk about North Korea, peace, and reconciliation. In 2004 I had a chance to visit Pyongyang and give a sermon in front of a congregation of 300. There I told them about my story [this story], and in Pyongyang they all wept. They are Christians, they are Koreans, and they have the same feelings that I have for peace and unification. Now I am not only free on these issues, but also I have conviction that we may be united once again as brothers and sisters.” [1] This story is a summary of an interview of Dr. David Suh (Korean: Suh, Kwang Sun), retired pastor and professor of Ewha University, done by Kurt Esslinger, pastor and mission co-worker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assigned to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The interview was broadcast as a webinar hosted by Global Ministries of the United Church of Christ/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in cooperation with the NCCK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Committee.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4-08 10:05:55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2020 부활절 남북(북남) 기도문 -2020 Joint North-South Easter Prayer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2020 부활절 남북(북남) 기도문 -2020 Joint North-South Easter Prayer
- 4월 1주는 부활주일을 앞두고 2020 부활절 남북(북남) 기도문을 공유합니다. * Korean (Above) - English (Below)4월 1주 2020 부활절 남북(북남) 기도문 생명의 하나님, 우리에게 부활의 복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긴 겨울 속에서도 새 봄을 준비하셨듯이 우리에게도 새 시대를 허락해주시기 간구합니다. 십자가 고난이 부활의 영광을 담고 있는 것처럼 한(조선) 반도의 역경 속에서도 새 역사를 열게 하소서. 세계 곳곳에서 울음소리가 그치지 않습니다. 전쟁과 기아, 기후변화와 전염병 등 천재와 인재가 뒤섞여 고통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 모든 불행의 뿌리에 인간의 죄악이 자리 잡고 있음을 고백하오니 모두가 행복한 새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주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게 하소서. 한(조선) 반도에 전쟁이 일어난 지 70년이 되었습니다. 동족끼리 총을 겨눈 결과가 얼마나 끔찍한지를 경험했으니 다시는 싸우지 않기 위해 이제는 공식적으로 전쟁을 끝내게 하소서. 종전선언과 평화조약 체결로 이 땅에서 전쟁의 기운은 몰아내고 평화의 기운이 되살아나게 하소서. 올해로 6·15 선언이 20주년을 맞이합니다. 이 위대한 선언을 단지 추억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함께 살아내게 하소서.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 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는 불가역적 대원칙을 실제로 적용하고 실천하게 하소서. 한(조선) 반도의 남북(북남) 관계가 다시 살아나기를 소원합니다. 4·27 판문점 선언으로 한껏 부풀었던 희망의 불씨가 꺼지지 않고 들불처럼 타오르도록 우리를 다시 일으켜 세워 주소서. 좌절의 침울한 기운을 걷어내고 신선한 새 공기를 한(조선) 반도 전체에 불어넣어 주소서. 개성공단 여기저기에 다시금 공장의 불빛이 타오르게 하시고, 인적 끊긴 금강산 골짜기마다 화해의 걸음을 다시 내딛게 하소서. 이산가족의 평생소원을 들어주셔서 감격의 눈물로 이 땅을 적시게 하소서. 비무장지대에서 군사와 무기를 철수하는 평화의 걸음이 이어지고 확산되게 하소서. 정치와 사회 각 분야의 끊어진 교류를 회생시켜 주소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온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과 북이 생명의 안전을 위해 협력하게 하소서. 이로 인해 고통당하는 모든 이들이 속히 회복되므로 우리 모두가 일상의 평온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소서. 부활은 생명·정의·평화의 하나님 나라를 위해 죽임 당한 자의 부활임을 고백합니다. 남과 북의 그리스도인들이 두 손을 맞잡고 지금 여기에서부터 한(조선)반도 희년을 향한 부활의 거룩한 행진을 시작할 수 있도록 주님의 영을 충만히 내려주소서. 이 세상 모든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2020년 4월 12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조선그리스도교련맹 (이 부활절 기도문은 남측 초안입니다.) 2020 Joint North-South Easter Prayer Thank you, God of Life, for giving us the gospel of rebirth. As you have been preparing for a new spring in a long winter, we ask you to grant to us a new era. Let us open a new history in the midst of the hardship of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the story of the crucifixion includes the glory of the resurrection. The sound of cries continues unceasingly throughout the world. War and starvation, climate change and infectious diseases; a mixture of human-made and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We confess that human sin is at the root of all this misery, so let everyone listen to the voice of the Lord to create a happy new world.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Korean War broke out on the peninsula. Having experienced the terrible consequences of shooting our own people, let us officially end the war so that we will not fight again. May an end-of-war declaration and the signing of a peace treaty remove the atmosphere of war from this land and revive the spirit of peace.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June 15 declaration. Let us take this time not just to remember this great declaration, but to bring about a living together. Let the South and the North actually apply and practice the irreversible grand principle that the Korean people, the masters of their own destiny, will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issue independently. We pray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North and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come back to life. Please raise up again the hope that had risen up through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so that the flame of this hope that had been kindled will not be extinguished and will burn like wildfire. Please remove the gloom of frustration and breathe a new fresh air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aesong Joint Industrial Complex, let the lights of the factories burn again, and let us take steps of reconciliation again in every valley of Mt. Geumgang that has been closed. Please grant the wishes of the separated families, and make the land wet with their tears of joy. Please continue expanding the peace process by withdrawing troops and weapons from the Demilitarized Zone. We pray that you will revive the broken exchanges in the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Let the South and the North cooperate for the safety of life at a time when the Corona-19 Virus is threatening the whole world. Please, God, guide everyone who suffers from this so that we can all find peace in our daily lives. We confess that resurrection is the resurrection of those killed for the kingdom of life, justice, and peace. May the Christians of the South and the North hold hands together, and let the Spirit of the Lord fully descend upon us so that the Korean Peninsula can begin its sacred march toward the Jubilee. We pray in the name of the resurrected Jesus Christ, who has claimed victory over all death in the world. Amen. 12th April 2020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Korean Christian Federation (This prayer is the draft from the South, the NCCK.)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4-07 16:45:13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1 '제주 4.3의 이해'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1 '제주 4.3의 이해'
