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CC

2020 Peace Prayer Movement (Light of Peace) Witness #5

입력 : 2020-07-15 11:06:33 수정 : 2021-02-04 14:39:43

인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세계교회협의회(WCC)




* Korean (Above) - English (Below)

7월 2

증언 5

-박경서 회장, 대한 적십자사

 

남북 이산 가족 상봉과 대한 적십자사

 

 

우리는 지난 4월 27일을 남북 정상의 합의하에 이루어진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는 날이었음을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역사적인 선언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라는 거대한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말할 것도 없이 이 계획과 같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전쟁과 핵이 없는 평화공존시대의 실현은 바로 150여년의 긴 역사를 갖고 있는 적십자 운동의 인도주의 철학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이 선언의 후속 조치로 남과 북은 제21차 이산가족 상봉 프로그램을 2년 10개월 만에 금강산 해금강 호텔에서 남북 총 833명의 가족의 상봉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눈물로 범벅이 된 만남은 이 기간 중 5번의 남북 적십자회담을 성사시켰고 많은 합의를 했습니다. 2018년 8월 22이부터 28일까지 사이의 상봉은 다음을 기약하고 성공리에 마무리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의 바램과 달리 한반도 비핵화의 문제 유엔의 제재 등으로 남북의 모든 문제가 얼어 붓게 되었고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아 정부는 다시 재가동의 꿈을 내외에 선포하였습니다. 그래서 이산가족 상봉의 재개가 다시 실현되리라 확신하면서 이상봉의 그간의 발자취를 잠간 살펴보십시다.

 

남북 이산가족 문제는 분단 이후 현재까지, 한반도의 중요한 인도적인 현안입니다. 이산가족 교류의 특수성은 시간적인 제한성에 있습니다. 평화협력체계가 완전히 갖추어져 자연스레 이산가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이산 1세대는 앞으로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북의 가족을 찾고자 신청하신 분들은 2020년 3월말 총 133,382명인데 이중 생존 51,837명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이산가족1세대는 고령화와 사망률 증가가 특징인데 최근 몇 년간 사망자수를 보면 6년간 매년 평균 약 3,800명의 이산가족이 고인이 되었으며 누적사망자는 81,545명이며 80대 이상 비율이 65.6%에 달합니다.

 

처음으로 남북 이산가족 생사 확인이 이뤄진 때는 1957년 이었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1956년, ‘실향사민 실태조사’를 벌여 7,034명의 명단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국제적십자위원회를 통하여 이들의 생사확인을 요청하였고, 1957년 11월 북한적십자회는 이 중 337명의 생존자명단을 통보해왔습니다.

 

1970년대까지 이산가족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성과는 남북 적십자 예비회담, 본회담 실무회의 개최(총 56회)를 통하여 5개항(주소·생사확인, 자유로운 방문· 상봉, 서신왕래, 재결합, 기타 인도적 해결 문제 등)의 남북회담 의제에 합의한 것입니다.

 

1980년대는 이산가족 해결을 위해 3차례 적십자본회담을 개최하는 등, 보다 진전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 합의에 따라 남한에서 30가구 51명이, 북한에서 35가구 41명이 교환방문하는 이산가족 고향방문과 예술 공연단 교환방문이 성사되었습니다. 

 

이후 1993년 이후에는 이인모를 북측에 송환시켜주고 이산가족상봉에 관한 북측의 성의를 촉구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대북포용정책을 추진하고 이산가족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습니다.

 

공식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으로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과 제1차 남북적십자회담합의에 따라 당국차원의 교류가 재개되어 2015년까지 20차례 대면상봉행사와 7차례의 화상상봉이 이뤄졌습니다. 21차까지의 대면상봉 인원은 남과 북을 모두 합쳐 20,604명(4,290가족)이며 화상상봉 인원은 3,748(557가족)명입니다. 

 

적십자사의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노력은 국제적십자운동 차원에서도 꾸준히 이어져왔습니다. 1952년 토론토, 1957년 뉴델리의 제19차 적십자회의, 1965년 비엔나의 제20차 국제적십자회의에서는 이산가족 문제해결에 대해 결의한 바 있으며, 가장 최근에 열린 2019년 제33차 국제적십자회의에서도 국제적십자운동의 가족 찾기 활동(RFL ; Restoring Family Links) 행동강령에 따른 결의문 제4호를 채택하였습니다.

