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2020 National Reconciliation Week - Testimony

입력 : 2020-06-16 19:10:51 수정 : 2021-02-04 14:36:13

인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세계교회협의회(WCC)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6월 3주


2020 민족화해주간(National Reconciliation Week) 증언 1

정인철(Jeong, In Cheol), 미 1기병사단 수색대원

 

 

‘전쟁, 평화 그리고 우리의 미래’

 

 

<나를 구해주고 전사한 헨리 대위를 밀치고 후퇴를 거듭>

 

저는 20대 초반의 나이로 6.25에 참전하였고 충북 옥천 지역 미 1기병사단의 수색 중대 2소대 1분대에 편입되었습니다. 각 소대에 60mm 박격포 1문, 각 분대에 경기관총 1문식이 배정되었습니다. 저는 무기 사용법을 몰라 미군 헨리대위로부터 실탄장전 및 사격요령을 교육받았습니다. 충북 옥천에서는 전투가 없었고, 충북 영동 황간, 선산, 구미에서 간헐적 전투가 있었습니다. 결국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왜관까지 후퇴를 했습니다.

 

왜관 북쪽 303고지에 인민군 1개 사단이 계곡마다 잠복해 있다고 했고, 우리 수색중대가 고지정상을 점령하면 미 기병사단이 밑에서 올라가서 인민군을 전멸시킨다는 작전을 계획했습니다. 1950년 8월 16일 오후 5시경 우리는 일주일 분의 식량과 물, 실탄을 가지고 포복으로 산을 기어 올라가 새벽 4시경 303고지의 약 50m까지 접근했습니다. 하지만 고지에는 적이 이미 포진해 있어서 우리는 적에게 완전히 포위되었습니다.

 

1개 중대 병력으로 고지를 뺏고 빼앗기기를 반복하며 우리는 일주일 분의 실탄을 모두 소진하였습니다. 결국 북한군과 백병전이 벌어졌고 우리는 역부족으로 산 아래로 급히 후퇴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가파른 계곡에 떨어지게 되었고 마침 헨리대위가 손을 내밀어 저를 구했지만 불행히도 헨리대위는 저격병의 총에 맞아 즉사했습니다. 그 당시 저는 그를 업고 후퇴할 수 없었고, 그로 인한 죄책감과 비참함을 한 평생 아픈 기억으로 간직하게 되었습니다. 절대로 잊을 수 없는 8월 17일, 저는 저를 자신의 생명으로 구해주었던 헨리대위에게 늘 미안한 마음을 갖고 하루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전쟁의 참상과 교훈>

 

우리는 3년 1개월 간의 6.25 전쟁으로 약 3백만 명에 달하는 인명손실과 막대한 재산상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나약하기 그지없던 대한민국은 전쟁이라는 회오리바람 앞에서 금방이라도 꺼져 버릴 듯 가냘픈 모습이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모두가 부모, 형제를 두고 자신의 입신에 대한 꿈들을 접고 참전해야 했습니다. 하나뿐인 자신의 몸과 생명을 바쳐서 적의 총탄에 맞서 싸워야 했습니다.

 

제가 서술한 전쟁의 한 단편은 저 보다 더 끔찍한 전쟁의 기억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흘러도 저는 전쟁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롭게 살 수 없었습니다. 제가 겪은 전쟁의 참상과 현실은 실로 끔찍했습니다. 매일 매일 벌어지는 전투에서 총알받이로 전사하는 전우들의 시체를 방패삼아 목숨을 연명하는 일상이 그야말로 지옥과 같았습니다. 저 건너편 내게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적군 또한 나와 같이 자신의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장에 내몰린 그저 하나의 생명이겠지 하는 생각을 가지면서도 나 또한 총부리를 겨눌 수밖에 없었습니다. 나를 살리기 위해 적군의 총을 맞은 나의 전우이자 은인인 헨리 대위를 전장에 버려두고 도망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념 수호를 위한 전쟁, 힘의 논리를 펴기 위한 전쟁? 신이 주신 선물과 같은 생명을 인위적, 물리적으로 파괴하는 전쟁은 그 어떠한 명분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혹자는 평화를 지키기 위해 힘을 길러 전쟁을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쟁의 참상을 최전선에서 겪어본 제게 이러한 말은 그야말로 실상을 모르는 자의 헛소리에 그치지 않습니다. 무력으로 평화를 지킨다는 것은 또 다른 무력의 충돌을 양산할 뿐입니다. 진정한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유혈사태로 분쟁을 해결하려던 역사의 과오를 바로 알아 배우고, 이렇게 어리석은 역사를 반복하지 않도록 다음 세대에게 지난 과오를 가르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신채호 선생의 글귀를 적고 싶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자손들에게 뼈아픈 과거의 역사를 가르치고 보다 평화로운 미래를 건설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2020 National Reconciliation Week - Testimony 1.