* Korean (Above) - English (Below)3월 5주 증언 1 '제주4·3에 대한 이해' - 양성주(Yang Seongju), 제주4·3희생자유족회 사무처장 들어가며 70년 전 제주도민의 전체 인구의 약 10%인 3만 정도가 희생된 사건인 제주4.3이 어떻게 국민들이 전혀 모르게 되었을까? 화산도의 저자 김석범은 이것을 ‘기억의 자살’이라고 표현했다. 제주4.3은 입 밖에 내놓을 수 없는 일, 알고서도 몰라야 하는 일, 공포에 질린 섬사람들 자신이 스스로 기억을 망각으로 들이쳐서 죽인다고 했었다. 제주도민에게 그 동안 제주4·3은 철저히 금기어였으면 자식에게 조차 보고, 경험한 것을 얘기하지 않았다. 부모들은 “속숨허라!”(조용히 입다물라는 제주어)고 하는 것이 전부였다. 민주화가 되기 전 반세기 동안 제주4·3은 철저히 권력자들에 의해 왜곡되고 진실된 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4·3폭동이 발생하였다고만 교육을 했던 것이다. 2000년에 들어와서야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이하 제주4·3 특별법)이 제정되고 2003년 진상보고서가 정부에 의해 발간되면서 그 진상이 세상에 드러나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국가추념일로 지정일로까지 지정이 되었지만 아직도 제주4·3을 제대로 알고 있는 국민은 소수에 불과하다. 해방된 제주 일제강점기 시대 제주는 일본의 왕래가 육지 가는 것보다 쉬웠다. 일본을 왕래하는 배편이 제주도를 전역을 돌면서 인력을 수송하였던 것이다. 해방이 되면서 당시 인구가 20만 정도였는데 6만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제주도 다시 돌아와 해방된 제주 건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인민위원회는 제일 오래까지 존속하였고 미군정에서도 초기에는 존재를 인정하고 협력적이었다. 군정의 정보요원으로 근무했던 E.그랜트 미드는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모든 면에서 제주도에서의 유일한 당이었고 유일한 정부였다”고 얘기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미군정이 친일, 우익세력을 앞세우면서 인민위원회와는 대립을 하게 된다. 해방후 제주도민의 일상의 생활은 상당히 고달팠다. 많은 인구가 일본에서 돌아왔으나 재산을 전혀 가지고 올 수 없었고 돌아온 고향에서는 일자리가 없었다. 생필품과 쌀이 모자라 물가가 폭등 하였는데 미군정의 대책은 전무하였다. 일제에서 관료로 있던 자들이 여전히 관료로 등용된 가운데 이들은 부정부패가 만연하였고 경찰 모리배들은 도민의 불만을 더욱 가중 시켰다. 3.1절 기념대회 발포사건 1947년 3.1절 기념대회는 제주4·3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기점이라 여겨진다. 해방이 되었으나 또다시 미군정의 지배를 받으면서 증폭된 불만은 3.1절 기념대회를 통해 분출하게 된다. 각 읍면에서 별도의 기념대회가 개최됨에도 북국민학교에서 개최된 기념대회는 제주도에서 유래 없는 3만의 인파가 모여 ‘3.1정신 계승하고 자주독립을 쟁취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북국민학교에서 기념대회를 마치고 관덕정을 시위대가 거의 빠져나갈 즈음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치이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경찰은 다친 아이를 두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지나갔다. 이에 흥분한 군중들이 돌멩이를 던지고 항의하며 경찰을 쫓아갔고 경찰이 경찰서로 도망가는 순간 총성이 울렸다. 육지에서 내려온 응원경찰들이 시위대가 경찰서를 습격하는 것으로 오판하고 발포한 것이다. 이 총격으로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당했는데 대부분이 등에 총상을 입은 것으로 봐서 도망가는 사람들을 향해 총격을 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총상을 입은 사람 중에는 국민학생과 젖먹이 안고 있던 20대 여인도 포함되어 있다. 발포 사건은 분명히 경찰의 잘못으로 벌어진 일이다. 이에 제주도민의 민심이 들끓었다. 3.10총파업과 무자비한 탄압 폭발한 민심은 1947년 3월 10일 총파업에서 드러났다. 노동자,학생,통신기관,운송기관,공무원 심지어 경찰까지 전 도민의 90%가 파업에 동참하고 발포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한다. 당시 제주출신 박경훈 도지사는 모든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며 항의성 사퇴서를 제출한다. 하지만 미군정은 경찰의 책임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 제주도를 ‘빨갱이 섬’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으로 탄압을 한다. 제주도민의 불만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억압하면서 사태를 해결하고자 했다. 3.1대회 참가자 검거자 수는 한 달 만에 500여명이며 4.3봉기 이전까지 2,500여명에 대해 대대적인 검거를 하면 탄압하였다. 박경훈 후임으로 유해진도지사가 오면서 서북청년회가 제주로 오게 되는데 제주도민들은 이들의 횡포로 치를 떨었다. 북한에서 토지개혁과 친일청산 과정에서 남한으로 내려온 자들로 구성된 서북청년회는 공산주의자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인 반감을 드러냈고, 경찰에 소속이 되었지만 급료가 없어 제주도민을 약탈하면서 생존을 하였다. 전 제주도민이 좌익이라고 생각했던 이들은 제주도민을 죽이는 일에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못했다. 이런 과정에 1948년 3월 경찰에 연행됐던 청년 3명이 연달아 고문을 받다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주도민 사회의 불만은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 남쪽만의 단독선거를 한 달여 앞둔 시점인 1948년 4월 3일 남로당제주도당이 중심이 되어 제주도내 경찰서, 서북청년회 및 우익인사에 대한 습격이 발생한다. 비밀리에 운영 되던 조직이 노출되면서 위기의식을 느끼게 된 남로당제주도당을 중심으로 결성된 무장대가 경찰과 서청의 폭압에 대한 저항, 단독선거 반대를 기치로 봉기를 한 것이다. “탄압이면 항쟁이다!”고 선언하며 제주도내 24개 경찰서 중 12개 지서를 습격하여 경찰 및 우익인사 14명이 사망하게 된다. 이때 무장대의 규모는 350명 정도이며 4.3 전 기간을 통해서 500명을 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무기는 일본식 소총 몇 정과 수류탄 몇 발 그리고 죽창이 전부였다. 미군정은 북한과 연계된 공산주의자들의 난동으로 규정하였으나 당시 국방경비대는 사태의 본질은 제주도민과 경찰, 서청 사이의 충돌이라고 이해하고 개입을 꺼려했다. 하지만 미군정의 지휘를 받는 군은 사태 진압을 위해 나설 수밖에 없었다. 당시 9연대장인 김익렬 중령은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무장대 사령관 김달삼과 4.28 평화해담을 성사시켜 협상에 의해 사태를 종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미군정에 의해 조작된 5월1일 오라리 방화사건에 의해 협상은 결렬된다. 오라리 방화 사건은 평화회담이 성사된 이후에 미군정이 무장대에 일어난 방화 사건인 것처럼 꾸민 것으로, 방화 장면을 촬영하여 제주도를 레드아일랜드라고 적극 홍보하였다. 이에 대해 항의하는 김익렬연대장을 해임하고 박진경연대장을 후임으로 임명한다. 이후에는 강경진압에 의한 해결을 최우선으로 하였다. 박진경은 미군정장관 딘 소장의 총애를 받던 인물로 “제주도 폭동사건을 진압하기 위해서는 제주도민 3만을 희생시켜도 무방하다”고 하였다. 그는 과도한 진압을 거부하는 문상길 중위 등에 의해 피살된다. 문상길 중위 등은 “민족의 반역자를 처형하였다” 법정진술하였다. 5.10 선거와 이승만정부수립 제헌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1948년 5월 10일 선거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지역 3개 선거구 중 2개의 선거구에서 투표수 미달로 실시하지 못하였다. 1948년 8월 15일 정부를 수립한 이승만정권은 자신의 정통성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여기고 제주도에 대해 철저한 탄압을 지시한다. 1948년 10월 17일 송요찬 연대장을 포고령을 통해 “해안선 5km 이상에 대해 소개령을 내리고 그곳을 출입하는 사람을 무조건 사살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1948년 11월 17일 불법적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무차별적인 학살이 벌어지게 된다. 제주4·3사건 중에 발생한 대다수 희생자가 1948년 11월부터 1949년 3월까지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에는 어떤 재판도 근거도 없이 어린아이, 노약자, 부녀자 가릴 것 없이 무차별적으로 학살을 자행하였다. 전체 희생자 중 10세 이하 어린이와 60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12%에 달하며, 여성의 비율의 21.3%에 달한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과도한 진압이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증명하는 수치이다. 희생된 숫자도 엄청나지만 그 토벌과정에서 가족 중 사라진 사람이 있으면 대신 죽이는 대살을 하고, 부녀자에 대한 겁탈을 하는 등 자행된 야만적인 행위는 글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이다. 1949년 3월에는 무장대 세력이 거의 궤멸상태에 이르게 되고 6월 7일에는 김달삼에 이어 무장대 사령관에 오른 이덕구가 사살되면서 실질적인 제주4.3이 종결되는 듯했다. 예비검속과 수형인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또다시 제주4·3의 비극은 재연된다. 육지에서는 보도연맹에 연루된 사람들에 대해 예비검속하였고, 제주에서는 4.3사건으로 인해 재판을 받았거나 가족이 입산한 경우 등 요시찰 대상자에 대해 검속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제주도내 4개 경찰서에 예비검속 된 인원은 1,120명이었고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바다에서 수장되거나 비행장 등에서 암살되었다. 