 

이산가족문제는 최근 주춤하고 있으나 크게 보면 분명 더 큰 해결을 위한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그간의 노력과 성과가 완결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이산가족 교류가 가지는 문화적․민족적 의미를 새롭게 발굴해 나가면서 이를 지속적으로 계승해 나가야 합니다. 남과 북은 하나의 민족, 평화, 생명공동체입니다. 분단으로 인한 이산의 아픔을 한반도 평화구축의 원동력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의 임무일 것입니다.

 

지금도 대한 적십자사는 주위의 여건이 허락되면 즉각 실천 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대면 상봉 화상상봉 고향방문단 등등을 위한 모든 준비는 100% 완료된 상태입니다. 하루속히 상봉이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Witness 5  

-Dr Kyung-seo Park, President of Korea Red Cross

 

The Korean Red Cross Facilitating Inter-Korean Family Reunions 

 

27 April, 2020 marks the 2nd anniversary of the 2018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sides of Korea agreed to resolve the humanitarian issues and to convene the inter-Korean Red Cross Meeting, includi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Following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two Koreas held the inter-Korean Red Cross talks on 22 June 2018 at Mount Kumgang in order to organize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Following this, a reunion of 833 separated family members was held in August 2018 in the North’s scenic Mount Kumgang resort. It was the first such meeting since inter-Korean relations worsened in 2015.

Contrary to our wishes, the inter-Korean relations have been stalled due to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and the US-led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n the occasion of the 2nd anniversary of the historic Panmunjom Summi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seeking the most realistic and practical ways for North-South cooperation. In this regard, we hope that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may be able to resume as soon as possible.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i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the most prominent humanitarian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division. But time is running out for the divided families. The average age of South Korean divided family members is 80 years old. More than 65.6 percent of the 133,382 applicants who applied to the Red Cross for family reunions have already passed away. Only 51,837 elderly people are still alive.

In 1956, the Korean Red Cross conducted a survey on the separated families and made a list of 7,034 separated people. The Korean Red Cross requested a confirmation of who was still alive, in North Korea,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The North Korean Red Cross reported a list of 337 survivors in 1957.

Until the 1970s, the key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reuniting separated family members were the fifty-six preliminary meetings of the North-South Red Cross. The six essential activities were exchanges of address, life and death verifications, visits, reunions, exchanges of correspondence, reunification, and other humanitarian cooperation.

In the 1980s, a significant progress was made in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by the three meetings of the North-South Red Cross. In 1985,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d Cross, 51 families from South Korea and 41 families from North Korea visited their hometowns, accompanied by art performance groups.

After the repatriation of Lee In-Mo to North Korea in 1993, the Korean Red Cross has continued to urge the resumption of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In addition, the Korean Red Cross has embraced the policy of engagement with North Korea to promote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s a top priority.

The government-level exchang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resumed in 2000, following the 15 June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In the context of the first inter-Korean Red Cross Conference, twenty face-to-face reunions, and seven virtual video reunions were held up from 2000 to 2015. The total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the face-to-face reunions is 20,604 (4,290 families), and 3,748 (557 families) in the video reunion.

The efforts of the Korean Red Cross to reunite separated families and relatives have continued on the international level by the International Red Cross by adopting resolutions on separated families in Toronto in 1952, the 19th Red Cross Conference in New Delhi in 1957, the 20th International Red Cross Conference in Vienna in 1965, and the 33rd International Red Cross Conference in Geneva in 2019.

The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have been slowing down recently, but it is a time of waiting for a bigger step in the process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 will continue to work for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to discover the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s of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The South and the North are one nation. It is the mission for all of us today to transform the pain of separation into the driving force of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today, the Korean Red Cross is working in every possible way for the separated families to meet their family members as soon as possible. All preparations for face-to-face and virtual reunions are ready. I sincerely hope to resume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again as soon as possible.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지난 68회 정기총회에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할 것”(시 34:14)을 다짐하고, 한국전쟁 발발 70년을 맞는 올해 2020년을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실현하는 “희년의 해”로 선포하였습니다.

이 희년운동의 일환으로 세계교회협의회 (WCC)와 함께 3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한반도평화를 위한 세계기도운동”을 전개하오니, 이번 주부터 매주 보내드리는 기도문 (혹은 신앙간증문)을 가지고 교회와 가정, 직장과 각 자의 삶의 자리에서 이 기도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