Jeong, In Cheol, United States 1st Cavalry Division Search Team

 

 

‘War, Peace, and Our Future’

 

 

I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when I was in my early 20s and was transferred to the 1st reconnaissance squadron of the 2nd platoon of the 1st Cavalry Division in the Okcheon region of Chungbuk. Each platoon was assigned one 60mm mortar and each squadron one light machine gun. I didn't know how to use weapons, so I was trained in live ammunition and shooting by Captain Henry. At that time there were no battles in Okcheon, Chungbuk and only intermittent battles in Hwanggan, Seonsan, and Gumi in the Yeongdong area of Chungbuk. Eventually, we retreated to Waegwan where we could fall back no further.

 

At Waegwan around Hill 303 there was a divis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hiding in every valley, so we made a plan that our search squadron would occupy the top of the hill, and the U.S. Cavalry Division will go up from below and annihilate the People's Army. Around 5 p.m. on August 16th, 1950, we crawled up the mountain with a week's worth of food, water, and live ammunition and approached the 50 meter mark at Hill 303 around 4 a.m. However, that hill already had enemies lined up all around it, so we were completely surrounded.

 

With just one company of troops we had exhausted a week's worth of live ammunition by repeatedly loosing and then taking back that hill. In the end, the North Korean army fought with the bayonet troops, and we were forced to retreat down the mountain due to our inadequate forces. In the process, I fell into a steep ravine, and Captain Henry reached out to saved me, but unfortunately Captain Henry was shot and killed instantly by a sniper. At that time, I could not retreat carrying him on my back, and I kept the guilt and misery as a result of it as a painful memory for my entire life. I will never forget August 17, and I will always feel a sorrow for Captain Henry, who saved me while giving up his own life.

 

 

We lost about 3 million lives and an enormous amount of property during the three-year and one-month Korean War.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so weak, looked thin as if it would disappear in the face of the whirlwind of war. At that time, everyone had to give up their dreams, their parents, and their brothers to become a member of the military. You had to sacrifice the only body of your life to fight and stand against the enemy's bullets.

 

The one short story that I have described is still nothing compared to some of the people who lived with even more horrible memories of war than mine. Nonetheless, even after a long time, I cannot live free from the memory of the war. The horrors and realities of the war I went through were truly terrible. The daily life of defending the bodies of fellow soldiers killed by bullets in battles day after day was like hell. The enemy soldier across the street who was pointing his muzzle at me was also forced onto the battlefield to protect his family thinking he only had one life just like me, so I was also there pointing my muzzle at him. The one who was shot by the enemy to save me, Captain Henry, my fellow soldier and savior, I had no choice but to leave him on the battlefield and run away.

 

A war for protecting ideologies? A war for spreading the logic of power? I do not think a war where humans are the ones physically destroying life, which is a gift from God, can be justified by any cause. Some say that we need to build up our strength and prepare for war to keep the peace. But to me, who has experienced the horrors of war at the front line, these words are more than just nonsense spoken by a person ignorant to reality. Keeping peace through force will only produce another conflict of force. In order to keep true peace, we need to learn the history of our attempts to resolve the conflict through bloodshed and teach the next generation our past mistakes so that we do not repeat such a foolish history. Lastly, I would like to write down the words of historian Shin Chae-ho, who said that there is no future for the people who have forgotten history. We should teach the painful past of our history to our descendants and build a more peaceful future.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