또한 4.3사건으로 불법군사재판에 의해 전국 형무소로 끌려갔던 2,500여명도 전쟁 발발이후 행방불명되었으며 아직도 진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피해규모 당시 제주도민 27만명 중 1/9에 해당하는 3만명 정도가 희생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희생자로 공식 결정된 인원은 14,232명이며 이중 사망자는 10,245명, 행방불명 3,575명, 후유장애 164명, 생존수형인 248명이고 토벌대에 의한 희생이 84.3%, 무장대에 의한 희생이 12.3%이다. 희생자 신고자 수가 예상 인원보다 적은 것은 가족 전체가 몰살된 경우도 많고 마을 전체가 희생된 경우도 있어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강요당한 침묵의 세월 50년 제주4·3사건은 철저하게 ‘공산주의에 의한 4.3폭동’이라고 50년 동안 규정되고 교육되어 왔다. 4.3이라는 이름이 말하듯 1948년 4월 3일에 무장봉기에 의해 파출소와 우익인사가 피습을 당했던 것을 근거로 무장대세력과 대다수 제주도민을 폭도로 매도하여 왔다. 피해가족과 4.3의 진실을 알려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은 엄청난 고초를 겪어야 했으며 너무나 아픈 상처를 가슴에 묻었던 부모님 세대는 자식들에 조차 아무런 말씀도 할 수 없었고 기나긴 침묵의 세월을 보낼 수밖에 없었다. 2000년 제주4.3특별법 제정을 통해 4.3의 기점이 1948년 4월 3일이 아니고 1947년 3월 1일임을 천명하였고, 진상보고서를 통해 국가폭력에 의해 대다수 민간인의 희생된 사건임을 규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노무현 대통령은 제주도민에게 사과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불법재판으로 전국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행방불명된 분들에 대한 진상규명, 유해발굴과 DNA분석을 통한 신원확인과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개별보상 등 해결과제들이 있으며 책임자에 대한 조사와 처벌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주4·3사건의 이름은 아직도 명미정 제주4.3평화공원 전시관에 들어서면 맨 처음 만나게 되는 조형물이 백비이다. 아무것도 쓰지 않은 비석이 누워있다. 제주4·3은 보는 시각에 따라 ‘4.3폭동’‘4.3항쟁’‘4.3민주화운동’‘4.3통일운동’‘4.3학살사건’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하지만 처한 각자의 입장에 따라 격하게 대립하고 있어 정명을 하고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방 이후와 3.1발포 사건을 거쳐 저항했던 제주도민의 정신이 반영된 이름으로 명명 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교회 88선언 30주년 기념 국제협의회 '평화를 심고 희망을 선포하다' 자료집, 54~57쪽. Witness 1, 'On the Jeju Incident' - Mr. Yang Seongju, General Secretary, Jeju 4.3 Family Introduction How was it that the 70-year-old incident, the Jeju Incident that killed approximately 10% of the Jeju population, 30,000 people, was left completely unknown to the rest of the country? Kim Seokbum, the author of ‘Hwasando’ translated this as the ‘self-slaughter of memories’. The Incident was not something to be spoken of and not something to be known. The terror-struck islanders forced themselves to completely rid their memories of the incident. The incident was a taboo for the people in Jeju, and even their children were forbidden to hear or know of it. All parents would say was ‘Soksumhura!’, which meant to be quiet in Jeju. For the past 50 years before Korea’s democratization, authorities distorted the truth behind the Jeju Incident and none were taught about the whole truth. All that was taught was that it was the Communists that led the ‘uprisings’ in Jeju. The truth has begun to reveal since the 2000s when 4.3 special law (the Special Act on Jeju 4.3 Case Identification and Recovery of Victims) was enacted. In 2003, when the government issued a report on the truth of the incident, then did the public become aware of what happened. In 2014, the government designated April 3rd as a national Memorial Day, but still very few are well-informed about the Incident. Jeju, Liber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easier for the Jeju residents to travel to Japan than to mainland Korea. It was because ships from Japan navigated the Island to transport human labor. Jeju’s population was about 200,000 upon liberation but an extra 60,000 returned from Japan and took part in rebuilding the island. The People’s Congress in Jeju was the longest surviving in Korea. The US military showed efforts in the beginning to acknowledge the Congress. According to E. Grant Mead who worked as a security officer for the US military back then, the Jeju People’s Congress was the only existing party in the Island and in fact, the only existing government. But as time passed, the US military came into conflict with the Congress as it began to support the pro-Japanese and rightist groups. Life in Jeju after liberation was hard. Many returned from Japan but returned with empty hands and many were left without jobs in their hometown. Inflation soared from lack of daily necessities and rice but the US military provided no countermeasures. Those who served as public office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re-appointed and therefore corruption was prevalent and the islanders were frustrated by frequent racketeering by the police. March 1st Commemoration Shooting Incident The March 1st (1919) Commemoration in 1947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Jeju Incident. The growing resentment against the US military rule broke out during the March 1st Commemoration. Each village and town held their own separate Commemoration. In the North Elementary School, an unprecedented number of 30,000 participated and raised their voices to uphold the spirits of the March 1st day and fight for independence. After the Commemoration when the demonstrators were about to leave the Gwandeokjeong Pavilion, a child got hit by a horse hoof. The police who was riding the horse, however, simply did nothing and left. Enraged, the demonstrators threw rocks at the police and protest. Just when the policeman was making a run for his headquarters, there was gunfire. The police force from mainland Korea thought the demonstrators were attacking the police department and fired. Six died and eight were injured from the shots, and judging from the fact that most injuries were found on the back, the police probably shot those who were running away. Among the injured include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a woman in her twenties carrying her baby. The police were completely at fault for the shootings. And the people of Jeju were infuriated. March 10 General Strike and Brutal Oppressions The infuriated islanders went on a strike on March 10. Ninety percent (90%) of the population including workers, students, civil servants in the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department, and even the police requested punishment for the shootings. The then Jeju governor, Park Kyunghoon, took the blame and decided to resign from his position, protesting the shootings. The US military claimed the island as a ‘Communist Island’ and began oppressing the people. Rather than trying to resolve the issue, the US military decided to suppress the Islanders. In just a month, 500 people were arrested for participating in the March 1st Commemoration and by the April 3 Incident, approximately 2,500 were arrested. Along with Governor Yoo Haejin, Park’s successor, the Northwest Korean Youth Association also came to Jeju. Their despotism was unbearable for the Islanders. The Association consisted of those who left North Korea when the government went under land reforms and drove pro-Japanese out of the country, and consequently, they heavily resented the North. Though they were part of the police force they received no wages, so they plundered the Islanders. Because the Association strongly believed that all the Jeju citizens were leftists, they killed people without any sense of guilt. In March 1948, when three young men were taken to the police and died of excessive torture, the islanders could no longer tolerate the violence and cruelty. Armed Uprisings in April 3, 1948 On April 3, 1948, about a month before South Korea was to hold an election under the United Nations, the Jeju South Labor Party led an attack on the police, the Northwest Korean Youth Association and the rightist headquarters. The Party initiated the attack for fear of having their secret organization exposed. The uprising’s main aim was to protest against the oppression and the coming up elections. As they shouted, “suppression provokes protest!”, they attacked twelve out of 24 police headquarters. Fourteen police and rightists died in the attack. There were about 350 protesters, and from what we know about the events leading up to the April 3 Incident, the number did not exceed 500. Weapons used we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Japanese rifles, grenades, and bamboo spears. While the US military saw the Incident as revolts by North-affiliated Communists, the National Defense Guard understood it as a conflict between the citizens and the police force and was reluctant to interfere. But under the US military rule, the Guards had no choice but to act. Kim Ikleul, the then commander of the 9th regiment, wanted to resolve the issue peacefully through the negotiations with the commander of the armed demonstrators, Kim Dalsam, on April 28. But the talks failed when the US military framed the demonstrators for the May 1st Orari arson attack. In framing the demonstrators, the US military took pictures of the fire and publicly referred to Jeju as a red island. The US military fired Kim for not following suit and appointed Park Jinkyung, as his successor. Park deemed suppression as the solution. As a trusted official of Major General Dean of the US military, Park claimed that “it would be fine to sacrifice 30,000 Jeju citizens to suppress the armed demonstrators.” He was later assassinated by lieutenant Moon Sanggil who opposed excessive crackdowns. In court, he testified as to how “he executed the nation’s traitor.” May 10 Elections and the Lee Seungman Government On May 10, 1948, the elections to form a national constituent assembly failed only Jeju as two out of three electoral districts in Jeju failed to meet the number of vote designated by law . The Lee Seungman government which began its rule on August 15, 1948, regarded such as challenge against his legitimacy and began to suppress the Islanders. On October 17, 1948, through Colonel Song Yochan, Lee Seungman issued a decree stating “an eviction would be issued for areas within 5km of the coast and anyone who enters the area would be killed.” On November 17, 1948, an illegal martial law was declared, which led to indiscriminate slaughtering. Most of the casualties that took place during the Jeju Incident were concentrated between the November 1948 and March 1949. During this period,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ere killed indiscriminately without the support of any judicial or moral explanation. Children under 10 and elders above 60 made up 12% of the entire victim’s population and women made up 21.3%. The numbers clearly show how the people were killed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Such numbers, however, do not show in full extent how cruel and barbaric the suppressions were – family members were killed for another family members who disappeared or joined the uprising, and there were also severe rapes. As of March 1949, the armed demonstrators were almost and completely eradicated and by June 7, Kim Dalsam along with his successor Lee Dukgoo were killed, putting an end to the Jeju Incident. Preventive Custody and Convictions The onset of the Korean War spurred back the tragedies of the Jeju Incident. In mainland Korea, those affiliated with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 (National Guidance Alliance) were taken into preventive custody. People who were blacklisted, such as those tried in the court for the Jeju Incident or had family members flee to mountains, were also taken into custody. 1,120 people were detained in Jeju’s four police stations and most of them were killed at sea or the military airports. Furthermore, about 2,500 people who joined the Jeju Incident were given jail sentences in illegal military trials. Since the Korean War they went missing, the truth on this has yet to be revealed. Calculating Damage Approximately a ninth of the 270,000 Jeju population back then was victimized by the Incident. Officially about 14,232 people suffered casualties and among them, 10,245 died, 3,575 went missing, 164 traumatized and 248 under a life sentence. 84.3% was killed by the punitive force and 12.3% from the armed forces. Official numbers are lower than the actual casualties because in cases where an entire family or town was wiped out, the numbers are hard to predict. 50 Years of Forced Silence For the last 50 years, Jeju 4.3 has been defined and educated as a communist riot. As the date April 3 shows, the single day incident (when armed demonstrators attacked the police and the rightist headquarters) was used to wrongly accuse the demonstrators and the rest of the Jeju people. Family members of victims and those who tried to reveal the truth of the Incident had to endure long periods of hardship, and the generation that was forced to keep the secret even from their children had to suffer great pain too. When the Jeju 4.3 Special Law was enacted in 2000 it was declared that the start of the incident was not on April 3 in 1948 but rather on March 1 in 1947. It was further declared that the Incident was where many Jeju citizens were victimized by state violence. Consequently, President Roh apologized to the people of Jeju. There are still many unsolved issues such as the truth about people who went missing after being imprisoned from illegal trials, finding the missing bodies and carrying out DNA identifications, and providing reparations for victims and their families. Lastly, inspections and punishment for those who committed crimes have not been carried out yet. The Jeju Incident has yet to be properly named The first sculpture one comes across when entering the Jeju 4.3 Peace Park’s exhibition center is a white monument. Nothing is written on it. Depending on how it is perceived, the Jeju Incident is called various names ranging from ‘April 3 Uprisings, April 3 Protests, April 3 Democratization, April 3 Unification movement, and April 3 Massacre’. Because positions markedly differ on the issue, the naming of the Incident is a difficult one. The Incident should be named reflecting the spirits of the Jeju people who actively protested following Korea’s Liberation and the March 1 Commemoration Shootings. - 'International Conference in Celeb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88 Declaration of the NCCK' pp70-7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30 17:02:58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2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2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5주평화를 위한 기도 12- 이진권(Jin Gwon Lee) 목사, 한국기독교장로회(PROK) 새봄교회샬롬의 하나님!저희에게 평화로운 세상 가운데서 생명의 축복을 온전히 누리며 살도록 은총을 베풀어 주셨음을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저희는 70년 전 한반도에서 형제자매를 서로 죽이고 싸우는 전쟁의 비극과 고통을 겪었습니다. 그로 인해 서로에 대한 증오와 불신, 폭력의 악령이 지금까지도 한반도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저희에게 증오가 아닌 사랑의 마음을 부어 주소서. 폭력의 악령이 아닌 평화의 영이 저희 심령가운데서 샘솟게 하소서. 그리하여 저희 마음이 깨끗해지고, 저희보다 앞서서 갈라진 남북한을 하나로 연결하시고,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공동체로 이끄시는 주님의 샬롬의 경륜을 보게 하시고, 그 초대에 응답하게 하소서. 십자가에 달리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여 !주님은 세상의 폭력과 죄악을 없애시기 위해 십자가를 짊어지시고, 비폭력 평화의 길을 활짝 열어 주셨습니다. 세계와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어가기 위해, 지혜롭고 담대하게 평화의 십자가를 짊어지게 하소서. 불의하고 폭력적인 분단체제에 대해 단호하게 ‘아니오’를, 정의롭고 평화로운 한반도 체제에 대해서는 분명한 ‘예’를 말하게 하소서. 부활하신 주님과 함께 분단의 갈릴리 땅에서 새로운 평화의 씨앗을 심게 하소서. 소통하게 하시고 하나 되게 하시는 성령이시여!70년 동안 너무도 다르게 살아온 남쪽 사람들과 북쪽 사람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하나의 민족공동체로 회복되게 하소서. 그리하여 세계의 정의로운 평화와 화해, 일치를 향한 제사장의 직분을 감당하는 민족과 공동체로 거듭나게 하여 주소서. 이 일에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한 마음 한 뜻으로 연결되게 하시고, 그 가운데 역사하시는성삼위 하나님의 현존과 활동에 더욱 깨어 있게 하시고, 열려 있게 하소서. Prayer for Peace 12- Rev. Jin Gwon Lee, Saebom Church(PROK)God of peace, We give you thanks for what you have given us the full blessings of life in a peaceful world. But Koreans went through the tragedy and suffering of war, killing brothers and sisters and fighting each other 70 years ago. Evil spirits of hatred, disbelief, and violence against each other have continued to crush the Korean Peninsula. Pour out your love upon us so we may overcome our hatred toward each other. May the spirit of peace, not the evil spirit of violence, spring up in our hearts. May our hearts be cleansed, unite the two Koreas into one, and show us your Shalom that leads us to peace, reunification, and prosperity. Help us to respond faithfully to your invitation to a peaceful world.Our Lord, Jesus Christ,You died in the cross and opened the way of nonviolent peace to get rid violence and sin in the world. May the Christians in Korea and in the world carry the cross of peace boldly to build a peaceful Korean Peninsula! Help us to say “no” to unjust and violent divisions, and “yes” to a just and peaceful Korean Peninsula. Plant new seeds of peace in the divided Galielee (Korea) with the power of resurrection! Holy Spirit, May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itizens, who have lived so differently for 70 years, respect the social cultural differences caused by the separation, and restore one another as one nation.May we be born again into a nation that bears the priesthood for just peac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the world! For this, let the churches in Korea and the world be connected with one another! May we be more awake and open to the presence and activity of the Holy Trinity!In Jesus’ name, we pray. Amen!---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30 16:43:48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1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1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5주 평화를 위한 기도 11 - 텔메소스의 욥 대주교(Archbishop Job of Telmessos), 정교회주님은 당신의 제자들에게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남겨 놓는다. 너희에게 나의 평화를 준다. 세상이 줄 수 없는 평화를 내가 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겸손히 당신 앞에 나와서 우리의 모든 이해를 초월하는 주님의 평화가 전 세계 모든 사람들, 특히 현재 분쟁 중이거나 전쟁 중인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을 요청합니다. 나라들 사이에 서로 이해하고 용서하게 하시고, 이웃에 대한 증오로 가득 찬 모든 사람들이 평화로운 삶을 갈망할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소서. 모든 분쟁을 없애고 불화에 대한 모든 유혹이 사라지게 하옵소서. 시민 당국에 지혜를 허락하시고 포로로 잡힌 사람들을 해방시켜 주소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보호하여 주시고, 고통 받는 난민을 위로하여 주시옵소서. 우리 모두가 주님을 존경하고 서로를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하소서. 당신은 평화의 왕이시고 우리 영혼의 구주이시며, 우리는 주님에게, 그리고 영원한 아버지와 가장 거룩하고 은혜로우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께 지금 그리고 영원히 영광을 드리나이다. 아멘.Prayer for Peace 11- Archbishop Job of Telmessos, Eastern Orthodox Archbishop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You said to Your disciples, “Peace I leave with you; my peace I give to you; not as the world gives do I give to you.” We come before You in humility and ask that Your peace which surpasses all understanding will descend upon all people around the world, especially those currently in conflict and at war. Increase understanding and forgiveness between nations. Awaken the longing for a peaceful life in all those who are filled with hatred for their neighbor. Extinguish every dispute and banish all temptations to disagreement. Grant wisdom to civil authorities. Free those held captive, protect those in danger, and comfort those who are suffering and displaced. Implant in all of us reverence for You, and confirm us in love for one another. For You are the King of Peace and the Savior of our souls and to You we give glory together with Your eternal Father and Your most-holy, gracious and life-giving Spirit, now and ever and forever. Amen.---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30 16:40:2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0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10
* Korean (Above) - English (Below)3월 4주 평화를 위한 기도 10 “청소년들이 평화와 통일의 일꾼이 되게 해 주세요”- 강슬기(Seulgi Kang), 연수여자고등학교 하나님, 저희를 남과 북이 나누어진 한반도에 보내신 것은이 땅의 평화를 일구어가는 일꾼으로 부르신 거라고 생각합니다.학생인 저희 청소년들이 학업과 성장에 열심을 다하면서도 틈틈이 나라와 이 땅의 평화를 걱정하고 돌보는 사람이 되기를 기도합니다.저희의 눈을 뜨게 하셔서 크신 하나님 나라의 일들을 보게 하시고,이 땅의 참 평화와 통일을 위해 마음을 쏟으며 살아가는 저희들이 되게 해주세요.다가올 통일 시대를 이끌어갈 우리 청소년들이 통일시대의 미래일꾼으로 자랄 수 있게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을 부어주시고,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건강하게 이루어가는 어른이 되게 해주세요.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10: “Prayer of Young People for Being God’s Instruments of Justice and Peace”- Ms. Seulgi Kang/ Insu Girls’ High School, Incheon, South Korea God of peace,We confess that you have sent us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North and the South were divided, to become a peacemaker.God of justice,Even though we are students who are faithful to study, help us to contribute to the peace process.Open our eyes to see the greater things in the Kingdom of God!Help us to devote ourselves to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God of mercy,Pour out your wisdom and power so that our young people may take the lead in the coming rea of reunification! Help us grow as your people who build the Kingdom of God on earth.May the young people be instruments of your heavenly peace!We pray in Jesus’ name, Amen!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24 10:28:3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8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8
* Korean (Above) - English (Below)3월 4주 평화를 위한 기도 8 - 육순종(Youg Soon Jong) 목사, 한국기독교장로회(PROK) 총회장은총의 하나님, 우리를 평화와 통일의 길로 이끄소서. 우리 민족은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천년동안 하나의 나라였습니다. 그러나 일제 감정기가 끝나면서, 외세에 의해 남과 북이 나뉘었습니다. 나뉘었을 뿐만 아니라, 냉전시대의 대리전 같은 비극적인 한국전쟁을 치렀습니다. 전쟁은 남과 북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고, 그 상처는 여전히 평화와 통일을 향한 우리의 발목을 붙잡고 있습니다. 주여! 우리의 깊은 상처를 치유하여 주옵소서. 평화의 하나님, 70년 넘는 분단의 세월을 지나오는 동안 크고 작은 평화의 몸짓이 있었습니다. 1972년 7.4 남북 공동성명을 통해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의 통일의 기본원칙을 합의하였고,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를 통해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2000년 6월에는 평양에서 감격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고 ‘6.15 공동선언’이 이루어졌으며, 2007년 남북정상에 의한 ‘10.4 남북공동선언’이 채택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2018년 평창 올림픽 이후의 화해분위기에 힘입어 남과 북의 정상이 4.27 판문점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기대하던 평화의 길은 생각보다 험난하였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평화의 출구를 찾는 듯 했으나 여전히 한반도는 불확실성에 휩싸여 있습니다.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겨 주옵소서.구원의 하나님, 그동안의 모든 남북공동선언의 기조는 우리 민족의 운명을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 자주의 원칙이었습니다. 이 땅을 살고 있는 주인인 우리가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 통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 변함없는 우리의 생각이고 고백이었습니다. 그러나 슬프게도 우리의 분단이 외세에 의한 것이었듯이, 우리의 통일을 향한 길에도 외세의 장벽이 가로놓여 있음을 목격합니다. UN 제재의 틀 안에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열기 위한 우리 정부의 북한 개별관광시도가 간섭을 당하고, 남북 철도연결사업,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비군사적 비무장지대의 출입도 통제당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나님, 주변강대국들이 한반도 문제를 자국의 이익에서 바라보지 않게 하시고, 당사자인 남북의 평화와 공동번영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무엇보다 남과 북이 어떤 외세의 간섭에도 서로에 대한 깊은 신뢰와 인내를 가지고, 평화와 통일을 향해 용기 있는 걸음을 내딛게 하옵소서. 이 땅의 교회들이 분단극복을 위한 평화의 십자가를 지게 하시고, 분단의 상처를 인해 여전히 갈등하는 남남갈등의 깊은 골을 메우는 평화의 다리가 되게 하옵소서. 주여! 우리를 평화와 통일의 길로 이끄소서. 아멘. Prayer for Peace 8: “To End th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v. Youg Soon Jong/ Moderator,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Republic of Korea Gracious God,Lead us to peace and reunification! Our nation was once one country over thousand years during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However, foreign forces divided North and South Korea at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Our nation is not just divided into two; but it went to war as if it displayed the pattern of the Cold War. The Korean War has deeply damaged both the North and the South, and we are not able to make progress towards peace and reunification because of the deep wounds. Lord, heal our deep wounds! God of peace, In the course of more than 70 years of division, there has been some efforts in the peace process. In 1972, we established the three principles of reunification, 1) independence, 2) peace, and 3) nation-wide unity in the 7.4 South and North Korea Joint Statement. In December 1991, we also signed the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June 2000, the historic inter-Korean summit was held in Pyongyang, and the “6.15 Joint Declaration” was made. In 2007, the “10.4 Inter-Korean Joint Declaration” was adopted. Eventually, due to the atmosphere of reconciliation after the 2018 Pyongchang Olympics, the leaders of North and South Korea adopted the 4.27 Panmunjom Declaration. Nevertheless, the path of peace that we expected was more difficult than we thought. Lord, have mercy on us! God of salvation,The foundation of all the South-North joint declarations has been the principle of national independence, which determines our own destiny. We still confess that we are the masters of this land and we have to work together for our self-reunification. Sadly, we see foreign forces on our path to reunification, just as the foreign powers divided our division. Within the framework of UN sanctions, the attempts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to break through the inter-Korean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railroad projects and inter-Korean exchange cooperation have been interfered by the foreign forces. God! Guide the neighbouring powers to seek the interests of the Korean people above their own interests instead! Above all, May the South and the North take courageous steps toward peace and reunification with deep trust and patience in each other in spite of any foreign interference. May the churches of Korea carry the cross of peace, becoming a bridge of peace that fills the deep gaps of the South-South conflict because of the wounds of division! Lord, lead us to peace and reunification! Amen!---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24 10:16:5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7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7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3주 평화를 위한 기도 7 '남북의 화해를 위하여 - 암브로시오스-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Metropolitan Ambrose-Aristotle Zographos) 대주교/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자비로우신 주님, 남과 북이 전쟁의 재앙이 시작된 지 70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여전히 당신의 뜻과 상반된 분단을 경험하고 있음을 회개와 참회의 정신으로 고백합니다. 주님, 한반도 전쟁 종식을 바라는 죄 많은 종들의 소리를 들으사 분단된 이 땅이 다시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 주님, 우리로 하여금 오직 평화와 화합만이 나라의 발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옵소서. 적대감은 인류뿐 아니라 당신의 거룩한 뜻과 상반된 것임을 고백합니다. 주님, 강대국의 마음을 감화하사 그들로 하여금 갈등을 종식시키고 그 어떤 지정학적 이익보다 한반도의 이익과 평화를 고려하게 하소서. 주님, 평화의 주님이 지혜와 빛을 허락하셔서 우리로 하여금 평화와 선의와 화합을 위해 함께 일할수 있게 하옵소서. 주님, 다음 세대에 통일된 한반도를 넘겨주어 그들이 전쟁의 두려움 없이 사랑과 평화의 복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옵소서. 주님, 우리의 도움이자 능력이신 주님, 성부와 성령과 더불어 지금부터 영원토록 당신에게 영광을 돌립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7 'To End th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etropolitan Ambrose-Aristotle Zographos of the Korean Orthodox Church Most merciful Lord, we confess to You, in a spirit of repentance and contrition, that even though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atastrophic for our Country civil war, we are still experiencing the drama of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omething which is against your Holy Will. Lord, we ask you to forgive us and listen to the voices of your sinful servants praying for the end of th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so that our hearts and our countries may be once again united. Lord, help us to fully acknowledge that only peace and harmony can safeguard the progress of a nation. Hostility is contrary to the very nature of the human being and Your holy will. Lord, illumine the minds and hearts of the powerful of this world, so that they may assist in in bringing an end to this conflict and considering the interests of the Korean Nation above all other geopolitical interests. Lord, we beseech you, the Lord of Peace, grant us your wisdom and light so that we may all work together for peace, goodwill and harmony among us. Lord, make us worthy of handing over to the next generations a united Korean Peninsula, so that we may all live without the fear and agony of war, but with love, peace and security. Because, Lord, you are our help and our power, and to you we ascribe glory, together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now and ever and to the ages of ages,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17 13:59:25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6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6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3주평화를 위한 기도 6- 에릭 와인가드너(Erich Weingartner), 캐나다루터교회 사랑의 하나님, 우리는 당신이 명령한대로 우리의 원수를 사랑할 수 없었음을 고백합니다. 우리는 평화협상보다 전쟁을 도모하는 데 익숙해 져 왔음을 고백합니다. 우리는 역사의 주인의 당신에 대한 믿음을 잃었음을 고백합니다.. 70 년의 전쟁 후에도 한반도의 평화는 가능하다는 믿음을 허락해 주시옵소서. 공의와 평화를 증진하려는 우리의 간절한 노력이 풍성한 열매를 맺을 것이라는 희망을 허락해 주시옵소서. 열린 가슴과 마음으로 의심과 증오를 극복하도록 사랑을 허락해 주시옵소서. 평화의 왕 되신 주님, 화해의 대리자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안에 있는 진리를 볼 수 있게 인도해 주시옵소서. 한반도에, 그리고 곤경에 처한 모든 세상에도 자비를 베푸소서. 아멘. Third Week of MarchPrayer for Peace 6 - Erich Weingartner/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Canada God of love, We confess that we have been unable to love our enemies, as you have commanded. We confess that we have been more efficient in waging war than in negotiating peace. We confess that we have lost our trust in your guidance as the Lord of history. Grant us faith that peace is possible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after 70 years of war. Grant us hope that our feeble efforts to promote peace with justice will bear abundant fruit. Grant us love that encourages us to overcome suspicion and hatred with open hearts and minds. Prince of Peace, help us to discover the truth in ourselves so that we can become agents of reconciliation; pour your mercy upon Korea, and likewise on the rest of this troubled world.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17 13:13:26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5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5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2주 평화를 위한 기도 5 '어느 무지렁이의 기도' - 이홍정(Lee Hong-Jung) 목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생명과 평화의 하나님, 분단과 전쟁과 냉전의 상처를 간직한 채 절망의 벼랑 끝에 서 있는 이 땅의 무지렁이들의 기도를 들어주옵소서 꿈 같이 이루어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공동의 평화를 설계하는 ‘희망제작소’가 되게 하옵소서 남과 북이 모든 대립과 갈등의 창과 방패를 내려놓고 서로를 향해 용서를 선언하므로 치유되고 화해된 한반도를 향해 어깨동무하게 하옵소서 힘을 사랑하는 주변 강대국들이 전쟁의 연습을 멈추고 한반도를 향한 탐욕과 경쟁의 마음을 비우므로 평화공존에 이르는 길을 함께 열어가게 하옵소서 이 땅에서 살아갈 미래의 일곱 세대들에게 분단의 갈등과 고통을 대물림 하는 어리석음을 더 이상 되풀이 하지 않게 하옵소서 이 땅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마음 속에 DMZ에서 펼쳐질 세계생태평화축제와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의 비전이 넘쳐나게 하옵소서 구원과 해방의 하나님, 분단과 냉전의 질곡을 살아가면서도 하나님이 원하시는 평화 세상을 꿈꾸는 이 땅의 무지렁이들의 기도를 들어주옵소서 이 땅의 교회들이 드리는 기도 속에 분단과 냉전으로 상처 입은 민족을 향한 사랑과 용서, 치유와 화해, 평화와 상생에의 갈망이 넘쳐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이 하나님의 구원역사의 끝이 아니었듯이 분단이 하나님이 이끄는 우리 민족 역사의 끝이 아님을 믿게 하옵소서 제국의 압제 아래 고통 당하는 히브리 노예들의 탄식을 들으시고 내려와 출애굽의 역사를 이끄신 하나님께서 분단의 굴레를 벗기시고 온전한 구원과 해방의 은총을 내려주옵소서 남과 북, 그리고 온 세계가 한반도에 평화의 봄을 경작하며 분단과 냉전을 넘어 구원과 해방의 역사를 이루는 판문점 평화프로세스의 새로운 출발선에 함께 서게 하여 주옵소서 Prayer of an Earthworm - Rev. Dr. Lee Hong-Jung (General Secretary of NCCK) * The word ‘earthworm’ is used in this poem as a collective image or metaphor of minjung, a deep resentment-ridden people. God of life and peace, For those storing up the wounds of division and war, Standing on the brink of despair, Please listen to their prayers, the prayers of the earthworms. As if in a dream, the inter-Korean and North Korea-US summits that have come, For laying the groundwork of the common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Let them become the “Factory of Hope.” May South and North lay down all confrontation and the spears and shields of conflict! Declaring to each other a proclamation of forgiveness, and May the healed and reconciled Korean peninsula stand shoulder-to-shoulder! May the surrounding superpower nations, who love their power, cease the practice of war! And empty themselves of their greed and competi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Let us open the path together toward peaceful coexistence. For the future seven generations that will live on this earth, May the foolishness of the suffering and the conflict of division, No longer continue to be repeated! In the hearts of the children and youth of this land, May we hold a world ecological peace festival in the DMZ! And may the vision of a North East Asian Common House be overflowing! God of salvation and liberation, Hear the prayers of the earthworms of this land, Who live with the shackles of division and cold war, Who dream of the peaceful world that God desires. In the prayers of the churches of this land, For the people of the nation wounded by division and cold war, May love and forgiveness, healing and reconciliation, peaceful co-existence overflow! As Jesus’ death on the cross Was not the end of God’s history of salvation. Let us believe that division will not be the end of God leading our nation’s history. Hearing the cries of the Hebrew slaves suffering under the oppression of the empire, O God, who came down to lead the history of the Exodus, Please remove the yoke of division and give us the grace of complete salvation and liberation. So that South, North and the world may cultivate a spring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division and the Cold War, to realize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liberation, Please stand alongside us at the new starting line.---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11 10:01:02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4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3월 2주 평화를 위한 기도 4 '남과 북이 사이좋게 잘 살면 좋겠어요' - 최현웅(Hyun Woong Choi) 어린이 (강월초등학교) 하나님, 학교에서는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라고 배우는데 남과 북의 친구들이 사이좋게 지낼 날은 언제쯤 오게 될까요? 요즘 어른들 얘기를 들어보면 북한에 가뭄이 심하대요. 어려울 때 바로바로 도와주면 좋을텐데 그럴 수 없나봐요. 하나님, 왜 도와주는 것을 다른 나라에게 허락받아야 하나요? 남과 북이 힘들고 배고플 때 언제든 서로 도와줄 수 있는 좋은 친구가 되게 해주세요. 남과 북이 하나님의 사랑을 느껴서 다 같이 잘 살면 참 좋겠어요. 그러니 하나님 우리의 기도를 꼬옥 들어주세요. 저희를 도와주실 거죠?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Prayer for Peace 4,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live well together' - Hyun Woong Choi/ Seoul Gangwol Elementary School, Seoul, South Korea Gracious God, In school, we learn that we should get along well with our friends. When will the day come wh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friends will get along well with each other? Merciful Lord, We are told by adults that the drought is severe in North Korea.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help whenever they need help, but we cannot help. Almighty God, Why do we need to get permission from some other country when we want to help each other? Please help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 the kind of good friends that, whenever it is difficult for either of us or whenever we are hungry, we can help each other. I pray that we Koreans in the South and the North learn to live well together in harmony. Lord, help us now! In Jesus’ name, we pray.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11 09:55:10
화해·통일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Prayer #3
* Korean (Above) - English (Below)3월 1주평화를 위한 기도 3 '이산가족을 위하여'- 윤보환(Youn Bo Hwan) 감독, 기독교대한감리회(KMC) 감독회장 직무대행,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회장 주님, 우리 민족의 사상과 이념의 분단으로 인하여 6.25전쟁이 일어나고 남과 북이 분단되고 가족들이 헤어진 이산의 슬픔을 가지고 지금까지 살아 왔습니다. 이제 70년이 되는 올해 그 슬픔으로 통곡하는 가족들과 이 민족을 불쌍히 여겨 주시옵소서. 사상과 이념의 분단으로 단절된 민족의 땅이 서로 오가는 길이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이제 사람이 나누어 분단된 한반도가 자유로운 왕래를 하고 그리고 슬픔의 이산의 가족들이 희망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금년 한 해가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이제는 서로 화합하게 하시고 하나 되게 하여 주시옵소서. 분단과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 주시고 이제 증오의 사슬에서 놓여나게 하여 주시옵소서. 희망으로 하나 되고 주님의 아름다운 땅으로 엮어져서 이 민족이 새 하늘과 새 땅의 희망으로 차오르게 하여 주시옵소서. 둘이 하나 되게 하시는 예수그리스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First Week of March Prayer for Peace 3: “Division and Suffering of Separated Families”- Bishop Youn Bo Hwan, Acting President, the Korean Methodist Church Council of Bishops; Moderator, NCCK Lord, We have lived up to now with the sorrows of division and separated families because of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due to the division of ideologies. Loving God,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we, the churches of Korea, call out for your mercy on the divided families. We pray that we may walk the path of reunification, breaking the chains of division. Gracious God, We ask you to make one this divided country and unify the divided families from North and South Korea that yearn to be together. Make us reconcile with one another on the way to peaceful reconciliation! Merciful God, Hear our long-cherished desire of the entire Korean nation to put an end to the history of disgraceful division and now set us free from the chains of hatred. May we be united with the full of hope of New Heaven and Earth! We pray this in the name of Jesus Christ who makes two into one. Ame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05 17:44:43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